• 제목/요약/키워드: Renal injury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4초

허혈성 척수 손상의 동물실험모델에서 Trimetazidine의 척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Trimetazidine in a Rabbit Model of Transient Spinal Cord Ischemia)

  • 장운하;최주원;김미혜;오태윤;한진수;김종성;이수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255-260
    • /
    • 2002
  • 배경: 흉부 및 흉복부 대동맥 수술시에 발생하는 척수의 허혈성 손상에 의한 신경학적 합병증은 발병 전의 예측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중증의 장애를 남기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허혈성 심근 질환 치료에 쓰이고 있는 Trimetazidine(이하 TMZ)의 척수의 허혈성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동물실험모델에서 실험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다 자란 New-Zealand White Rabbits 33마리를 대조군(Group 1, N-17)과 실험군(Group 2, N=16)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수술은 대조군에서는 전신마취 후 정중개복하여 좌측 신동맥 기시 직하부위에서 복부대동맥을 혈관 점자로 30분간 폐쇄하여 척수 허혈을 유발하였으며, 실험군에서는 TMZ 3mg/kg을 대동맥 겸자전 투여하였다. 수술 2시간 후, 24시간 후, 48시간 후에 Modified Talrov scale에 의한 운동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술 후 48시간에 요천추부 척수를 적출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7 마리(17마리 중 10마리 사망)와 11마리(16마리 중 5마리 사망)가 실험 종료가지 생존하여 척수 조직을 채취하였다. Modified Talrov scale은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수술 2시간 후 1.13 $\pm$ 1.25와 3.20 $\pm$ 0.77, 24시간 후 1.45 $\pm$ 1.57와 3.50 $\pm$ 0.76, 48시간 후 1.86 $\pm$ 1.86와 3.91 $\pm$ 0.30이었다(p$\leq$0.05). 척수의 조직학적 검사에서는 신경학적 결손이 큰 대조군(Group 1)의 척수조직에서 허혈성 손상이 더 심하게 일어난 것이 관찰되었다. 결론: TMZ은 동물실험에서 척수의 일과성 허혈성 손상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척수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개흉술이 필요했던 다발성 외상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Patients with Multiple Organ Injuries Who Required Open thoracotomy)

  • 이성광;정성운;김병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8호
    • /
    • pp.804-810
    • /
    • 1998
  • 배경: 다발성 외상환자는 교통사고, 산업재해, 우발적사고, 폭력 등의 증가로 최근 증가 추세에 있다. 다발성 외상은 심장, 폐, 대혈관 등의 흉부외상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는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흉부외상은 보존적 치료와 흉관 삽관술과 같은 간단한 외과적 시술 만으로 만족할 만한 치료효과를 보이지만 적절한 시기에 개흉술을 시행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경우가 있어 그 적응증 이나 시기의 판단에 있어서 경험있는 흉부외과 의사의 역할이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저자는 다발성 외상 후 흉부개흉술이 필요했던 70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5.6세 남녀비는 3.4:1이었다. 손상의 기전은 주로 교통사고, 추락사고, 자상이었다. 결과: 흉부손상의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혈흉이며, 두 번째는 횡격막 파열이었다. 환자의 60%에서 골절을 동반 하고 42.9%에서 복부손상을 37.1%에서 두부손상을 동반하고 있었다. 개흉술을 시행한 이유로는 출혈교정 혹은 지혈이 48.6%, 횡격막손상의 복구가 35.7%였으며, 폐 열상 봉합이 25.7% 였으며, 흉부 손상으로 인한 수술외에도 비장적출술(14.3%), 간엽절제술(8.6%) 간 열상 복구(5.7%)를 시행하였다. 수술후 합병증으로는 무기폐(8.6%), 창상감염(8.6%), 폐렴(4.3%)이었다. 수술후 6명의 환자가 사망하였고 수술사망율은 8.6%였다. 사망의 원인으로는 호흡부전증(2례), 급성 신기능부전증(2례), 패혈증(1례), 저혈량성 쇽(1례)이었다.

  • PDF

Ceftizoxime 투약 후 면역용혈빈혈 및 다발장기부전 (Ceftizoxime-induced immune hemolytic anemia associated with multi-organ failure)

  • 허진영;안아리;김형석;권석운;안수종;이재용;권병수;오은혜;박도현;허진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123-127
    • /
    • 2017
  • Drug-induced immune hemolytic anemia (DIIHA) is a rare side effect of drugs. DIIHA may cause a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that results in acute multi-organ failure and death. Ceftizoxime belongs to the class of third generation cephalosporins, which are the most common drugs associated with DIIHA. Herein, we present a case of a 66-year-old man who developed fatal DIIHA after receiving a second dose of ceftizoxime. He was admitted to receive photodynamic therapy. He had a history of a single parenteral dose of ceftizoxime 3 months prior to admission. On the day of the procedure - shortly after the infusion of ceftizoxime - the patient's mental status was altered. The blood test results revealed hemolysis. Oliguric acute kidney injury developed, and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had to be applied. On the suspicion of DIIHA, the patient underwent plasmapheresis. Diagnosis was confirmed by a detection of drug-dependent antibody with immune complex formation. Although his hemolysis improved, his liver failure did not improve. He was eventually discharged to palliative care, and subsequently died.

Gentamicin이 적혈구막을 통한 $Na^+$ 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ntamicin on Sodium Transport in Human Erythrocytes)

  • 김경효;박계숙;김희진;신호임;안미라;강복순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3권1호
    • /
    • pp.23-34
    • /
    • 1989
  • Gentamicin (GM) is a polybasic, aminoglycoside antibiotic used frequently for the treatment of serious gram-negative infections. The major limiting factors in the clinical use of GM as well as other aminoglycoside antibiotics are their nephrotoxicity and ototoxicity. The primary mechanism of cell injury in aminoglycoside toxicity appears to be the disruption of normal membrane function and the inhibition of $Na^{+}-K^{+}$ ATPase activity. There are both indirect and direct evidences which suggests that the effect of aminoglycoside antibiotics on $Na^{+}-K^{+}$ ATPase may explain, or contribute to, their toxicity. It has been shown that aminoglycoside reduce total ATPase activity (Kaku et al., 1973) and $Na^{+}-K^{+}$ ATPase activity (linuma et al., 1967) in the stria vascularis and spiral ligament of the guinea-pig cochlea. Lipsky and Lietman (1980) reported that aminoglycoside antibitoics inhibited the activity of $Na^{+}-K^{+}$ ATPase in microsomal fractions of the cortex and medulla of the guinea-pig kidney, isolated rat renal tubule and human erythrocyte ghosts. The present invstigation was undertaken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GM on human erythrocytes by examining its effect on $Na^{+}-K^{+}$ ATPase activity, actives sodium and potassium transport across red blood cell and $^{3}H-ouabain$ binding to red blood cell membrane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M inhibited significantly both the activity of total ATPase and $Na^{+}-K^{+}$ ATPase at all concentrations tested. 2) GM inhibited active $^{22}Na$ efflux across red blood cell. When ouabain is present, the rate of $^{22}Na$ efflux was completely inhibited. When both GM and ouabain were added, the inhibitory effect of active $^{22}Na$ efflux was more pronounced. 3) Active $^{86}Rb$ influx was inhibited significantly by GM. In the presence of ouabain, the rate of $^{86}Rb$ influx is markedly inhibited. But $^{86}Rb$ influx is not appreciably altered by the presence of both GM and ouabain. 4) In the presence of GM, $^{3}H-ouabain$ binding to red blood cell membrane increased. From the abov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inhibition of active sodium and potassium transport across red blood cell by gentamicin appears to be due to the inhibition of $Na^{+}-K^{+}$ ATPase activity and an increase in ouabain binding to red blood cell membranes.

  • PDF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Contrast-Induced Nephropathy after Bronchial Arteriography or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 Song, June Seok;Kim, Sa Il;Kim, Woongjun;Park, Dong Won;Kwak, Hyun Jung;Moon, Ji-Yong;Kim, Sang-Heon;Kim, Tae Hyung;Sohn, Jang Won;Shin, Dong Ho;Park, Sung Soo;Yoon, Ho Jo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4권4호
    • /
    • pp.163-168
    • /
    • 2013
  • Background: In uncontrolled hemoptysis patient, bronchial arteriography and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BAE) is a important procedure in diagnosis and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ncidence of contrast-induced nephropathy and the risk factors of contrast-induced nephropathy (CIN) after bronchial arteriography and BA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bronchial arteriography and BAE in two university hospitals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11. CIN was defined as rise of serum creatinine more than 25% of baseline value or 0.5 mg/dL at between 48 hours and 96 hours after bronchial arteriography and BAE. We excluded patients who already had severe renal insufficiency (serum creatinine${\geq}4.0$) or had been receiving dialysis. Results: Of the total 100 screened patients, 88 patients met the enrollment criteria. CIN developed in 7 patients (8.0%). The mean duration between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of CIN was $2.35{\pm}0.81$ days. By using multivariate analysis, serum albumin level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IN (p=0.0219).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idence of CIN was higher than expected and patients with hypoalbuminemia should be monitored more carefully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CIN after bronchial arteriography and BAE.

생지황음자가미(生地黃飮子加味)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생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aengjihwangeumja-gami on STZ-induced Diabetic Mice)

  • 김희철;최창원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47
    • /
    • 2005
  • First, mice were dosed with 50mg/kg of streptozotocin(STZ) twice every 24 hours to cause high blood-sugar. Then, after three days, mice were injected with 100mg/kg of STZ again. Two different dosages of Saengjihwangeumja-gami were given to the experiment groups: SA group, 15mg/kg/day, and SB group, 90mg/kg/day,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aengjihwangeumja-gami, which has been known to be good for DM(Diabetes Mellitus). By observing weight and blood-sugar level changes, blood tolerance, the numerical value of BUN(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in blood, and through light-electronicmicroscopic and immunohistologic investigations of pancreas and kidney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experiment groups showed a high suppressive effect of weight-loss. 2. The experiment groups' blood-sugar and blood tolerance showed an effective lowering of blood-sugar levels. 3. The experiment groups did not show any noticeable change in the numerical value of BUN and creatinine in bloo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s. 4. The experiment groups showed a higher Insulin positive reaction of pancreatic islets ${/beta}-cell$ than the control groups. 5. The experiment groups showed a higher immuno-reaction against IGF- II than the control groups. 6. Observation of apoptosis of the pancreatic islets showed that the cells of experiment groups were less injur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s, and fewer apoptag-positive reaction cells were seen in experi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s. 7. Uunder electron-microscopy, the insulin-containing granules in pancreatic islets ${/beta}-cells$ had increased more in the experi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s. 8. Under light microscopy, the injury on the inner & outer membrane of the glomerulus and epithelial cells of capillaries and cells among vessels were fewer in the experi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s. 9. More apoptag-positive reaction cells in the kidney were seen in the control groups than in the experiment groups. 10. PAS-positive reaction substances had increased more in the substrate among the vessels of a glomerulus belonging to the control group than those of the experiment group. 11. Uunder electron-microscopy, the nucleonic membrane, nucleoplasm and mitochondria of proximal and distal renal tubular were more injured in the control groups than in the experiment groups. In conclusion, strong evidence for the efficacy of Saengjihwangeumja-gami in lowering blood-sugar, and in recovery and generation of pancreatic tissues injured by DM was observed. Results suggest Saengjihwangeumja-gami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DM. Further study of the principles of blood-sugar dropping effects of Saengjihwangeumja-gami are needed, as well as further study of recovery and regeneration of pancreatic tissues injured by DM.

  • PDF

중증 화상환자에서 다약제내성그람음성균의 Colistin 치료 (Intravenous Colistin Therapy for Multidrug-Resistant Gram-Negative Bacterial Infections in Major Burn Injuries)

  • 조기원;윤재철;전진우;김영민;임해준;김도헌;허준;전욱;조용석
    • 대한화상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cute Kidney Injury Network (AKIN)-defined nephrotoxicity in patients undergoing intravenous colistimethate sodium (CMS) therapy for major burn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burn patients who received more than 48 h of intravenous CMS between September 2009 and December 2015.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using the institution's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Patients assigned to the developed nephrotoxic group experienced aggravation of current AKIN stage during CMS treatment; those assigned to the non-nephrotoxic group experienced no change in current or exhibited improved AKIN stage during CMS therapy. Results: A total of 306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AKIN stage: AKIN 0 (n=152); AKIN 1 (n=6); AKIN 2 (n=9); AKIN 3 (n=139). The baseline creatinine (Cr) level was 0.73 mg/dL. The incidence of nephrotoxicity was 50.3% according to AKIN stage; overall mortality was 45.8%. The non-nephrotoxic group consisted of 127 (74.7%) patients and 43 (25.3%) were in the developed nephrotoxic group. In patients requiring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baseline Cr level was 0.83 mg/dL, pre-CMS Cr level was 1.17 mg/dL, and post-CMS Cr level was 1.34 mg/dL. Conclusion: CMS can be administered without signs of nephrotoxicity for a certain period (approximately 1 week), it can be used relatively safely for 2 weeks. Application of CMS is a reasonable option for treating infections caused by multi-drug resistant gram-negative bacteria in patients with major burns. The caution should be exercised nevertheless.

상황버섯 및 카레를 첨가한 잡곡밥 추출물의 LLC-PK1 세포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and Curry-Added Cooked Mixed Grain Rice Extracts on Oxidative Stress-Induced LLC-PK1 Cell Damage)

  • 이정숙;송가락;길정하;정병진;정종성;허태곤;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74-1680
    • /
    • 2014
  • 잡곡밥 메탄올 추출물이 가지는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LLC-PK1 세포의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250{\mu}M$$H_2O_2$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LLC-PK1 세포에 시료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WR, TMR, GR 순으로 $H_2O_2$ 처리군에 비해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P<0.05). 특히 GRS와 GRK에서 정상군에 가까운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H_2O_2$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된 세포 손상에 대한 잡곡밥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 내 활성산소(ROS)의 수준과 세포 내 지질과산화물질(MDA)의 생성 억제 효과 역시 WR, TMR, GR, GRK, GRS 순으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H_2O_2$로 인하여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인 SOD, CAT와 GSH-px 등의 활성이 감소된 LLC-PK1 세포에 잡곡밥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이들 효소의 활성이 증가했으며 특히 GRK, GRS군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LLC-PK1 세포에서 $H_2O_2$에 의해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잡곡밥 추출물은 세포 손상을 억제하고 세포 내 활성산소(ROS)의 수준과 지질과산화물질(MDA)의 생성을 억제하며,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항산화 효소유전자 발현에서도 위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잡곡밥 메탄올 추출물, 특히 기능성 물질인 카레가루와 상황버섯 추출물이 첨가된 잡곡밥은 LLC-PK1 세포에 대한 보호 작용과 in vitro에서의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도부식증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Corrosive Injury of the Esophagus)

  • 박철원;송기준;이형석;안경성;김선곤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5.3-6
    • /
    • 1981
  • 각종 부식제에 의한 식도부식증은 근래에 들어서 그 발생빈도가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아직도 자살수단으로 택하거나 오연으로 인하여 적지않은 환자가 발생하고 부식제의 종류도 다양하여졌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식도부식증은 그 경과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식도협착증의 방지가 치료의 촛점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1972년 5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한양대학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한 식도부식증 환자중 발병시부터 치유될때까지 전 과정의 임상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연령 및 성별, 월별빈도, 음독등기, 약물 종류, 음독후 내원시간, 구강 및 인두 점막변화, 검사소견, 응급처치 및 입원후 치료, 치료성적, 합병증 등을 정리 하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비는 1. 13:1로 여자가 약간 많았으며, 남자가 24례(47.1%), 여자가 27례(52.9%)이었다. 2) 연령분포는 21∼30세가 20례 (39.2%)로 가장 많았고, 11∼20세가 11례 (21.6%), 31∼40세가 7례 (13.7%), 50세 이상이 7레 (13.7%)의 순이었다. 3) 월별빈도는 3월이 8례 (15.7%)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4절과 7월이 각각 7례(13.7%), 9월 6례 (11.8%), 10월 5례 (9.8%)의 순이었다. 4) 음독동기는 자살목적이 40례 (78.4%)로 주종을 이루였고 사고에 의한 오연이 11례 (21.6%)이었다. 5) 약물종류로는 초산이 24례(47.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염산 11례 (21.5%), 가성소다8례 (15.7%),.옥도정기 2례 (3.9%)의 순이었다. 6) 음독후 내원시간은 12시간 이내에 내원한 경우가42례 (82.4%)이었고, 다음이 12∼24시간내 4례 (7.8%)이었다. 7) 구강 및 인두점막변화는 충혈 및 부종이 있는 중등도가 20례(39.2%)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궤양이동반된 18례(35.3%), 충혈만 있는 10례(19.6%)의 순이었다. 8) 검사소견은 혈액검사소견상 40례(78.4%)에서 백혈구 증가를 보였으며, 31례(60.8%)에서 혈구용적비(Hct)증가를 보였다. 뇨검사상 14례(27.5%)에서 Specific gravity가 1.030이상 이었고, 25례(49.0%)에서 단백뇨를 보였으며, 5례(9.8%)에서 당뇨를 보였고, 6례(11.8%)에서 혈뇨를 보였다. 9) 응급처치로는 위세척을 시행한 예가 30례 (58.8%)이었고, 3례 (5.9%)에서는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였다. 10) 치료방법으로는 전체 51례중 50례 (98.0%)에서Levin tube을 삽입 하였고, 49례 (96.1%)에서는 항생제를 투여하였으며, 46례 (90.2%)에시 제산제 및 Steroid를 사용하였다. 11) 치료후 36례 (70.6%)에서는 별다른 합병증없이 유효한 치료결과를 보였고 2례(3,9%)는 입원당시 사망하였으며, 4례 (7.8%)에서 식도협착을 보였고, 1례(2.0%)에서는 위유문부협착을 보였다. 12) 합병증은 8례 (I5.7%)에서 볼 수 있었으며 그중 신부전증이 4례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폐염, 상부 위·장관출혈 등이 었다.

  • PDF

감염성 승모판 심내막염의 중단기 수술 성적 (Early and Mid-term Results of Operation for Infective Endocarditis on Mitral Valve)

  • 안병희;전준경;유웅;류상완;최용선;김병표;홍성범;범민선;나국주;박종춘;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27-34
    • /
    • 2004
  • 배경: 감염성 심내막염은 다른 심장질환에 비해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고, 대부분의 임상연구가 대동맥판에 발생한 심내막염에 편중되어 있어, 승모판 심내막염에 대한 보고는 상대적으로 드문데 이에 대한 임상양상 및 수술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감염성 승모판 심내막염으로 단일 술자에 의해서 외과적 치료를 받았던 23 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2예는 인공판막 심내막염이었고 나머지 21예는 자가판막 심내막염이었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44.8$\pm$15.7 (11∼66)세였고 연령분포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17예에서는 혈역학적 불안정이나 거대 우종으로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12예에서 울혈성 심부전, 4예에서 신부전, 2예에서 비장 및 신장경색, 2예에서 일시적 뇌손상, 1예에서 뇌농양 소견을 보였다. NYHA 기능 분류상 Grade II가 7예, Grade III가 9예, Grade IV가 6예이었다. 술 전 심초음파상 승모판 역류우세가 19예, 협착우세가 4예이었으며, 우종은 20예(86.9%)에서 관찰되었다. 혈액배양 검사상 10예(43.4%)에서 원인균이 동종되었는데 Streptococcus viridans 5예, 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2예, 그리고 Corynebacterium, Haemophillis, Gernella 각각 1예씩 이었다. 수술 적응증은 ACC/AHA 지침에 근거하였으며, 평균 외래 추적관찰기간은 27.6$\pm$23.3 (1∼97)개월이었다. 결과: 13예에서 승모판치환술을 시행하였는데 9예에서 기계판막을 사용하였고 4예에서 조직판막을 사용하였다. 10예에서 다양한 수기의 승모판성형술을 시행하였다. 동반수기로는 6예에서 대동맥판 치환술, 2예에서 삼첨판 성형술, 1예에서 변형된 미로수술, 1예에서 심실중격결손 낙합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합병증으로는 출혈에 의한 재수술 2예, 종격동염 1예, 저심박출증 1예, 페렴 1예가 있었다. 술 후 30일 이내의 조기사망이나 병원 내 사망 및 판막 연관성 합병증은 없었다. 1예의 환자가 수술 3개월 후 다시 판막성형술을 받았고, 술 전 우종 전색에 의한 뇌경색을 보인 1예의 환자가 술 후 31개월에 뇌출혈로 사망하여 만기 전 체판막 연관성 사망률은 4.3%, 판막연관성 합병증은 8.6%였다. 1, 3, 5년 valve-related event free rate는 90.8%, 79.5%, 79.5%이었고 1, 3, 5년 생존율은 100%, 88.8%, 88.8% 이었다. 결론: 승모판 심내막염의 외과적 치료 시에는 감염된 조직의 완전 절제가 중요하며, 감염된 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면 대체물이나 수술 기법상의 차이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고, 술 전에 감염이나 우종 전색에 의한 뇌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서는 술 후 추적관찰 중에도 뇌혈관 손상 가능성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