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nal computed tomography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1초

황색육아종성 신우신염 환자의 $^{18}F$-FDG PET/CT 소견 1예 ($^{18}F$-FDG PET/CT Finding in a Case of Xanthogranulomatous Pyelonephritis)

  • 최봉회;홍선표;윤준기;배기수;홍정;임현이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2호
    • /
    • pp.150-153
    • /
    • 2009
  • Xanthogranulomatous pyelonephritis is an uncommon chronic renal infection, which is usually found on middle-aged women and is rare in infant. Sometimes it forms focal mass like lesion of kidney with pathologically characteristic lipid-laden macrophage. A 1-month female infant was admitted for fever and moaning sound. On work-up of urinary tract infection, abdomen ultrason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large mass on the upper portion of right kidney and PET/CT showed homogeneously increased $^{18}F$-FDG uptake. The radical nephrectomy of right kidney was performed and histology revealed a focal xanthogranulomatous pyelonephriti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presenting the finding of $^{18}F$-FDG PET/CT in the childhood xanthogranulomatous pyelonephritis.

Sequential treatment with transurethral resection and hormonal therapy for bladder endometriosis of vesicoureteric junction

  • Abdulelah AlAdimi;Nabil AlOdaini;Atef M. M. Darwish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116-120
    • /
    • 2022
  • Objective: To estimate the efficacy of sequential treatment of bladder endometriosis (BE) of the vesicoureteric junction using transurethral resection (TUR) and hormonal therapy. Design: Case report. Setting: Private multispecialty hospital. Patient: A multiparous woman presented with perimenstrual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cyclic chronic pelvic pain, and left loin pain. Intervention[s]: Ultrasonography revealed marked left renal dilatation. Computed tomography confirmed the presence of a bladder mass. A diagnostic cystoscopy revealed compression of the left vesicoureteral junction. Complete TUR BE with release of chocolate material during resection, followed by ureteric double J stent insertion for 3 months, was performed. Histopathology confirmed the diagnosis of BE, followed by adjuvant hormonal therapy (dienogest) for 3 months. Follow-up for about 2 years revealed complete relief of the symptoms without any recurrence. Main Outcome Measure[s]. Success and recurrence rates of sequential TUR and hormonal therapy of BE of the vesicoureteric junction. Result[s]. TUR BE followed by adjuvant hormonal therapy was very effective in eradicating BE of the vesicoureteric junction in a safe manner without recurrence on follow-up for 2 years. Conclusion[s]. BE of the vesicoureteric junction can be properly treated by sequential TUR and hormonal therapy without recurrence over a 2-year follow-up.

말굽 신장의 신배에서 발생한 원발성 점액성 선암의 CT 소견: 증례 보고 (CT Findings of Mucinous Adenocarcinoma Arising from the Renal Calyx in Horseshoe Kidney: A Case Report)

  • 한솔;이영환;김유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6호
    • /
    • pp.1406-1411
    • /
    • 2022
  • 신장의 점액성 선암은 신우신배계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낭성 악성 종양으로 예후가 좋지 않다. 임상 증상 및 영상학적 소견이 비특이적이어서 수술 전 진단이 매우 어렵다. 저자들은 69세 남자 환자의 말굽신장에서 발생한 원발성 점액성 선암의 증례를 CT 소견을 중심으로 보고한다. 이 종양은 불규칙한 벽비후와 다수의 석회화 및 중격을 동반한 복합 낭종으로 관찰되었고 수술 후 복막강거짓점액종으로 진행하였다.

상피낭종을 동반한 신장의 상피모양 혈관근지방종: 두 희귀 질환의 조합에 대한 증례 보고 (Renal Epithelioid Angiomyolipoma with Epithelial Cysts Mimicking Cystic Renal Cell Carcinoma: A Case Report of Combination of Two Rare Entities)

  • 이상훈;이정섭;김정재;고수연;이경렬;황임경;현창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5호
    • /
    • pp.1109-1115
    • /
    • 2022
  • 신장의 혈관근지방종은 전형적으로 고형 종괴지만, 낭성 형태의 신장 혈관근지방종이 소수 보고되었다. 그중에서 대다수의 보고는 상피낭종을 동반한 혈관근지방종으로 입방상피조직으로 둘러싸인 낭종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피모양 혈관근지방종은 호산성 세포질이 풍부한 상피모양세포를 포함하는데, 이것이 출혈이나 괴사로 인해 낭성변화를 일으킨 증례 보고도 있었다. 이런 낭성 형태의 신장 혈관근지방종은 영상검사에서 낭성 신세포암 등의 다른 낭성 종괴로 오인될 수 있다. 이 증례 보고에서는 58세 남성에서 발견된 상피낭종을 동반한 상피모양 혈관근지방종의 영상 소견을 살펴보려고 한다.

Clinical Analysis of Risk Factors Related to Recurrent Chronic Subdural Hematoma

  • Ko, Byung-Soo;Lee, Jung-Kil;Seo, Bo-Ra;Moon, Sung-Jun;Kim, Jae-Hyoo;Kim, Soo-H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3권1호
    • /
    • pp.11-15
    • /
    • 2008
  • Objective : Burr hole drainage has been widely used to treat chronic subdural hematoma (CSDH). However, the incidence of recurrent CSDH varies from 3.7 to 30% after surgery. The authors attempted to elucid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recurrence of CSDH in one burr hole drainage technique. Methods : A total of 255 consecutive cases who underwent one burr hole drainage for CSDH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wenty-four patients (9.4%) underwent a repeated operation because of the recurrence of CSDH.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demographic, clinical and radiologic factors associated with the recurrence of CSDH. Results : In this study, two risk factors were found to b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recurrence of CSDH. The incidence of CSDH recurrence in the high- and mixed-density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low- and iso-density groups (p<0.001). Bleeding tendency such as in leukemia, liver disease and chronic renal failure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currence of CSDH (p=0.037).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 and mixed- density shown on computed tomographic scan was closely relates with a high incidence of recurrence. Therefore, the operation could be delayed in those cases unless severe symptoms or signs are present. Reoperation using the previous burr hole site is a preferred modality to treat the recurrent CSDH.

둔상 후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조영제 유출로 동맥색전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복강내와 후복막강/골반강내 출혈 비교 (Comparison of Intraperitoneal and Retroperitoneal/Pelvic Contrast Extravas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the Each Patient Group with Arterial Embolization according to the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canning after Blunt Trauma)

  • 윤지영;김선휴;안력;황재철;홍은석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2권2호
    • /
    • pp.199-205
    • /
    • 2009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and the prognosis for intraperitoneal and retroperitoneal/pelvic contrast extravasation, which had been confirmed by enhanced abdominal CT scan, after blunt trauma in patients who had undergone angiographic embolization.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March 2009, data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regarding patients who had undergone contrast extravasation (CE) on CT scanning and arterial embolization after blunt trauma. The study patient group was divided into the intraperitoneal and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s according to the area of contrast extravasation. We reviewed the initial demographic data, the location of injury, the solid organ injury, the embolized vessel, and the clinical outcome.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40.2{\pm}2.6$ years old, and there were 24 male patients. The intraperitoneal group included 10 patients, and retroperitoneal/pelvic group was comprised of 17 patients. The amount of transfusion from presentation to intervention and during the first 24 hours was greater i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than in the intraperitoneal group. The intraperitoneal group showed a higher frequency and severity of liver injury tha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Angiography revealed that the hepatic artery (n=4) was the most frequently embolized vessel in the intraperitoneal group, while the internal iliac artery (n=6), followed by the renal artery (n=4), internal pudendal artery (n=3), and the gluteal artery (n=2), were the most frequently injured vessels i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Conclusion: In patients with intra-abdominal contrast extravasation found on CT scanning and arterial embolization after blunt trauma, the need for transfusion was less in the intra-abdominal group than i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Liver injury was also more frequent and severe in the intraperitoneal group than i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소아 요로 감염에서 99mTc DMSA 신스캔 평면영상에 추가된 SPECT 영상의 진단적 가치 (The Diagnostic Value of 99mTc DMSA Renal Scan SPECT Images in Addition to Planar Image in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 양재영;양정안;서정완;이승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5권1호
    • /
    • pp.22-29
    • /
    • 2001
  • 목 적 : 99mTc DMSA 신스캔 평면영상은 급성신우신염과 신반흔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99mTc DMSA 신스캔 평면 영상에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SPECT) 영상을 추가하여 예민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저자들은 소아 요로감염에서 99mTc DMSA 신스캔 평면영상에 추가된 SPECT영상의 진단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월부터 1999년 7월 까지 이대 목동병원 소아과에서 요로감염으로 진단 받고 99mTc DMSA 신스캔 평면영상에 SPECT영상을 추가 시행하였던 130명 (260 kidney unit)과 신반흔으로의 진행을 파악하기 위하여 추적검사를 시행하였던 22명(44 kidney unit)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스캔은 99mTc DMSA를 주사하고 3시간후 전면상과 후면상의 평면영상을 얻고, 이어서 저에너지 범용 조준기가 장착된 회전형 카메라 (Starcam 4000-I U.S.A. GE)를 사용하여 SPECT Axial과 Coronal 영상을 얻어 진단율을 비교하였다. 통계는 Yates 교정 후 Chi 검정하였다. 결 과 : 급성신우염 환자의 진단율은 SPECT영상에서 47.7$\%$로 평면영상의 35.4$\%$에 비해 12.3$\%$가 높았다. 신단위로 평가하면 SPECT 영상에서는 32.3$\%$로 평면영상의 25.8$\%$에 비하여 6.5$\%$가 높았다. 평면 영상 음성인 18신단위(6.9$\%$)가 SPECT 영상에서는 14신단위(5.4$\%$에서 국소성결손, 4신단위 (1.5$\%$)에서 다발성 결손이었고 평면영상에서 양성인 1신단위 (0.4$\%$)가 SPECT 영상에서 음성이었다. 평면영상에 비하여 SPECT영상이 더 우수한 경우가 17.3$\%$, 동일한 경우가 82.3$\%$, 미흡한 경우가 0.4$\%$였다. 99mTc DMSA 신스캔의 신반흔 진단율은 SPECT 영상에서는 43.2$\%$로 평면영상의 36.4$\%$에 비하여 6.8$\%$ 높았다. 평면영상에서 양성은 SPECT영상에서 모두 양성이었고, 평면영상에서 음성이 SPECT영상에서 양성인 경우는 6.8$\%$(3신단위)이었다. 평면영상에 비하여 SPECT 영상이 우수한 경우가 11.4$\%$, 동일한 경우가 88.6$\%$이었다. 결 론 : 99mTc DMSA신스캔 평면영상에 추가된 SPECT영상은 급성신우염과 신반흔의 진단율을 높이고 더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이식신장에 생긴 유두모양 신세포암종과 고유신장에 생긴 Xp11.2전위/전사인자E3-재배열 신세포암종: 증례 보고 (Papillary Renal Cell Carcinoma in Transplanted Kidney and Xp11.2 Translocation/Transcription Factor E3-Rearranged Renal Cell Carcinoma in the Native Kidney: A Case Report)

  • 김민혜;김경아;김정우;이석영;최재웅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437-444
    • /
    • 2024
  • 고유신장과 이식신장 모두에 신세포암종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소수의 증례만이 영문 문헌에서 보고되었다. Xp11.2전위/전사인자E3 (이하 TFE3)-재배열 신세포암종은 성인인구에서 드문 아형이다. 신장이식을 받은 어린이에서 TFE3-재배열 신세포암종이 소수의 증례로 보고되었으나, 어른에서 신장이식 후 TFE3-재배열 신세포암종이 보고된 증례는 없다. 저자들은 이식신장에 유두모양 신세포암종이, 고유신장에 TFE3-재배열 신세포암종이 있던 드문 증례를 영상 소견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고유신장에 생긴 TFE3-재배열 신세포암종은 5년에 걸쳐 천천히 자랐다. CT에서 약한 조영증강을 보이는 소엽 모양 종괴였으며, MRI에서는 T1 강조영상에서 높은 신호 강도를, T2 강조영상에서 낮은 신호 강도를 보였다.

이중 헤드 감마 카메라를 이용한 Conjugate-View 계수법에 의한 신장 깊이 도출 (Calculation of Renal Depth by Conjugate-View Method Using Dual-head Gamma Camera)

  • 김현미;서태석;최보영;정용안;김성훈;정수교;이형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378-388
    • /
    • 2001
  • 목적: 기존의 신장깊이를 구하는 Tonnesen, Taylor 방정식은 신장 핵의학 검사 시 별도의 초음파, CT(computed tomography) 검사를 토대로 도출되었으며, 몸무게, 키, 나이에 따른 변수를 이용하여 신장깊이를 구하게 되므로 개인차가 고려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감쇠 계수를 이용한 보정 인자 $e^{-{\mu}x}$를 적분하여 계수를 구하는 방법과 Conjugate-view 계수법을 사용하여 핵의학 영상에서 신장깊이를 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신장모형이 포함된 복부모형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이중 헤드 감마카메라(E.CAM, SIEMENS, Germany)로 핵의학 이미지를 얻는 실험을 하였다. 신장 두께, 신장깊이 그리고 몸통두께를 변수로 하여 각각의 다른 실험값을 얻었다. 방사성 동위윈소는 $^{99m}Tc$-DMSA를 사용하였으며, 검출기에 대한 효율은 실험을 통해 계산되었다. 감쇠 계수를 이용하여 계수값을 얻어내는 방법으로 신장깊이 도출을 위한 방정식을 유도하였으며, 배후 방사능 보정에 대한 보정식을 추가하였다. 유도된 방정식에 실험을 통해 얻어낸 자료를 대입하여 신장깊이를 구하였으며 이렇게 계산된 신장깊이와 실험에 사용된 신장깊이를 비교하여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이 연구에서 유도된 신장깊이 방정식을 통해 개발된 신장깊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몸통모형의 몸통 길이와 신장모형 두께, 위치를 각기 다르게 하여 각각의 핵의학 영상을 얻은 결과로부터 신장깊이에 대한 실제값과 유도된 방정식을 통해 얻은 계산값을 서로 비교, 검토해보았다. 신장깊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얻은 계산값과 모형의 실제값을 비교해 본 결과 0.1 cm에서 0.7 cm까지의 차이를 보였다. 실험값과 계산값과의 평균 오차는 $0.029{\pm}0.15cm\;(mean{\pm}S.D.$) 이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신장깊이를 구하는 여러 방법들과는 달리 본 연구를 통해 핵의학 영상만으로도 개인차가 고려된 신장깊이를 얻어낼 수 있게 되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신장깊이 계산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한 신장깊이는 방사성동위윈소 주입 후 감마카메라를 이용하여 집적된 계수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이 되므로 개개인의 개인차는 물론 좌신과 우신에 따른 차이도 고려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연구에서 개발된 신장깊이 계산 프로그램의 임상 응용에서의 적용을 위해서는 신장에 도달하는 방사성 동위윈소의 방사능양과 효율적일 관심영역 크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며 좀더 정확하고 개인차가 고려된 신장깊이가 계산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Acalculous Diffuse Gallbladder Wall Thickening in Children

  • Lee, Ji Haeng;No, Young Eun;Lee, Yeoun Joo;Hwang, Jae Yeon;Lee, Joon Woo;Park, Jae Ho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7권2호
    • /
    • pp.98-103
    • /
    • 2014
  • Purpose: Gallbladder (GB) wall thickening can be found in various conditions unrelated to intrinsic GB disease. We investigated the predisposing etiologies and the outcome of acalculous GB wall thickening in children.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67 children with acalculous GB wall thickening who had visited our institute from June 2010 to June 2013. GB wall thickening was defined as a GB wall diameter > 3.5 mm on abdominal ultrasound examination or computed tomography. Underlying diseases associated with GB wall thickening, treatment, and outcomes were studied. Results: There were 36 boys and 31 girls (mean age, $8.5{\pm}4.8years$ [range, 7 months-16 years]). Systemic infection in 24 patients (35.8%), acute hepatitis in 18 (26.9%), systemic disease in 11 (16.4%),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in 4 (6.0%), acute pancreatitis in 3 (4.5%), and specific liver disease in 3 (4.5%) predisposed patients to GB wall thickening. Systemic infections were caused by bacteria in 10 patients (41.7%), viruses in 5 patients (20.8%), and fungi in 2 patients (8.3%). Systemic diseases observed wer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2, drug-induced hypersensitivity in 2, congestive heart failure in 2, renal disorder in 2. Sixty-one patients (91.0%) received symptomatic treatments or treatment for underlying diseases. Five patients (7.5%) died from underlying diseases. Cholecystectomy was performed in 3 patients during treatment of the underlying disease. Conclusion: A wide range of extracholecystic conditions cause diffuse GB wall thickening that resolves spontaneously or with treatment of underlying diseases. Surgical treatments should be avoided if there are no definite clinical manifestations of cholecyst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