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oval mechanism

검색결과 642건 처리시간 0.03초

송과선 호르몬 멜타토닌의 생식 생리학 (Reproductive Physiology of Pineal Hormone Melatonin)

  • 최돈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7-351
    • /
    • 1996
  • 멜라토닌은 대뇌와 소뇌 사이에 위치한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빛이 없는 밤에만 분비된다. 멜라토닌은 분자적 수준에서부터 개체의 행동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기능을 보인다. 특히, 생식에 미치는 영향은 광범위하여, 온대지방에 사는 대부분의 동물은 주위 환경에 적응하여 종족을 유지하는 유일한 계절적 번식을 한다. 햄스터의 생식활동은 여름에 왕성하고 겨울에 정지된다.이는 많은 환경요소중 광주기의 효과가 송과선에 의해 제거하면 광주기의 영향은 사라진다. 즉 생식에 미치는 광주기의 효과가 송과선에 의해 중재 됨을 의미한다. 또한 송과선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적절한 처리는 생식활동을 억제한다. 따라서 멜라토닌은 생식에 미치는 광주기의 정보를 생식내분비계로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사료된다. 시상하부의 특정부위를 절제한 후 광주기나 멜라토닌을 처리하여 멜라토닌의 작용부위에 관한 연구가 되었으나 동물마다 차이점을 보인다. 대부부의 동물에서 공통적인 부위는 suprachiasmatic nuclei와 pars tuberalis이다. 멜라토닌이 생식에 미치는 작용기작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는 멜라토닌의 지속적 처리가 멜라토닌의 장기적처리는 이들 호르몬의 분비를 저하시키고, 시상하부에서의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양을 증가시킨다. 이 결과는 멜라토닌의 지속적인 처리가 시상하부로부터의 GnRH 양을 분비를 감소킴으로써 생식활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그러나, 멜라토닌에서 GnRH 신경까지의 정보전달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Opioid 신경에 대한 광주기와 멜라토닌의 효과가 동일한 점은 opioid신경의 매개체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에 멜라토닌 수용체가 개구리의 피부와 몇몇 동물의 뇌와 시세포에서 크로닝되었다. 이수용체는 G protein과 관련되고 cAMP 생성을 억제한다. 앞으로 이 멜라토닌 수용체의 존재여부와 분자생물학적 연구는 멜라토닌의 작용부위와 표적세포에서의 작용기작을 설명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하수처리장 내 나노 TiO2 입자 제거효율 예측을 위한 물질흐름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Material Flow Model for Predicting Nano-TiO2 Particles Removal Efficiency in a WWTP)

  • 반민정;이동훈;신상욱;이병태;황유식;김극태;강주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5-353
    • /
    • 2022
  • 산업과 생활환경에서 사용된 공학적 미세입자는 결국 하수처리장을 거쳐 수계로 배출되므로 미세입자의 수계 배출 제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 연구에서 하수처리장 유출수 내 미세입자의 농도가 무영향관찰농도(No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NOEC)를 빈번히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전통적인 하수처리 기능과 더불어 미세입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수처리장의 설계와 운영을 최적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하수처리장 내 단위공정별 특성 및 운전조건에 따른 미세입자의 거동특성과 제거효율에 대한 예측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 내 각 공정 특성별 및 주요 운전조건의 영향에 따른 미세입자 제거효율예측을 위한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하수처리장에서 미세입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개발 모델에서는 수처리 계통에서의 4개 단위공정(1차침전지, 생물반응조, 2차침전지, 및 총인처리시설)을 고려하고, 슬러지처리 계통은 농축, 소화, 탈수 공정 등의 다중 공정을 통합한 단일 공정으로 모의한다. 모의 대상 미세입자는 TiO2 (nano-TiO2)로서, 수중에서의 용해와 변환은 미미하므로 부유성 고형물과의 부착 기작만을 고려하였다. 부유성고형물에의 nano-TiO2 부착 기작은 고-액상 간 평형가정에 기반한 겉보기분배계수(Kd)를 매개변수로 반영하였으며 정상상태에서의 미세입자의 농도 및 부하를 공정별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개발 모델 구동의 편의를 위하여 MS 엑셀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작하였다. 개발 모델을 이용하여 주요 운전인자인 고형물체류시간(Solid Retention Time, SRT)이 nano-TiO2 제거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Ozone에 의한 PAHs 오염토양 복원 연구(I): 토양슬러리상 오존 산화 (Ozone Oxidation of PAHs in the Presence of Soil (I): Ozonation of Soil Slurry Phase)

  • 임형남;김지연;최희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869-877
    • /
    • 2000
  • Phenanthrene과 benzo[a]pyrene으로 오염된 토양을 슬러리상에서 오존처리시 반응메커니즘을 조사하였다. 토양내 오존주입시 OH-radical의 생성과 반응에 있어서 유 무기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화된 토양매질로써 baked sand(BS), sand(S), glass beads(GB)를 택하여 실험한 결과 제거속도가 BS>S>GB 순으로 나타났다. Radical scavenger 실험을 통하여 OH-radical의 발생경향을 살펴보았는데, BS의 경우 OH-radical의 생성으로 오존과의 직접반응과 더불어 제거효율이 22% 상승됨을 알 수 있었다. Humic acid의 초기농도를 0~5 ppm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반응속도상수(psuedo first-order rate constant: $k_o$)가 $1.37{\times}10^{-2}s^{-1}$에서 $0.53{\times}10^{-2}s^{-1}$으로 감소하였으며, S매질상에서 PAHs의 초기농도 10mg-PAHs/kg-soil의 80%를 제거하는데 소모되는 오존 주입량은 phenanthrene의 경우 $67.2mg-O_3/kg-soil$였고, benzo[a]pyrene의 경우 $48.0mg-O_3/kg-soil$로 산정되었다.

  • PDF

A Computational Model of Cytosolic and Mitochondrial [$Ca^{2+}$] in Paced Rat Ventricular Myocytes

  • Youm, Jae-Boum;Choi, Seong-Woo;Jang, Chang-Han;Kim, Hyoung-Kyu;Leem, Chae-Hun;Kim, Na-Ri;Han, J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5권4호
    • /
    • pp.217-239
    • /
    • 2011
  • We carried out a series of experiment demonstrating the role of mitochondria in the cytosolic and mitochondrial $Ca^{2+}$ transient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from computer simulation. In rat ventricular myocytes, increasing the rate of stimulation (1~3 Hz) made both the diastolic and systolic [$Ca^{2+}]$ bigger in mitochondria as well as in cytosol. As L-type $Ca^{2+}$ channel has key influence on the amplitude of $Ca^{2+}$ -induced $Ca^{2+}$ release, the relation between stimulus frequency and the amplitude of $Ca^{2+}$ transients was examined under the low density (1/10 of control) of L-type $Ca^{2+}$ channel in model simulation, where the relation was reversed. In experiment, block of $Ca^{2+}$ uniporter on mitochondrial inner membrane significantly reduced the amplitude of mitochondrial $Ca^{2+}$ transients, while it failed to affect the cytosolic $Ca^{2+}$ transients. In computer simulation, the amplitude of cytosolic $Ca^{2+}$ transients was not affected by removal of $Ca^{2+}$ uniporter. The application of carbonyl cyanide 4-(trifluoromethoxy) phenylhydrazone (FCCP) known as a protonophore on mitochondrial membrane to rat ventricular myocytes gradually increased the diastolic [$Ca^{2+}$] in cytosol and eventually abolished the $Ca^{2+}$ transients, which was similarly reproduced in computer simulation. The model study suggests that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L-type $Ca^{2+}$ channel to total transsarcolemmal $Ca^{2+}$ flux could determine whether the cytosolic $Ca^{2+}$ transients become bigger or smaller with higher stimulus frequency. The present study also suggests that cytosolic $Ca^{2+}$ affects mitochondrial $Ca^{2+}$ in a beat-to-beat manner, however, removal of $Ca^{2+}$ influx mechanism into mitochondria does not affect the amplitude of cytosolic $Ca^{2+}$ transients.

게껍질 충진 칼럼에 의한 납의 제거 특성 (Characteristics of Lead Removal in a Fixed-Bed Column Packed with Crab Shell Particles)

  • 이무열;강현아;양지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747-1756
    • /
    • 2000
  • 고정층 칼럼에 충진물질로 게껍질(Protunus trituberculatus)과 활성탄(Norit 0.8 SUPRA)을 사용하였다. 10 g의 활성탄만을 충진물질로 사용했을 때는 380 층부피 (bed volume)의 10 mg/L 납 함유 폐수를 처리했을 때 파과 현상 (breakthrough)이 일어났지만, 1 g의 게껍질을 10 g의 활성탄 칼럼에 첨가했을 때는 1520 층부피에서 파과 현상이 일어났다. 게껍질의 첨가로 인해서 활성탄 칼럼의 납 제거능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급격한 효율의 증가는 납의 흡착에 유용한 $CO_3{^{2-}}$$OH^-$ 이온이 증가한 것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여러 가지 분석 결과에 의하면 납 제거의 주된 메카니즘은 게껍질 속의 $CaCO_3$가 용해된 후 납과 반응하여 $Pb_3(C0_3)_2(OH)_2$ 형태로 활성탄의 표면에서 침천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납의 제거능은 유입 폐수 중의 납 농도가 10 mg/L에서 50 mg/L로 증가될 때 2배 정도 증가하였으나 유입 폐수의 pH가 5.0에서 3.0으로 감소할 때 약 40% 정도 효율이 감소하였다.

  • PDF

하천수 내 생물학적 안정성에 따른 유기물 특성변화와 오존산화기반 전처리 연구 (Biological stability in the ozone and peroxone pretreatment systems in river water)

  • 박세희;노진형;박지원;맹승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9-168
    • /
    • 2018
  • Climate change is believed to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surface water, as a result of the release of bulk organic matter, which make difficult to achieve a high quality of drinking water via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techniques. Therefore, the natural water treatment techniques, such as managed aquifer recharge (MAR), can be proposed as a alternative method to improve water quality greatly. Removal of bulk organic matter using managed aquifer recharge system is mainly achieved by biodegradation. Biodegradable dissolved organic carbon (BDOC) and assimilable organic carbon (AOC) can be used as water quality indicators for biological stability of drinking water.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hange of BDOC and AOC with respect to pretreatment methods (i.e., ozone or peroxone). The oxidative pretreatment can transform the recalcitrant organic matter into readily biodegradable one (i.e., BDOC and AOC). We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organic matter characteristics between BDOC and AOC. We observed the decreases in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and the tryptophan-like fluorescence intensities. Liquid chromatographic - organic carbon detection (LC-OCD) analysis also showed the reduction of the low molecular weight (LMW) fraction (15% removed, less than 500 Da), which is known to be easily biodegradable, and the biopolymers, high molecular weight fractions (66%). Therefore, BDOC consists of a broad range of organic matter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molecular weight. In AOC,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matter and biopolymers fraction was reduced by 11 and 6%, respectively. It confirmed that biodegradation by microorganisms as the main removal mechanism in AOC, while BDOC has biodegradation by microorganism as well as the sorption effects from the sand. $O_3$ and $O_3+H_2O_2$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biological stability and dissolved organic matter characteristics. BDOC and AOC were determined to be about 1.9 times for $O_3$ and about 1.4 times for $O_3+H_2O_2$. It was confirmed that $O_3$ enhanced the biodegradability by increasing LMW dissolved organic matter.

신수혈의 침자극과 황기약침이 실험용 생쥐의 면역활성물질인 cytokine의 IL-6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upuncture and Radix Astragali aqua-acupuncture at Synsu(BL23) on transcriptional expression of mouse cytokine IL-6)

  • 김종수;신상습;김철호;박선동;박원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147-155
    • /
    • 1998
  • Acupuncture and Radix Astragali aqua-acupuncture stimuli have long been used to cure human diseases. However, it still remains to be unkown on its action mechanism, physiolosical and biochemical aspects. Thus, many attempts were made to show the scientific background covering the above mentioned mechanisms. Most recent studies show that these tests improve blood circulatory system and increase leucocyte counts. In this study, we have applied the acupuncture stimuli to mouse Sinsu(BL-23), which is a stimulative point of oriental medicine, to see if cytokine such as IL-6 can be detected. Mice were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LPS) for inflammation induction, and then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using each primer set was performed to trace the amounts of mRN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L-6 was not temporarily expressed in normal mice 15 min after the acupuncture was pulled out. But, it started to show a feeble expression at 30 min after the removal of acupuncture and it started to reduce at 1h. after the acupuncture was pulled out 2. IL-6 was specifically expressed in LPS-treated mouse 30 min after the acupuncture was pulled out. The transcriptional expressions of LPS-treated mice were more effective than those of normal mice at 30 min after the removal of acupuncture 3. IL-6 was not temporarily expressed in normal mice 15 min after Radix Astragali aqua-acupuncture. But it expressed most highly at 30 min, and the transcriptional expressions of IL-6 was continued to 3 h. 4. IL-6 was not expressed in all the time after Radix Astragali aqua-acupuncture in LPS-treated mice. Therefore, a follow-up of cytokine IL-6 can be used not only a basis of the effect of acupuncture and Radix Astragali aqua-acupuncture but a diagnosis giude through the immunological action of thats. And, it is suggested that cytokine's expression by Acupuncture and Radix Astragali aqua-acupuncture stimulation should be continuously elucidated.

  • PDF

지하수에서 유래한 벤젠의 노출경로별 인체축적특성 (Accumulation Property in Human Body of Benzene Derived from Groundwater According to Exposure Pathway)

  • 김상준;이현호;박지연;이유진;유동한;양지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1호
    • /
    • pp.12-2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벤젠을 대상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생활용수로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실내오염도를 모사하고 실내에서 가능한 흡입, 섭취, 피부흡수와 같은 노출경로를 고려하여 노출시나리오를 자성하였다. 인체에 유입된 벤젠에 대하여 PBPK 모델을 이용하여 인체의 각 장기에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결과에서 흡입과 섭취가 주요노출 경로였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호흡량으로 인해 보다 높은 노출속도를 유지하였다. 노출속도에 대한 피부흡수의 공헌도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았다. 단기노출의 결과 오염물 노출에 대하여 SPT, RPT,간의 정맥혈 중 벤젠농도는 빠르게 증감하는 반면 지방의 경우는 느리게 반응하였고 많은 벤젠이 지방세포에 축적되어 정맥혈에는 적은 농도로 존재하였다. 장기간 노출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전체적으로 2.1배 많은 벤젠을 체내에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간 노출에서 총유입벤젠의 98%가 호흡과 대사분해에 의해 제거되었다. 흡입경로는 벤젠이 호흡배출에 의해 69.8% 제거되었으며 섭취경로는 48.4%로 오염물이 유입되는 위치에 따라 각각의 제거기작의 공헌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내오염에 따라 오염물이 체내에 흡수되고 분포ㆍ제거되는 현상을 이해하고 노출저감대책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춘계 한국 동해 남부해역에서의 식물 수문학적 수역과 질산염약층의 수직양상 (Phytohydrography and the Vertical Pattern of Nitracline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Korean East Sea in Early Spring)

  • 심재형;앙성렬;이원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5-28
    • /
    • 1989
  • 한국 동해 남부해역에서 봄철의 정량적 식물플랑크톤 시료, 수온, 염분, 용존산소 및 영양소의 자료를 분석하여 나타난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수문학적 조건과의 밀접한 상관관계로 보아 연구해역이 3개의 식물 수분학적 해역, 즉 1) 한국동부 난수해역(대마해류의 지류), 2) 북한한류 해역, 3) 위 두 해역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외해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식물플랑크톤의 수직분포는 수층의 안정성과 영양소 농도에 좌우된다. 영양소 농도는 수괴에 따라 특징적인 분포를 보인다. 표층에서 N/P ratio 는 약 3으로서 연구 해역에서의 주 한정 영양소가 질소임을 나타낸다. N/P removal ratio 는 12.54 ($r^2$ = 0.96) 이며 redfield ratio 와 근사하다. 질소약층 중 prirnary nitrite maximum은 식물플랑크톤의 분비로 형성되고 secondary nitrite maximum은 용존산소의 값이 5.2ml/l 이상인 연안 수역에서 나타냈다. 이 secondary maximum 형성의 기작은 용존산소의 값이 0.25 이하인 경우에 나타나는 다른 해역의 경우와는 달리 5.2ml/l 이상인 수역에서 관찰되어, 박테리아 활동에 의한 유기물질의 분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나, 결론을 내리기에는 더 연구가 요망된다.

  • PDF

커피찌꺼기 biochar를 활용한 구리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opper using Biochar Derived from Exhausted Coffee Residue)

  • 박종환;김홍출;김영진;김성헌;서동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2-28
    • /
    • 2017
  • 본 연구는 커피찌꺼기의 환경친화적인 재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커피찌꺼기 biochar를 제조하고, 제조된 biochar를 이용하여 구리에 대한 흡착특성을 평가하였다. 커피찌꺼기 biochar에 대한 구리의 흡착은 반응 2시간 이내에 급격하게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2시간 이후부터는 천천히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등온흡착 실험의 결과 Langmuir 및 Freundlich 등온흡착식 모두에서 CB600이 CB300에 비해 높은 흡착능을 보였다. 커피찌꺼기 biochar에 대한 구리의 흡착능 예측을 위한 최적모델로는 동적흡착모델의 경우 유사이차속도반응식, 그리고 등온흡착모델의 경우 Langmuir 등온식이 더 적합하였다. 또한 SEM-EDS 분석결과 구리 흡착 후 biochar 표면에 구리가 매우 높은 농도로 흡착되어 있었으며, 이들의 흡착은 biochar 표면의 양이온 교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볼 때, 커피찌꺼기는 biochar 제조를 위한 재료로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며, 구리 흡착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