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ained fine bon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김치양념과 유기산을 이용한 소형 적색육어 조미숙성제품 개발 2. 꽁치 조미숙성제품의 관능적 품질평가 (Development of Conditioning for Small Red Muscle Fish Using Kimchi Seasoning Ingredients and Organic acids 2. Sensory Evaluation in Conditioned Saury with Kimchi Seasoning and organic acids)

  • 임영선;정인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15-319
    • /
    • 2001
  • 소형 적색육어 중 꽁치, Cololabis saira를 김치와 같은 산성의 조미양념에 담금$\cdot$숙성하여 어육 및 등뼈의 연화와 잔뼈의 감소를 통해 whole 상태로 어린이도 뼈에 대해 아무런 걱정 없이 식용할 수 있도록 기호성이 있는 새로운 가공품을 제조하였다. 마른간 제품에 비해 물간 제품은 숙성 중 신맛, 부패취 및 조직의 과도한 연화로 인해 관능적 품질변화가 나빠졌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조리 후에도 여전히 남아있어 조미숙성제품 제조시 염 첨가방법은 마른간이 적합하였고, 구운 제품이 자숙한 제품에 비해 육즙의 유출량이 적은 관계로 모든 항목에서 관능적 기호도가 높아 조리법은 구이법이 적합하였다. 숙성 60일 후 물간 제품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histidine, leucine,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등으로 나타났으며, 미강 첨가유무에 관계없이 마른간 제품에서는 histidine, glutamic acid, arginine, leucine, alanine 등으로 나타나 염첨가방법에 따른 유리아미노산 조성의 차이를 보였다. 마른간을 하고 미강을 첨가한 제품은 첨가하지 않은 제품에 비해 색택, 맛, 조직감이 향상되어 관능적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유리아미노산 총량, 정미성 아미노산 함량, 잔뼈의 감소 및 등뼈 강도의 연화 개선 능도 첨가하지 않은 제품보다 높아 조미숙성제품 제조시 마른 간을 하고 미강을 첨가하는 것이 저이용 자원의 활용 측면에서 상업적 제품화가 기대된다.

  • PDF

인태아 수지말절골의 골화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The Ultrastructure of Osteogenesis in Distal Extremity of the Distal Phalanges of Human Fetus)

  • 윤재룡;김상용;남광일
    • Applied Microscopy
    • /
    • 제26권2호
    • /
    • pp.177-195
    • /
    • 1996
  • Fine structure of the processes of intramembranous ossification and endochondral ossification at the tip of the distal phalanx of human fetuses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In 50 mm fetus, intramembranous ossification of the tip of cartilaginous phalanx was first noted. The osteoblasts of the perichondral zone of tip of cartilaginous phalanx started to lay down a thick membranous bony lamella. Most of the hypertrophied chondrocytes in the marginal parts of tip of the distal phalanx remained viable after being embeded in mineralized cartilaginous septa. The tuberosity of the distal phalanx was formed by membranous bony trabeculae on the exterior of the subperiosteal cap at 80 mm fetus. At this stage endochondral ossification was first observed in distal extremity of the distal phalanx. The maority of hypertrophied chondrocytes in the center of distal extremity appeared to be disintegrating. Resorption of calcified matrix was undertaken by perivascular cells and chondroclasts. From the periosteum, zone of calcification, vascular sprouts expanded within a recently opened lacunae, and the invading osteoblasts laid down osteoid and bone. After 120 mm fetus, endochondral and subperiosteal ossification proceeded in only one direction, just proximall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intramembranous ossification, calcification, and endochondral ossification start at tip of the distal phalanx instead of at the center of the shaft, as was the case in other long bo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