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on Extraction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8초

최대 병렬성 추출을 위한 자료 종속성 제거 알고리즘 (A Data Dependency Elimination Algorithm for Extracting Maximum Parallelism)

  • 송월봉;박두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6권1호
    • /
    • pp.139-139
    • /
    • 1999
  • In most application programs, loops usually comprise most of the computation in a program and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parallelism. When the data dependency relation is uniformin terms of distance, several compile time parallelization methods were introduced. On the otherhand,when the data dependency relation is non-uniform in distance, the compile time extraction ofparallelism is much complicated. In this paper, a general method the extracting parallelism in nestedloops is presented. This algorithm can be applicable where the dependency relation is both uniform andnon-uniform in distance. According to execution repeatedly the statements in nested loops, thealgorithm which effectively removes these kind of data dependencies is developed in order to presentthe total parallelization of nested loops.

다중-어의 단어 임베딩을 적용한 CNN 기반 원격 지도 학습 관계 추출 모델 (CNN-based Distant Supervision Relation Extraction Model with Multi-sense Word Embedding)

  • 남상하;한기종;김은경;권성구;정유성;최기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7년도 제2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37-142
    • /
    • 2017
  • 원격 지도 학습은 자동으로 매우 큰 코퍼스와 지식베이스 간의 주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계 학습에 필요한 학습 데이터를 사람의 손을 빌리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어, 많은 연구들이 관계 추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 지도 학습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에서는 모델 학습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단어 임베딩에서 단어의 동형이의어 성질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 동형이의어가 하나의 임베딩 값을 가지다 보니,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채 관계 추출 모델을 학습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 지도 학습 기반 관계 추출 모델에 다중-어의 단어 임베딩을 적용한 모델을 제안한다. 다중-어의 단어 임베딩 학습을 위해 어의 중의성 해소 모듈을 활용하였으며, 관계 추출 모델은 문장 내 주요 특징을 효율적으로 파악하는 모델인 CNN과 PCNN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다중-어의 단어 임베딩 적용 관계추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2가지 방식의 단어 임베딩을 학습하여 비교 평가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어의 중의성 해소 모듈을 활용한 단어 임베딩을 활용하였을 때 관계추출 모델의 성능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 PDF

다중-어의 단어 임베딩을 적용한 CNN 기반 원격 지도 학습 관계 추출 모델 (CNN-based Distant Supervision Relation Extraction Model with Multi-sense Word Embedding)

  • 남상하;한기종;김은경;권성구;정유성;최기선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정보학회 2017년도 제29회 한글및한국어정보처리학술대회
    • /
    • pp.137-142
    • /
    • 2017
  • 원격 지도 학습은 자동으로 매우 큰 코퍼스와 지식베이스 간의 주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계 학습에 필요한 학습 데이터를 사람의 손을 빌리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어, 많은 연구들이 관계 추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 지도 학습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에서는 모델 학습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단어 임베딩에서 단어의 동형이의어 성질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 동형이의어가 하나의 임베딩 값을 가지다 보니,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채 관계 추출 모델을 학습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 지도 학습 기반 관계 추출 모델에 다중-어의 단어 임베딩을 적용한 모델을 제안한다. 다중-어의 단어 임베딩 학습을 위해 어의 중의성 해소 모듈을 활용하였으며, 관계 추출 모델은 문장 내 주요 특징을 효율적으로 파악하는 모델인 CNN과 PCNN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다중-어의 단어 임베딩 적용 관계추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2가지 방식의 단어 임베딩을 학습하여 비교 평가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어의 중의성 해소 모듈을 활용한 단어 임베딩을 활용하였을 때 관계추출 모델의 성능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 PDF

2D 영상의 효과적인 부분 정합 시스템과 영역기반 영상 표현 (An Efficient Partial Matching System and Region-based Representation for 2D Images)

  • 김선종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868-874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partial matching system and representation by using a region-based method for 2D image, and we applied to an extraction of the ROI(Region of Interest) according to its matching score. The matching templates consist of the global pattern and the local one. The global pattern can make it by using region-based relation between center region and its rest regions in an object. And, the local pattern can be obtained appling to the same method as global, except relation between objects. As the templates can be normalized, we use this templates for extraction of ROI with invariant to size and position. And, our system operates only one try to match, due to normalizing of region size. To use our system for searching and examining if it's the ROI by evaluating the matching function, at first, we are searching to find candidate regions with the global template. Then, we try to find the ROI among the candidates, and it works this time by using the local template. We experimented to the binary and the color image respectively, they showed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be used efficiently for representing of the template and the useful applications, such as partially retrievals of 2D image.

NDSL 검색 질의어와 기술용어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적 연구 (A Relation Analysis between NDSL User Queries and Technical Terms)

  • 강남규;조민희;권오석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3호
    • /
    • pp.163-17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NDSL을 검색하기 위해 이용자가 입력하는 검색 질의어를 대상으로 질의어에 사용되는 키워드와 학술지에서 추출한 기술용어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관계 분석을 위해 사용된 키워드는 17개월 동안의 NDSL 검색 질의어에서 추출한 약 83만3,000개, 기술용어는 NDSL, INSPEC, FSTA 3개 영문 학술지 데이터베이스 약 4,100만건에서 추출한 약 97만5,000개이다. 그리고 분석에 사용된 키워드와 기술용어는 2어절 이상의 영어 단어이며, 이들 간의 관계 분석은 키워드와 기술용어간의 일치성, 연관성, 기술용어에 대한 빈도 분석 등이다.

하악 제3대구치의 맹출 양상과 치관주위염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PERICORONITIS AND ERUPTION STATE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 정정권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2호
    • /
    • pp.161-167
    • /
    • 2006
  • Objectives: Pericoronitis was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mandibular third molar surgery and there are no universally acceptable predictive criteria for pericoronitis occurren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 pericoronitis and the eruption state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using panoramic radiographs statistically. Materials and Methods: 218 patients whose chief complaint was the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were examined. The presence and absence of pericoronitis, age, sex, position of extraction site, angulation, impaction degree, position to the anterior border of mandibular ramus, distance between distal cementoenamel junction of second molar and mesial cementoenamel jun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were assessed. Then the correlation of pericoronitis and the eruption state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were analyzed by Student's t-test and chi-square test. Result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ericoronitis and age, sex, posi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The angulation(P=0.005), impaction degree(P=0.043), relation with anterior border of mandibular ramus(P=0.003), distance between distal cementoenamel junction of second molar and mesial cementoenamel jun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P<0.05) were correlated with pericoronitis. Conclusions: The occurrence of the pericoronitis can be predicted by the eruption state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such as angulation, impaction degree, relation with anterior border of mandibular ramus, distance between distal cementoenamel junction of second molar and mesial cementoenamel junction of third molar.

관계 추출 및 지식베이스 확장을 위한 반복 학습 시스템 설계 (Iterative learning system design for relation extraction and knowledge base population)

  • 정용빈;남상하;김지성;이민호;최기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85-189
    • /
    • 2019
  • 관계추출기의 학습을 위해서는 많은 학습 데이터가 필요한데, 사람이 모으게 되면 많은 비용이 필요하여 원격 지도 학습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이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원격 지도 학습은 지식베이스를 기반으로 학습 데이터를 자동으로 만들어 내는 방식이기에 비용이 거의 들지 않지만, 지식베이스의 질과 양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원격 지도 학습을 기본으로 관계추출기의 성능을 향상 시키고, 지식베이스를 확장하는 방안으로 반복학습을 제안한다. 실험을 적은 비용으로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 반복학습을 자동화 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여 실험을 하였고, 이 시스템으로 관계추출기의 성능이 향상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으며, 반복학습을 통한 지식베이스의 확장 방안을 제시한다.

  • PDF

Visualization for Digesting a High Volume of the Biomedical Literature

  • Lee, Chang-Su;Park, Jin-Ah;Park, Jong-C.
    • Bioinformatics and Biosystems
    • /
    • 제1권1호
    • /
    • pp.51-60
    • /
    • 2006
  • The paradigm in biology is currently changing from that of conducting hypothesis-driven individual experiments to that of utilizing the results of a massive data analysis with appropriate computational tools. We present LayMap, an implemented visualization system that helps the user to deal with a high volume of the biomedical literature such as MEDLINE, through the layered maps that are constructed on the results of an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LayMap also utilizes filtering and granularity for an enhanced view of the results. Since a biomedical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gives rise to a focused and effective way of slicing up the data space, the combined use of LayMap with such an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can help the user to navigate the data space in a speedy and guided manner. As a case study, we have applied the system to datasets of journal abstracts on 'MAPK pathway' and 'bufalin' from MEDLINE. With the proposed visualization, we have successfully rediscovered pathway maps of a reasonable quality for ERK, p38 and JNK. Furthermore, with respect to bufalin,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potentially interesting relation between the Chinese medicine Chan su and apoptosis with a high level of detail.

  • PDF

생의학분야 PLOT 및 관계추출을 위한 테스트컬렉션 구축 (Construction of Test Collection for Extraction of Biomedical PLOT & Relations)

  • 최윤수;최성필;정창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5-427
    • /
    • 2010
  • 대용량 문서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작업은 크게 개체명 인식, 전문용어 인식, 관계추출 작업으로 구성된다. 이들 각각의 기술들은 지금까지 독립적으로 연구되어 왔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기계학습모델을 위한 테스트컬렉션 또한 독립적으로 구축되어 왔다. 과학기술문헌의 경우 개체명과 전문용어가 혼재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 문서가 많아, 기존의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접근한다면 결과물 통합과정의 불편함과 처리속도에 많은 제약이 따르므로, 개체명과 전문용어를 동시에 추출 할 수 있는 기계학습 모델을 위한 테스트컬렉션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의학 분야 과학기술문헌에 대한 개체명, 전문용어를 통합한 PLOT(Person, Location, Organization, Terminology)과, PLOT 간의 관계추출을 위한 테스트컬렉션을 구축한다.

  • PDF

Extraction of the atmospheric path radiance in relation to retrieval of ocean color information from the TM and SeaWiFS imageries

  • Ahn, Yu-Hwan;Shanmugam, P.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4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1-246
    • /
    • 2004
  • The ocean signal that reaches the detector of an imaging system after multiple interactions with the atmospheric molecules and aerosols was retrieved from the total signal recorded at the top of the atmosphere (TOA). A simple method referred to as 'Path Extraction' applied to the Landsat-TM ocean imagery of turbid coastal water w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ark-pixel subtraction technique. The shape of the path-extracted water-leaving radiance spectrum resembled the radiance spectrum measured in-situ. The path-extraction was also extended to the SeaWiFS ocean color imagery and compared with the standard SeaWiFS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 which relays on the assumption of zero water leaving radiance at the two NIR wavebands (765 and 865nm). The path-extracted water-leaving radiance was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radiance spectrum. In contrast, the standard SeaWiFS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 led to essential underestimation of the water-leaving radiance in the blue-green part of the spectrum. The reason is that the assumption of zero water-leaving radiance at 755 and 865nm fails due to backscattering by suspended mineral particles. Therefore, the near infrared channels 765 and 865nm used fur deriving the aerosol information are no longer valid for turbid coastal waters. The path-extraction is identified as a simple and efficient method of extracting the path radiance largely introduced due to light interaction through the complex atmosphere carried several aerosol and gaseous components and at the air-sea interface.interf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