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habilitation training

검색결과 1,246건 처리시간 0.028초

국소 허혈성 뇌손상 흰쥐 모델에서 환경강화 조건 하 수정된 건측억제유도 운동치료가 앞다리 운동기능 증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proved Forelimb Sensorimotor Function on the Modified CIMT Applied Under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Enrichment in a Focal Ischemic Brain Injury Rat Model)

  • 이삼규;김계엽;남기원;오명화;김용억;김은정;장미경;김경윤;정현우;김종만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8-56
    • /
    • 2007
  • Environmental Enrichment (EE) alone is not capable of enhancing the fine digit and the forelimb functions. Therefore, we applied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mCIMT) under the influence of EE to assess its effect on promoting improved forelimb sensorimotor functions. Focal ischemic brain injury was produced in Sprague-Dawley rats (60 rats, $250{\pm}50$ g) through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Before MCAO induction, all rats were trained in modified limb placing tests and reaching tasks for 1 week. Then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I: application of standard environment (SE) after MCAO induction (n=20), Group II: application of EE after MCAO induction (n=20), Group III: MCAO+EE, mCIMT and task-oriented training that was initiated at 10th day after MCAO induction (n=20). We also applied mCIMT (between 9 AM and 5 PM/daily) which included restraining the forelimb ipsilateral to the lesion using the 'Jones & Schallert' method. We assessed the change of modified limb placing, single pellet reaching test and the immunoreactivity of BDNF by immunohistochemistry (pre, 1st, 5th, 10th and 20th day). Group I showed no improved outcome, whereas group II and III significantly improved on the use of the forelimb and the immunoreactivity.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killed reaching test, of group III showe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the fine digit and the forelimb fun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E combined with mCIMT is more functional in promoting enhanced fine digit and forelimb functional movements.

  • PDF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 이용자 가족의 서비스 만족도 및 요구조사 (A Study on Service Satisfaction of Users' Family in Charged Recuperation Facilities Specializing in the Old)

  • 정연강;한승의;이영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7-40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harged recuperation facilities which are specialized in the old. after finding out the satisfaction degree for the services which are provided in the current charged recuperation facilities specialized in the old and surveying the services which are demanded by use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ubjects were 88 family members of the users in the five charged recuperation facilities, which are specialized in the old and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The survey research was executed from 27th July to 15th September, 2002. T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0.0 for windows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user's family about the daily service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degree for the kind service of the staff to the users. In the satisfaction degree about the specialized service of the user's family, the satisfaction degree was high in bedsore prevention, periodical health care, proper medical treatment, family counsel, and adequate disease management. In the satisfaction degree about the facility and environmental service, the satisfaction degree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facility or safety facility, and the comfort condition was high. In the satisfaction degree about the services related to the local society, it was high in the hospital and medical-related field. Secondly, in the demanded services, the demanding degree for worship, mental and spiritual nursing, hospice, funeral service, family meeting, and support for the special vehicle were not so high, but it was shown that they were generally demanded. Thirdly, it was shown that the provided services had an overall high satisfaction degree. In the service satisfaction degre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family, it was recogniz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stinction of sex and local society related service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degree between age and specialized service.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detailed rehabilitation programs such as linguistic treatment and working treatment should be more and more compensated in order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points of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charged recuperation facility specialized in the old. Additionally, the correlation with the local society such as education and training for specialized human labor, close cooperation among the facilities, and positive participation in local society events are thought to be reinforced.

  • PDF

펜싱선수에서 통증과 수행 능력이 기능적 동작 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Functional Movement Screen on Pain and Performance Ability in Professional Fencing Players)

  • 김성렬;이제훈;안승헌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1호
    • /
    • pp.21-28
    • /
    • 201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pain, and performance ability in professional fencing players. Methods: Fifty-six athle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in group included those who had a score on a pain-related Visual Analogue Scale (VAS) of ${\geq}$20 and an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score ${\geq}$10). In the non-pain group, these scores were: VAS(<20), ODI(<10). The VAS and ODI were used to measure pain throughout the study. Performance ability included motor function of the lower extremities (as assessed by a Modified Functional Index Questionnaire, MFIQ), dynamic balance (Balance system, BS and Posture med, PM), flexor and extensor muscle strength of the lumbar region was recorded as maximal isometric strength. Results: Among athletes who had pain, 5 of 15(33.33%) showed impaired functional movement. Conversely, only 2 of 41(4.88%) of those who had no pain showed such impairment (FMS ${\leq}$14score). The athletes who had pain and who had an FMS score above 14 (10/56; 17.86%)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for extensor muscle strength of the lumbar compared with those with pain and an FMS score below 14 (5/56; 8.93%)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FMS and pain (r=-0.40 to -0.42, p<0.01), the MFIQ (r=-0.33, p<0.05), dynamic balance (r=-0.27 to -0.40, p<0.05-0.01), muscle strength of the lumbar (r=0.27 to 0.29, p<0.05).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dynamic balance score (${\beta}{\beta}$=-0.41) had slightly more power in predicting FMS score than pain,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y, or muscle strength. Conclusion: The FM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alues of pain, motor function of the lower extremities, dynamic balance, and muscle strength of the lumbar. However the FMS appears to lack relevance and reasonable evidence to suggest that it is an acceptable measurement tool for functional movement analysis.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서비스 연계실태 및 연계관련 요인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Linking Services amo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 박미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63-91
    • /
    • 2002
  • 본 연구는 정신보건기관에 근무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70명을 대상으로 서비스 연계실태 및 연계관련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첫째로 연계정도는 정보교환과 클라이언트 의뢰에서 높았으며, 자금동원과 공동협의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기관유형별로는 정신의료기관과 정신보건센터 및 사회복귀시설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연계가 가장 빈번하였다. 또한 접촉은 전화로, 연계경로는 기관 홍보물과 친분에 의해, 접촉대상은 일선 담당자인 경우가 많았다. 둘째,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연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그 주요 이유를 클라이언트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제공이라고 하였다. 또한 연계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보체계의 구축 및 연계대상기관의 확대, 기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에 따른 연계의 차이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학력이 높을수록, 관리자급인 경우, 정신보건경력이 높을수록, 자격증이 있는 경우(이상 개인요인), 그리고 소재지가 농어촌이고,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인 경우, 주요대상이 만성 정신장애인인 경우(기관요인)에 연계가 높았다. 넷째, 연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요인으로 정신보건경력 및 현 기관경력, 학력이, 그리고 조직요인으로 기관소재지 및 기관유형, 기관연도가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보건서비스 연계를 위한 공식적 협의체 및 정보망을 마련하고, 연계를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공식업무로 인정하며, 나아가 연계내용과 대상을 확대할 뿐 아니라, 정부지원 하에 시범적 연계사업을 계획하는 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우리나라 치매노인의 낙상 유병률과 위험요인: 고령화연구패널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fall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Korea: Based on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 임승주;김정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04-209
    • /
    • 2021
  •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의 치매 관련 요인 및 동반질환이 낙상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한 자료분석 연구이다.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2018년 제7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치매 노인 119명을 분석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치매 관련 요인은 치매 유병 기간 및 치매로 인한 일상생활 제한 여부에 대한 응답자료를 활용하였고, 동반질환은 고혈압, 당뇨, 비만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22.0을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자의 치매관련 요인 및 동반질환 모두 낙상 위험도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비만, 당뇨, 고혈압, 치매로 인한 일상생활 제한, 치매 유병 기간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의 낙상 위험을 높이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낙상 예방 프로그램의 구성에 우선되어야 할 요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노인 케어에 치매유병기간과 일상생활 제한에 따른 낙상예방 전략과 동반질환으로 인한 낙상 고위험군의 집중 관리와 보행 보조도구 등 안전 보조도구 사용 훈련이 필요할 것이다.

수직 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 환자의 무력감,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rticultural Program Using Vertical Garden on Helplessn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 김미영;임동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291-29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직 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 환자의 무력감, 우울증,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6 월부터 10월까지 서울 E 병원 재활병원에 입원한 만성 정신장애 환자 21명에게 적용됐다. 그룹은 실험군 (N = 21)으로 주 5회 치료를 받았다. 20 주 동안, 각 세션은 30분 동안 지속하였다. 실험 그룹의 환자들은 일상적인 활동을 위한 인지 및 훈련을 향상시키는 치료를 결합한 일반 작업치료 4세션과 수직 정원을 사용하는 원예프로그램의 1세션을 하였다. 원예프로그램의 사전 및 사후 평가를 위해 무력감, 우울증 및 자존감을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을 마친 후 실험군 환자의 무력감 평균 점수는 47.38에서 46.47로 0.91점 감소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05). 실험군 환자의 우울증 평균 점수는 사전에 9.23 사후 6.9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 = 0.035). 실험군 환자의 자존감 평균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27.99에서 31.13로 3.14점 증가했다 (p = 0.001). 이 결과는 수직 정원을 이용한 원예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 환자의 무력감, 우울,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며, 만성 정신장애의 지역사회로의 회복을 위해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수직 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프로그램으로 폐쇄적 치료공간에서 정신장애인들의 무력감이 회복되고 이러한 치료공간의 증가가 필요하다.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고용유지 영향 요인 : 재발사건생존분석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Factors Analysis of Job Retention for Injured Workers after Return-to-Work Using Recurrent Event Survival Analysis)

  • 한기명;이민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4호
    • /
    • pp.221-249
    • /
    • 2017
  •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들의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고용유지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원직복귀 시에는 고용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 원직복귀에 실패한 경우에는 어떠한 대상을 우선적으로 개입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한 영향요인을 구성하고, 이를 산재보험패널조사 내에 1,292명을 분석함으로써 각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원직복귀집단의 경우 평균 46.6개월, 타직복귀집단의 경우 평균 34.2개월 동안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직복귀가 원직복귀에 비해 여러 번 실업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일반적 특성에서도 열악한 노동시장 환경임을 확인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직업복귀기간이 길수록 지속적인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직복귀 시 연령이 낮을수록, 요양기간이 짧을수록, 전반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일수록, 사회심리재활서비스, 교육 훈련 및 직업훈련을 경험한 경우 고용유지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직업복귀기간의 적절한 유예기간 설정과 재해 당시 근로환경이 열악한 근로자의 원직복귀 혹은 산재보상 및 재활서비스 우선적 개입,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성공 이후에도 사례관리 등을 통한 산재재활서비스의 적극적인 홍보 등을 정책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성악가를 위한 VAT 음성치료 개발 및 적용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Vocal Aerobic Treatment Voice Therap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Classical Singers)

  • 유재연;이하나
    • 재활복지
    • /
    • 제22권1호
    • /
    • pp.157-168
    • /
    • 2018
  • 본 연구는 반폐쇄성도훈련에 기반을 둔 성대에어로빅치료(Vocal Aerobic Treatment: VAT)가 소프라노 성악가 음성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성대결절로 음성문제를 호소하는 소프라노 성악가 1명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치료 전 후 음향학적평가와 주관적 음성평가를 실시하여 측정값을 비교하였으며, 성대에어로빅치료는 주 2회 총 32회기동안 진행하였다. 음향학적 평가는 MDVP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와 VRP (voice range profile)를 사용하여 음도, 음질, 음역을 평가하였으며, 주관적 음성평가는 SVHI (singing voice handicap index)로 주관적인 음성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음도 평가 결과 치료 후 소프라노 가수에 적절한 기본주파수(Fo)를 유지하였다. 음질평가 결과 주파수변동률(Jitter), 진폭변동률(Shimmer), 배음대소음비(NHR) 수치가 치료 전보다 감소하였다. 음역평가결과 음역의 범위가 넓어졌으며 반음의 개수가 30개에서 35개로 증가하였다. 주관적 음성평가는 설문 보고 후 획득한 총 점수를 문항수로 나눈 결과 3.6점에서 0.6점으로 감소하였으며, 본인이 느끼는 음성문제의 정도가 경미하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정리해보면 성대에어로빅치료는 성악가 음성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소프라노 성악가 1명을 대상으로 한 성대에어로빅치료의 치료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로 향후 더 많은 성악가를 대상으로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성악가뿐만 아니라 다양한 직업적 음성사용자를 위한 음성관리 및 음성치료프로그램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on Sensory Processing, Peer Interaction and Task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최지현;김희;이재신;유두한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1-125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그 효과의 지속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만 7세 이상 13세 미만의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주 3회 60분씩 8주 동안 진행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는 감각처리와 놀이기술,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포함된 총 24가지 주제에 맞는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평점척도,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의 사전 사후 추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사전 사후 추적조사의 평균 점수 차이를 분석하였고, 윌콕슨 순위검정을 사용하여 사전 사후 추적조사의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중재 이후 대상자들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4주후 실시한 추적조사에서 치료의 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그룹감각통합치료는 감각처리능력의 증진뿐만 아니라, 또래상호작용이 필요한 학령기 아동들에게 모방과 그룹 안에서의 연습을 제공하고, 일상생활까지 그 효과를 연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이다.

건강한 성인의 양측상지기능의 상상훈련과 신체적 수행의 대뇌 연결성 비교: 사례 연구 (Comparison of Brain Connectivity in Mental Practice and Physical Performance of Bilateral Upper Extremity Function in a Healthy Adult: A Case Study)

  • 정은화;김희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1호
    • /
    • pp.41-50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양측상지기능 훈련을 통해서 활성화 되는 대뇌 연결성에서 상상 훈련과 신체적 수행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건강한 성인 1명으로 상상훈련과 신체적 수행 시 EEG 측정이 이루어졌다. 양측상지기능 훈련은 대칭 과제와 비대칭 과제로 구성되었다. 대칭 과제는 양손으로 박스를 잡고 동시에 위의 선반으로 올렸다가 다시 내려놓는 과제이고, 비대칭 과제는 한 손으로 병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뚜껑을 여는 과제였다. EEG 전극은 Fp1, Fp2, F3, F4, T3, T4, P3 및 P4에 부착되었다. 데이터 분석은 EEG 전극 쌍 간의 상관 분석을 위해 Cross-Line Mapping을 사용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대칭 및 비대칭의 양측 상지 과제에서 대뇌 연결성 패턴은 운동과 감각 영역에서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양측상지기능 훈련 시 상상훈련보다 신체적 수행에서 대뇌 연결성이 더 높은 상호상관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