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ular dental visit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4초

양악 전방분절골절단술과 이부 성형술을 통한 개방교합의 치험례 (TREATMENT OF ANTERIOR OPEN BITE WITH BIMAXILLARY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ND GENIOPLASTY)

  • 황용인;홍순민;박준우;이건주;조형준;천세환;박양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3호
    • /
    • pp.355-364
    • /
    • 2008
  • Skeletal anterior open bite is a difficult problem to correct in orthodontic treatment. To treat adult patients who have skeletal anterior open bite, we considered two methods. Combination treatment of orthodontics & surgery and camouflage orthodontic treatment. In adults, treatment of severe skeletal anterior open bite consists mainly of surgically repositioning the maxilla or the mandible. However, camouflage therapy is often the treatment of choice for skeletal open bite patients who have mild to moderate skeletal discrepancies when growth modification is no longer possible. But excellent results generally require careful coordination of the orthodontic and surgical phases of treatment. This is a case report of a skeletal anterior open bite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gnathic surgery. First case was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 malocclusion & bimaxillary protrusion with anterior open bite, and finally treatment ended for removal of open bite with orthodontic procedure and bimaxillary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surgery. Second case was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with open bite & mandibular retrusion, and was treated with only camouflage orthodontics because she feared to have a surgery. In a regular follow up visit after debonding we proposed to the patient advanced genioplasty, and in her agreement her facial esthetics was improved through the surgery.

Prevalence of periodontitis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06

  • Choi, Youn-Hee;Baek, Hye-Jin;Song, Keun-Bae;Han, Ji-Youn;Kwon, Ho-Jang;Lee, Sang-Gyu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sup2호
    • /
    • pp.261-268
    • /
    • 2009
  • Purpose: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s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periodontitis and known risk factors. Methods: Using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06 data, a total of 4,263 people who had taken oral examination, interviewed by questionnaire, and aged 18 or older were sampled. The prevalence of periodontitis measured by Community Periodontal Index (CPI) was calculated and the differences in prevalence according to known risk factors (age, sex, monthly income, education, residential area, tooth-brushing frequency, regular dental visit, smoking, and diabetes) were examined with chi-square 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see the effects of each risk factor on the risk of having periodontitis. All statistical approaches were reflected national sampling design using Survey procedures in SAS 9.1.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s was 10.3%. There exis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ude prevalence for periodontitis according to the all risk factors. In logistic regression, older age groups (O.R.:2.94-3.71), people living in rural area (O.R.:1.87), and current smokers (O.R.:1.77) were significantly prone to have periodontitis. People who earned monthly income of more than 2 million Korean won (O.R.:0.64) and brushed their teeth two or more times per day (O.R.:0.60-0.62) had significantly lower risk of having periodontitis. Conclusions: About 10% of Korean adults had periodontitis in 2006. People who were older, living in rural region, in lower income status, smoking, less tooth brushing were more likely to have periodontitis.

Chloral hydrate 경구투여의 진정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소아환자에 대한 Midazolam의 비강내 추가 투여 (The sedative effect of intranasal Midazolam additionally administered to children who fail to respond properly to oral Chloral Hydrate)

  • 유병규;김종수;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37-542
    • /
    • 1997
  • Chloral hydrate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sedative agents to control the difficult-to-treat young age group in the dental clinic. The normal onset time of oral Chloral hydrate is 30-45 minute with some variations. We are often frustrated see the patient still awake and cry with agitation even after far more than the normal onset time. In such a case, the patient has to be rescheduled for another sedation visit with different agents and/or routes which greatly disappoints the guardians. This case report presents a sedative regimen that can possibly help the clinician complete scheduled treatment without postponement. We have tried additional administration of Midazolam intranasally to 22 patients of those who failed to respond properly to the initial dose(50-75mg/kg) of oral Chloral hydrate. The average age and weight of the patients was 34.2 months(22-61 mos.) and 15.2 kg(10-17 kg) respectively. Half of the regular dose of Midazolam(0.1mg/kg) was administered intranasally. using needless syringe in 42 cases without notable resistance of the patient. The onset was very rapid in most cases and colud proceed the treatment under the constant monitoring by Pulse oximeter. All the planned procedures could be completed in 93.2 % (69.4% of 'Good' plus 23.8% of 'Fair' rating)with only 6.8 %('Poor' rating) of failure rate. Evidence of adverse effect was not detected or reported during and/or after the procedures.

  • PDF

노인요양시설에 있는 노인환자의 구강실태 및 치료수요도 (Oral health status and treatment need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patients)

  • 양순봉;문홍석;한동후;이호용;정문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455-469
    • /
    • 2008
  • 문제제기: 노인요양시설은 치과진료영역 가운데 가장 취약한 상태에 놓여 있고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해 주관적 치료요구도를 파악할 수 없는 상태지만 이에 대한 기초적인 실태조사가 전무한 상태이다. 목적: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환자들의 치아우식증에 의한 구강실태를 조사하고, 기능치아와 보철물로 이루어진 교합단위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치과치료수요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향후 적절한 진료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재료 및 방법: 노인요양시설에서 758명의 노인환자와 D치과의원에 내원한 212명의 65세 이상인 노인을 대상으로 2000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에서 작성된 치아우식검진지침에 입각하여 구강실태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노인요양시설의 노인에게서 고령으로 갈수록 대조군에 비해 악화되고 있는 구강상태를 알 수 있었고 매우 높은 치료수요를 파악할 수 있었다. 고찰: 노인환자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들을 보살피는 간병인과 간호 인력들이 가지고 있는 구강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꾸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제는 무치악 환자에게 시행되고 있는 일회성 의치사업 일변도의 복지정책방향을 보건복지부와 일선 지방자치단체에서 사후관리를 원칙으로 한 전문가에 의한 무치악 환자의 의치사업으로 강화해야 하며 유치악의 노인환자들에 대한 정기적인 치과검진을 시행하고 이동진료 및 왕진시스템이 보완된 구강건강관리 및 보존, 수복진료 형태로의 전환을 고려할 시점이라 생각된다.

일부 대학생들의 구강 내 증후증상 인식과 치과공포수준 (Dental Fear Level according to Oral Symptom Awareness in College Students)

  • 윤현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98-204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구강 내 증후증상과 공포감의 관련성을 연구하여 적절한 시기에 치료와 예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2015년 9월부터 3개월간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최종 288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공포수준은 모든 항목에서 여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는 약속 미룸(p=0.014), 진료 시 긴장(p=0.001), 진료 시 호흡 가쁨(p=0.009), 진료 시 심장 박동 수 증가(p=0.010), 약속 시 두려움(p=0.003), 치과도착 시 두려움(p=0.001), 대기실 대기 시 두려움(p=0.001), 치과냄새 두려움(p=0.006), 마취 시 두려움(p<0.001), 주사바늘 주입 시 두려움(p<0.001), 치아삭제용 기구를 볼 때 두려움(p<0.001), 치아삭제용 기구 소리 두려움(p<0.001), 치아삭제 시 느낌에 대한 두려움(p<0.001), 치석제거 시 두려움(p<0.001), 치과치료 전체에 대한 느낌 나쁨(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증후증상 인지에 따른 공포수준은 충치가 있는 경우 진료회피(p=0.001), 생리적 반응(p=0.001), Dental Fear Survey(DFS) 전체(p=0.003), 깨진 치아가 있는 경우 진료회피(p=0.010), 자극요인(p=0.031), DFS전체(p=0.019)에서 공포수준이 높았다. 상실치아가 있는 경우 생리적 반응(p=0.019), DFS전체(p=0.033), 아픈 치아가 있는 경우 자극요인(p=0.031), 잇몸의 통증이 있는 경우 자극요인(p=0.013), DFS전체(p=0.034)에서 공포수준이 높았다. 따라서 통증을 느끼기 전 정기적 검진과 더불어서 예방적 처치를 할 수 있는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치과를 내원하는 환자들로 하여금 공포감을 줄여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S대학 치위생과 실습실에 내원한 환자의 치아우식상태와 구강위생관리능력, 구강건강행위 실태 (A Study on the Oral Health Status, PHP Index and Oral Health Behavior of Patients in 'S' College Dental Clinic)

  • 김진;우희선;정문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5-151
    • /
    • 2009
  • 본 연구는 구강건강행위와 구강건강상태, 구강위생관리능력과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치과위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7년 9월 5일부터 12월 1일까지 S대학 치위생과 구강위생실습실을 내원한 스켈링 실습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연령이 낮을수록 우식경험처치치아의 수(FT index)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구강위생용품 영역, 정기적인 치과방문 영역, 식이조절 영역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구강건강행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대상자의 구강건강행위 정도는 5점 만점에서 2.62로 대체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잇솔질 영역에서는 '위아래로 치아를 닦고 잇몸과 혀도 닦는다', 구강위생용품 영역에서는 '구강양치액(가그린)을 사용 한다', 정기적인 치과방문 영역에서는 '아픈 경우 미루지 않고 치과에 방문 한다', 식이조절 영역에서는 '우식성식품 보다 청정식품을 섭취 한다', 교육 및 관심 영역에서는 '흡연이 구강건강에 좋지 않음을 교육받는 적이 있다'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3. 구강건강행위가 높을수록 우식경험미처치치아(DT index)의 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구강건강행위가 높을수록 우식경험처치치아의 수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면세마 실습실에 내원한 환자의 구강위생관리능력 수준을 분석한 결과 '양호' 25%, '보통' 36.3, 불량 30.4, 매우불량 8.3%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환자들의 구강위생관리 능력이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구강건강행위가 높을수록 구강위생관리능력 지수는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구강건강행위와 우식경험미처치치아(DT index) 간에 음(-)의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구강건강행위가 높을수록 우식경험미처치치아(DT index)의 수는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 < .01). 구강건강행위와 우식경험처치치아(FT index) 간에 양(+)의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구강건강행위가 높을수록 우식경험처치치아(FT index) 수는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1). 구강건강행위와 구강위생관리능력 지수(PHP index) 간에 음(-)의 상호관련성을 보이고 있어 구강건강행위가 높을수록 구강위생관리능력 지수(PHP index)는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 < .01).

  • PDF

일부 대학생의 흡연 실태와 구강건강에 관한 인식 및 행태 조사연구 (Research on the Smoking Conditions of College Students and the Behavior and Awareness of Oral Hygiene)

  • 문선정;김한나;구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58-266
    • /
    • 2012
  •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들의 흡연행태와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흡연에 대한 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를 알아보고자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강원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흡연에 대한 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은 반 갑 미만이, 흡연기간은 1년~3년 미만이 가장 높았으며, 흡연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호기심과 주변 권유가 가장 높았고, 흡연이유는 스트레스 해소, 습관적 순으로 나타났다. 2. 흡연유무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 중 1회 잇솔질 시간, 정기적 치과 내원, 최근 치과 내원시기, 치과 방문 목적, 스켈링 및 구강보건교육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흡연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중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흡연유무에 따른 흡연에 대한 인식 중 담배, 한 두 개피 정도의 담배, 식후의 담배 및 간접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흡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므로, 대학생들을 위한 금연교육과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산업장 근로자들의 구강건강 행위에 따른 행복지수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Happiness Indexes among Industrial Workers)

  • 윤현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313-321
    • /
    • 2013
  • 본 연구는 경북지역 294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행복지수에 구강건강 행위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의 영향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산업장 근로자들을 위한 구강보건계획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강건강 행위에 따른 행복지수를 살펴보면 1년 내 정기검진여부에서는 정기검진을 받는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2), 5문항 행복지수(0.012)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고, 1년 내 스켈링을 받은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03)모두 높게 나타났다. 칫솔질 횟수에서는 칫솔질 횟수가 많은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23)으로 높았으며,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41), 5문항 행복지수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근무지에 칫솔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01)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아플 때 즉시 치과방문이 가능한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01)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업장 근로자들의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구강건강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