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integration for cluster linkag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2초

대전지역 혁신클러스터와 지역발전 (Innovation Cluster and Regional Development In Daejeon Regional)

  • 류덕위
    • 벤처창업연구
    • /
    • 제2권3호
    • /
    • pp.103-122
    • /
    • 2007
  • 본 연구는 지역발전을 위한 다양한 이론모형들을 살펴보았고,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각국이 혁신클러스터 육성정책과 성공요인,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혁신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등을 살펴보았다. 혁클러스터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산업혁신클러스터가 발전할 수 있는 여건의 조성과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정부의 지원정책이 중요하다. 세계적으로 성공적이라고 평가받고 있는 미국의 실리콘밸리, 샌디에고의 UCSD, 중국의 중관촌(中關村), 스웨덴의 시스타(Kista), 핀란드의 울루(Oulu) 등은 연구개발, 생산, 지원시스템 외에 이들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역동성과 해외 클러스터 및 시장과의 긴밀한 네트워크가 발달되어 있다. 그러나 유리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대전지역의 벤처산업은 수도권 등에 비하여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산업혁신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혁신클러스터와 산업(생산)클러스터, 지원시스템과 인프라 혹은 선도적 대기업 등이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역동성을 발휘해야 한다. 구체적인 활성화 전력으로는 (1)기업환경 개선과 연구 성과의 사업화, (2)벤처금융지원 강화, (3)첨단기업의 유치와 네트워크 강화, (4)정부의 체계적인 지원과 혁신클러스터 구축 등이 있다.

  • PDF

중국 와인산업의 특허기반 기술창출 네트워크 형성과정 분석: 산동지역의 정부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Network Formation Process of Wine Industry based on Patent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in China: Focused on government support-based Shandong region)

  • 최해옥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3-114
    • /
    • 2015
  • 이 연구는 중국 와인 산업의 지식창출에서 공동 특허 출연자들 간의 네트워크의 성장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산동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와인산업에 관한 정부의 지원이 시작된 2006년 전후의 네트워크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첫째, 중국 와인 산업의 네트워크는 정부지원을 통한 산학연연계가 활발히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산동지역은 연구소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둘째, 네트워크 형성과정에서 공간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지리적으로 먼 내몽골 등과의 연계를 통해 네트워크 확장이 일어나고 있다. 이는 산동지역이 중국내에서도 와인과 관련된 연구중심의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산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주체별 네트워크 형성과정을 살펴 본 결과 허브형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산동지역은 대기업의 자금과 정부의 지원정책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연구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어 더욱 그 역할이 강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