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based

검색결과 10,746건 처리시간 0.034초

Association of a p53 Codon 72 Gene Polymorphism with Environmental Factors and Risk of Lung Cancer: a Case Control Study in Mizoram and Manipur, a High Incidence Region in North East India

  • Saikia, Bhaskar Jyoti;Das, Mandakini;Sharma, Santanu Kumar;Sekhon, Gaganpreet Singh;Zomawia, Eric;Singh, Yanglem Mohen;Mahanta, Jagadish;Phukan, Rup Kum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4호
    • /
    • pp.10653-10658
    • /
    • 2015
  • Background: A very high incidence of lung cancer is observed in Mizoram and Manipur, North East India. We conducted a population based case control study to establish associations of p53 codon 72 polymorphisms and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al factors for this high incidence. Material and Methods: A total of 272 lung cancer cases and 544 controls matched for age (${\pm}5years$), sex and ethnicity were collected and p53 codon 72 polymorphism genotypes were analyzed using a polymerase chain bas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ssay. We used condition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calculate adjusted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Results: p53 Pro/Pro genotyp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lung cancer in the study population (adjusted OR=2.14, CI=1.35-3.38, p=0.001). Interactions of the p53 Pro/Pro genotype with exposure to wood smoke (adjusted OR=3.60, CI=1.85-6.98, p<0.001) and cooking oil fumes (adjusted OR=3.27, CI=1.55-6.87, p=0.002), betel quid chewing (adjusted OR=3.85, CI=1.96-7.55, p<0.001), tobacco smoking (adjusted OR=4.42, CI=2.27-8.63, p<0.001) and alcohol consumption (adjusted OR=3.31, CI=1.10-10.03, p=0.034) were significant regarding the increased risk of lung cancer in the study population.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provided preliminary evidence that a p53 codon 72 polymorphism may effect lung cancer risk in the study population, interacting synergistically with environmental factors.

칼라 양자화 맵의 영역 히스토그램에 기반한 조명 적응적 피부색 영역 분할 (Adaptive Skin Segmentation based on Region Histogram of Color Quantization Map)

  • 조성식;배정태;이성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1호
    • /
    • pp.54-61
    • /
    • 2009
  • 피부색 정보는 비전 기반 시스템에서 인체 인식에 널리 쓰이는 중요한 정보이다. 그러나 기존의 픽셀 단위의 피부색 분할 방법은 피부색 영역 내부와 외부에 발생하는 오분할로 인해 여러 가지 피부색 관련 시스템의 인식률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양자화 영역 정보로부터 프레임 간에 근접한 유사 피부색의 영역별 분할을 통한 피부색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피부색 영역분할을 위해 JSEG 알고리즘을 통해 영상의 칼라를 양자화하여 영역을 분할한다. 분할된 영역으로부터 근접한 유사 피부 영역의 후보를 결정하고, 각 영역의 히스토그램 비교를 통해 피부색 영역을 결정한다. 이렇게 결정된 영역으로부터 피부색 표본을 추출하여 다음 프레임을 위한 피부색 모델을 갱신한다. 성능 평가를 위해 ECHO 데이타베이스와 조명이 변화하는 환경에서 실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기존 연구의 분류 방법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고, 기존보다 향상된 영역 분할 및 조명 적응 성능을 보였다.

DMZ 일원 보전·이용지역 설정 및 가이드라인 수립 연구 (A Study on Evaluating the Conservation/Utilization Area and Establishment of the Guideline for Conservation of the DMZ Region)

  • 송원경;전성우;김은영;이동근;이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3-175
    • /
    • 2012
  • In spite of the ecological value of the DMZ, there have not been established guidelines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se on the DMZ and adjacent area.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method about zoning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area considering environmental data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DMZ region, and we make the guideline for conservation of the DMZ region based on the zone. Using 10 legal protection areas,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and the boundaries of the DMZ region, we evaluated this region into conservation areas, management areas, and utilization areas. The results showed that as much as 91.8% of the DMZ region was evaluated as conservation areas, 6.9% as management areas, and 1.3% as utilization areas. After consultation with experts we suggested management principles, the direction, and the guideline based on the planning process considering the evaluation map. The study suggests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management, and the guidelines could be a effective tool for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y of DMZ region.

피부색 모델 기반의 효과적인 얼굴 검출 연구 (Efficient Face Detection based on Skin Color Model)

  • 백영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6호
    • /
    • pp.38-43
    • /
    • 2008
  • 피부색 정보는 컬러영상에 포함된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피부색 정보로 부터 생성된 통계 피부색 모델을 이용하여 얼굴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피부색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컬러영상에서는 일반적인 통계 피부색 모델만으로 정확한 얼굴영역 검출을 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다른 피부색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컬러 영상에서 얼굴영역만을 정확히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YCbCr 피부 컬러 모델기반의 피부색 가우시안 분포를 적용하여 얼굴 후보영역 설정 하였고, 영상내의 잡음 부분과 얼굴 영역이외의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수학적 형태학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Haar-like 특성을 이용하여 정확한 얼굴 검출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목이나 팔과 같이 유사한 피부색을 포함한 영상과 다양한 크기의 영상에서도 효과적인 얼굴영역 검출하는 우수함을 보였다.

시드 기반 영역확장기법을 이용한 고해상도 위성영상 분할기법 개발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Development Using Seed-based region growing)

  • 변영기;김용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1-430
    • /
    • 2010
  • 영상분할은 관심대상이 되는 물체의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객체기반 영상분류의 전처리과정으로서 원격탐사 영상분석에서 그 중요성 날로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SRG(Seeded Region Growing) 기법과 영역병합과정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영상분할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우선 QuickBird 융합영상에서 추출된 다중분광 에지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시드포인트를 자동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드포인트에 영상의 기하학적인 정보와 분광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개선된 SRG 기법을 적용하여 초기 영상 분할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앞선 초기분할 결과 향상을 위해 분할된 영역의 평균분광정보를 활용하여 영역병합을 수행하여 최종분할결과를 도출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무감독 영상분할 평가측정치를 이용하여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기법은 고해상도 영상분할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PCR-RFLP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rDNA ITS Region in the Fusarium spp.

  • Min, Byung-Re;Lee, Young-Mi;Choi, Yong-Keel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8권2호
    • /
    • pp.66-73
    • /
    • 2000
  • To investigate the genetic relationship among 12 species belonging to the Fusarium section Martiella, Dlaminia, Gibbosum, Arthrosporiella, Liseola and Elegans,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regions of ribosomal DNA (rDNA) were amplified with primer pITS1 and pITS4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fter the amplified products were digested with 7 restriction enzymes,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patterns were analyzed. The partial nucleotide sequences of the ITS region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Little variation was observed in the size of the amplified product having sizes of 550bp or 570bp. Based on the RFLP analysis, the 12 species studied were divided into 5 RFLP types. In particular, strains belonging to the section Martiella were separated into three RFLP types. Interestingly, the RFLP type of F. solani f. sp. piperis was identical with that of isolates belonging to the section Elegans. In the dendrogram derived from RFLP analysis of the ITS region, the Fusarium spp. examined were divided into two major groups. In general, section Martiella excluding F. solani f. sp. piperis showed relatively low similarity with the other section. The dendrogram based on the sequencing analysis of the ITS2 region also gave the same results as that of the RFLP analysis. As expected, 5.8S, a coding region, was highly conserved, whereas the ITS2 region was more variable and informative. The difference in the ITS2 region between the length of F. solani and its formae speciales excluding F. solani f. sp. piperis and that of other species was caused by the insertion/deletion of nucleotides in positions 143-148 and 179-192.

  • PDF

쥐 해마의 유전자 발현 그리드 데이터를 이용한 특징기반 유전자 분류 및 영역 군집화 (Feature-based Gene Classification and Region Clustering using Gene Expression Grid Data in Mouse Hippocampal Region)

  • 강미선;김혜련;이석찬;김명희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1호
    • /
    • pp.54-60
    • /
    • 2016
  • 뇌의 유전자 발현 정보는 영역별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이를 분석하기 위해 다수의 유전자들 간의 발현 정도 및 발현 위치 정보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기술을 통해 알렌 뇌과학연구소에서 제공하는 약 2만여개의 쥐 뇌 유전자 발현 정보 중 뇌의 해마 영역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유전자들을 자동으로 분류해내고 발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군집화하여 가시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해마 내 전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들과 특정 영역에만 발현되는 유전자들을 분류할 수 있었고 그 중 특정 영역에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위치정보 기반으로 군집화된 데이터를 뇌 지도와 함께 관찰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뇌의 기능과 영역과의 관계성 관련 생물학적 연구를 위한 실험군 선정작업에 이용되어 실험설계시간을 줄일 수 있고 기존에 알려진 뇌의 해부학적 구조보다 더욱 세분화된 구조를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충청남도 지역의 VOCs를 중심으로 한 지하수오염 실태 (A Study on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Focused on VOCs in Chung-Nam Area)

  • 이창균;장순웅;유지택;임봉수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13
    • /
    • 1999
  • 본 연구는 충청남도 지역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질(VOCs)에 의한 지하수 오염실태를 1996년 5월부터 1998년 5월까지 2년여에 걸쳐 조사하였다. 지역별 VOCs 검출률은 공업지역>농공단지>주유소>주변 가정 지하수>도심지역 순으로 높았고, 초과율은 공업지역>주유소>농공단지>주변 가정 지하수>도심지역 순으로 높았다. 천안공업지역 지하수인 경우 benzene, TCE만이 음용수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오염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농공단지 지하수에서는 TCE가 최고 48.152 mg/L의 농도로 검출되는 등 평균적으로 3.107 mg/L로 국내 음용수 수질기준을 100여배 초과하는 높은 오염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다른 VOCs의 농도도 높아 매우 우려할 만한 지하수 수질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주변 가정 지하수나 도심지역 지하수에서는 음용수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항목이 없어 아직까지 지하수오염이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공업지역 및 농공단지 지하수 오염실태를 볼 때 지하수오염은 계속적으로 진행될 것이고 오염된 지역은 적절한 복원작업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ierarchical Graph Based Segmentation and Consensus based Human Tracking Technique

  • Ramachandra, Sunitha Madasi;Jayanna, Haradagere Siddaramaiah;Ramegowda, Ramegowda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5권1호
    • /
    • pp.67-90
    • /
    • 2019
  • Accurate detection, tracking and analysis of human movement using robots and other visual surveillance systems is still a challenge. Efforts are on to make the system robust against constraints such as variation in shape, size, pose and occlusion. Traditional methods of detection used the sliding window approach which involved scanning of various sizes of windows across an image. This paper concentrates on employing a state-of-the-art, hierarchical graph based method for segmentation. It has two stages: part level segmentation for color-consistent segments and object level segmentation for category-consistent regions. The tracking phase is achieved by employing SIFT keypoint descriptor based technique in a combined matching and tracking scheme with validation phase. Localization of human region in each frame is performed by keypoints by casting votes for the center of the human detected region. As it is difficult to avoid incorrect keypoints, a consensus-based framework is used to detect voting behavior. The designed methodology is tested on the video sequences having 3 to 4 persons.

특징점 기반 방식과 블록 기반 방식을 융합한 효율적인 CMF 위조 검출 방법 (Hybrid copy-move-forgery detection algorithm fusing keypoint-based and block-based approaches)

  • 박천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13
    • /
    • 2018
  • Copy move frogery(CMF) 위조를 검출하는 기술은 블록(block) 기반 방식과 특징점(keypoint) 기반 방식으로 구분 된다. 블록 기반 방법은 위조 검출 과정에서 조사해야 하는 블록의 수가 많기 때문에 높은 계산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위조되는 영역이 기하학적 변환을 거친 경우 위조 검출에 실패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특징점 기반 접근법은 블록 기반 방식의 단점을 극복 할 순 있지만 CMF 위조가 이미지의 낮은 엔트로피 영역에서 발생하는 경우 검출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특징점 기반 방식과 블록 기반 방식을 융합하여 이미지의 모든 영역에서 CMF 위조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우선 전체 이미지를 대상으로 특징점 기반 위조 검출을 수행한다. 그 후 위조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을 선별하여 블록 기반 위조 검사를 다시 수행한다. 따라서 제안하는 위조 검출 기술은 이미지의 모든 영역에서 발생하는 CMF 위조를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은 방법보다 우수한 위조 검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