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frozen blastocyst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Successful Birth after Transfer of Re-frozen Blastocysts Developed from Immature Oocytes Retrieved from a Woman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미성숙 난자로부터 체외 성숙한 포배기 배아의 Re-vitrification 후 성공적 임신 1례)

  • Yoon, Hyejin;Yoon, Sanhyun;Lee, Soyoung;Kim, Haekwon;Lee, Wondon;Lim, Jinh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2 no.1
    • /
    • pp.65-70
    • /
    • 2005
  • 본 연구는 이식 후 남은 잉여의 포배기 배아를 두 번의 냉동과 융해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한 후 이식한 결과에 관한 보고이다. 사람 포배기 배아의 동결보존에서 높은 생존율과 성공적인 임신율이 보고되고 있으나 미성숙 난자로부터 발달한 포배기 배아에 두 번의 초급속 냉동 방법을 실시한 후 이식한 보고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에게서 얻은 미성숙 난자로부터 발달한 포배기 배아를 artificial shrinkage 후 초급속 냉동함으로써 생존율을 높이는 방법을 이용하여 재냉동 이식하였을 때 임신에 성공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29세의 환자로부터 채취한 55개의 미성숙 난자들(germinal vesicle stage oocytes)을 체외배양 하여 성숙한 37개의 난자들로부터 30개의 수정란을 얻을 수 있었다. 12개의 배아가 포배기 배아까지 발달하였으며 이 중 3개의 양질의 포배기 배아를 선별하여 이식하였고, 이식을 한 후에 남은 9개의 포배기 배아들은 artificial shrinkage의 과정을 마친 후에 초급속 냉동 방법을 이용하여 동결보존 하였다. 그 중, 4개의 포배기 배아들을 융해한 후 이식을 하지 않고 다시 재냉동을 하여 보관하였고 이 후 재냉동 되었던 4개의 포배기 배아들을 다시 융해 하여 이식을 한 결과 임신이 되어 건강한 남아를 분만하였다. 이로써 미성숙 난자로부터 얻은 포배기 배아가 두 번의 냉동과 융해의 과정을 통해 크게 손상을 입지 않고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융해이식 후 남은 잉여의 포배기 배아를 다시 냉동 보관하여 다음 주기에 이용함으로써 축적된 임신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Viabilities of Biopsied Mouse Embryos after Ultrarapid Refreezing and Thawing (미세조작된 생쥐수정란의 초급속 재동결융해 후 생존성)

  • 신상태;임준호;강만종;한용만;이경광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0 no.2
    • /
    • pp.207-214
    • /
    • 1996
  •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capacity of manipulated embryos after ultrarapid refreezing and thawing, mouse embryos were biopsied at 4-cell stage, frozen twice at 4-cell and morula stages, respectively, and then transferred to rec-ipients. Single blastomeres were biopsied from 4-cell embryos by a modified aspiration method. Biopsied 4-cell embryos were equilibrated into freezing medium at room temperature for 2.5 min, loaded into 40 $\mu$I of freezing medium in 0.25 ml plastic straw and then directly immersed into liqiud nitrogen. Freezing medium for 4-cell embryos consisted of 4.0 M ethylene glycol and O.25 M sucrose in dPBS supplemented with 6 mg/lm BSA. Morulae were frozen into freezing medium containing 5.0 M glycerol instead of ethylene glycol. Thawing was conducted by agitating each straw in 3TC water for 20 sec. The c content of each straw was expelled into 0.5 ml of dilution medium, which consisted of 0.25 M sucrose and 3 mg/ml BSA in dPBS. The thawed embryos were rehydrated in dilution medium for 10 min, washed 3 times with dPBS and then cultured in M16 medium at 37$^{\circ}C$, 5% CO$_2$ in air. Blastocysts that developed from frozen or refrozne biopsied embryos were transferred to recipients on Day 3 of pseudopregnancy, respectively. In vitro and in vivo developmental rates of the biopsied and intact 4~cell embryos after freezing and thawing were 78 (10l/130) and 25% (10/40), and 91 (114/125) and 30% (12/40), respectively. Although the rates of in vitro development of biopsied and intact embryos to blastocyst sta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freezing and thawing (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