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orm of Contents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8초

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의 교육개혁론(敎育改革論)과 그 도덕교육적(道德敎育的) 함의(含意) (Jonjae Wie Baek-Gyu's Thoughts & Proposals for Educational Reform and the implication of moral education)

  • 박학래
    • 동양고전연구
    • /
    • 제72호
    • /
    • pp.265-298
    • /
    • 2018
  • 본고는 18세기 호남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1727~1798)의 사회개혁론 가운데 교육개혁론에 대한 내용과 의미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도덕교육적 함의를 제시한 것이다. 영(英) 정조(正祖) 시대를 관통하며 삶을 영위하였던 위백규는 당시 사회의 모순과 문제점의 원인을 도덕의 부재로 진단하고, 사회적 폐단을 극복하는 방안의 중심으로 학교 교육의 개혁을 강조하였다. 위백규가 구상한 교육개혁론은 학교의 체계 개편을 중심으로 아동교육부터 고등교육에 이르는 과정을 체계화하는 것이었으며, 학교 교육을 인재 선발과 연동하여 구체화하는 것이었다. 그의 교육개혁론에서 가장 중심이 두어진 것은 도덕적 자질의 배양이었다. 그는 학교 입학부터 교육과정의 이수 과정에서 무엇보다 도덕적 품성의 배양과 실천을 강조하였으며, 입학 과정에 지역민들의 의사를 반영하는 체계를 제시하여 향촌 교화의 중심으로서 학교가 자리 잡도록 하였다. 도덕 교육을 근간으로 학교의 체계를 구체화하고, 나아가 교화와 인재 등용의 중심으로 학교 체계 및 교육 내용을 체계화한 그의 교육개혁론은 인성 교육을 근간으로 내면의 도덕성 함양과 실천을 강조하는 현행 도덕 교과의 교육과정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위백규의 시대 인식과 사회개혁론의 대체, 그리고 그의 교육개혁론의 근거가 되는 교육 현실에 대한 진단과 개혁론의 구체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에 주는 의미를 시론적(試論的)으로 제시하였다.

Economics in Administration: New Reform Perspective?

  • Choi, Jeong Youl;Choi, Ho Taek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6-360
    • /
    • 2008
  • As a seedbed for American Public Administration, Traditional Reform Perspective (TRP) produced Wilsonian formulation of administrative science in modern academic sett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ideas were transported into Public Administration scholarship. New Reform Perspective (NRP) entails a belief that these reasonings are largely based on assumptions of Economics. Looking into this belief is a necessary condition, if not a sufficient one, for answering the question: Does NRP hold in the study of administration? This initial reading, though somewhat primitive, tries to set up a proposal for identifying a meaningful context for understanding the situation. As a representative version, Wilson's original perspective must be reconsidered in order to articulate the field of study within traditional reform context. According to NRP, new administrative theories are the results of the influence of economic reasoning into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Therefore, rereading of Tiebout's 'Pure Theory' and Ostrom, Tiebout and Warrens's 'Theoretical Inquiry' is a prerequisite to satisfy this particular condition.

  • PDF

수학과 열린 교육의 방향성 재고 (Rethinking the Direction of Open Education in Mathematics)

  • 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1호
    • /
    • pp.39-58
    • /
    • 1999
  • Nowadays, open education is popular in Korea. Various open education methods such as open time, open space, open curriculum, team teaching, small group learning are actively introduced into mathematics education. Current 'open education in mathematics' in Korea can be characterized as the application general education reform movement (open education movement) to mathematics education. This movement is interested in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contents. In this article, I discussed with the limits and the problems of this application and argued that not the method-centered open general education reform movement but the content-centered mathematics education's own reform movement is necessary for the true mathematics education reform.

  • PDF

문재인 정부 교육개혁의 쟁점과 과제 : 교육개혁의 방향과 내용, 추진방식을 중심으로 (Educational Reform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Issues and Tasks)

  • 신현석;정용주;윤지희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81-114
    • /
    • 2018
  •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지 1년이 넘어가는 시점에서 현 정부 교육개혁의 쟁점을 고찰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재인 정부의 출범이 교육정치학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먼저 고찰하고, 이러한 배경 하에서 문재인 정부의 교육개혁 정책의 방향과 내용 그리고 추진방식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 시점에서 교육개혁의 방향과 내용, 추진방식에서 제기되고 있는 주요 쟁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러한 쟁점을 해소하기 위한 향후 추진과제는 무엇인지를 논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쟁점과 과제에 대한 논의로부터 향후 문재인 정부 교육개혁이 취해야 할 바람직한 방향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향후 새로운 교육체제를 구현하기 위해 비전과 방향성과 관련된 담론, 그리고 그 담론을 구체화시키기 위한 교육정책과 구성원들의 인식전환이라는 측면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부의 초기 단계에서 정책의 방향과 내용 그리고 추진방식을 점검할 수 있는 계기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 교육과정 개혁 연구의 쟁점들 (The Issues in the Current Studies on the Science Curriculum Reform)

  • 이명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916-929
    • /
    • 2004
  • 근래에 과학교육과정의 개혁에서 쟁점화 된 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ERIC 자료에 수록된 논문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과학교육과정 개혁에 관련된 논문수는 70년대부터 시작하여 90년대 말에는 최고에 이르고 있기 때문에 분석 대상 논문을 최근 10년간의 132편으로 하였다. 두 편이상의 논문이 수록된 18종의 잡지에 전체의 약 66% 의 논문들이 보고되었다. 개혁의 쟁점들을 '개혁 주제', '개혁 소개', '개혁 비판과 전망' 으로 분류하였고, 개혁 주제는 구체적으로 '교사', '과학적 소양', '통합과 교수', '개혁 과정' 으로 구별되었다. '교사'관련 내용은 주로 교사들의 믿음과 신념에 대한 것이고, '과학적 소양'은 소양개념 정의의 불확실성, '통합과 교수'는 통합의 어려움과 관련된 교수 문제, '개혁 과정'은 개혁 참여 인사들의 개인적이거나 집단적 힘의 조정 문제, '비판'은 과학교육 기준의 현장 구현과 과학의 본질에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A study on Decline and Development Strategy of Local Universities

  • Kim, Tae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10-17
    • /
    • 2021
  • The core of the university policy pursued by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s to strengthen university competencies through the diagnosis of universities. To this end, the word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is changed to strengthening the basic competencies of universities, and is trying to escape from the past reduction of pro-class capacity. Deputy Prime Minister Kim Sang-gon insisted, "We will improve the university structure evaluation, which is biased toward quantitative quota adjustment, with a diagnosis of basic university competency to support the autonomous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The Ministry of Education expressed its intention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local universities by saying that it would also consider regional conditions in reducing the university quota due to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so far. In the meantime, as the school-age population declined,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moted the reform of the university structure by dividing it into three cycles from 2014.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s of diagnosis of education reform and improvement measures, and tries to find out what is the desirable direction for education innovation. This paper studied the structural reform of universities following the decline of local universities. The policy alternative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government's push for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were analyzed. Second, we considered the problems of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Third, they sought ways to develop local universities and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The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Design Higher Education before and after the Reform and Opening-up

  • Jiang, Zheng-Qing;Lee, Dong-H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6권4호
    • /
    • pp.43-48
    • /
    • 2010
  • Because of the social and political reasons, Chinese design higher education has come a long and difficult road. Before and after the Reform and Opening-up, Chinese design higher education system has gone through two different models: "Arts and Crafts" and "Arts & Design". By comparing external environment and Education Concept of two models,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correct direction of design higher education reform is to understand and learn the advantages of two education systems.

선진국과 한국의 정부회계개혁 비교와 정책적 함의 (A Comparison of Government Accounting Reform in Advanced Countries and South Korea and Policy Implications)

  • 임동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702-712
    • /
    • 2016
  • 본 연구는 선진국과 한국의 정부회계제도 개혁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선진국과 한국의 정부회계제도 개혁은 제도 도입기, 제도 형성기, 제도 안정기의 순서로 분석하였다. 연구는 뉴질랜드, 미국, 영국, 한국의 정부회계개혁 사례에 대한 문헌조사 및 뉴질랜드, 미국, 영국, 한국의 재무부, 감사원, 정부회계기준위원회 등의 홈페이지에서 체계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선진국과 한국은 발생주의 회계제도 도입을 통하여 포괄적이고 객관적인 재정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의 정부회계제도에 비하여 한국의 정부회계제도는 개혁이 더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통합재무제표 범위의 확대, 공공부문 회계기준의 일관성 확보, 정부회계 감사제도의 정비, 발생주의 예산제도의 활용 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다만 정부회계는 기업회계와 차이가 있으므로 정부회계제도 개혁에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A Study on the Delivery Systems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for Education System Reform of Developing Countries

  • Kim, Myong-Hee;Park, Man-Go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71-479
    • /
    • 2011
  • The world has witnessed a phenomenal growth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The development of new broadband communication services convergence of telecommunication with computers and recent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protocol have fostered challenges as well as offerings in the wide-ranging use of ICT to support the creation of dynamic and interactiv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By emergence of ICT, most of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are struggling to integrate ICT and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It is so important to apply proper delivery systems for utilization of the computerize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in the classrooms. It will be a preliminary activity for building open and flexible distance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in developing countries.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suggest and recommend the proper delivery systems for utilization of the computerize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in the classrooms for education sector reform in developing countries.

미디어법 개정이 미디어/콘텐츠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분석: 사건연구의 활용 (The Impact of the Media Law Reform on the Media/Contents Firms' Market Value: Event Study Analysis)

  • 박종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411-422
    • /
    • 2016
  • 2009년 7월 신문법, 방송법, 인터넷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IPTV미디어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법개정의 목적은 기존의 방송산업에서의 엄격한 교차소유 및 겸영규제로 인해 위축되었던 투자를 활성화시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미디어 기업을 육성하고 유관산업의 인력수요를 늘려 고용확대에 기여한다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2009년 미디어법 개정이 법개정 발의에서 개정안 통과 기간 동안 그것의 영향권에 놓여있는 미디어 및 콘텐츠 관련 기업들의 미래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다. 미래가치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건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분석 결과 지분참여 등으로 사업영역의 확대가 기대되는 기업들의 경우 법개정기간 동안 발생한 주요 사건에 유의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법개정의 간접영향권에 놓여 있던 콘텐츠 관련 기업이나 통신기업들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또한 법개정 기간 동안의 전체 사건의 영향의 합에 대한 추정치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법 개정기간동안 유관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법개정 수혜 예상기업 중심으로 단기적인 기업가치의 상승이 있었지만 그 영향의 범위와 정도가 매우 제한적이었음을 밝혀낸 것과 기대되지 않은 사건(unexpected event)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