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erral caus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6초

간세포암 환자의 호스피스 완화 의료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he terminal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 길현자;문도호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7권2호
    • /
    • pp.6-14
    • /
    • 2007
  • Purpose: Hepatocellular carcinoma is the 3r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in Korea and its prognosis is very poor. We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erminal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on admission into a hospice unit, and to know if they had received appropriat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in 62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who had admitted, received palliative care, and died in a hospice unit between January 2003 and December 2005. Results: The median age of patients was 56.5 years with 50 men(80.65%) and 12 women(19.35%) and gender ratio(male to female) was 417. Child-Pugh class A, B, and C were 6(9.68%), 22(35.38%), and 34(58.84%) respectively.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and compared, the terminal HCC patients with class C as group I and those with class A & B as group 2. The median time from hospice referral to death was significantly short in group 1 with 15.5 days compared to group 2 with 53 days. Statistically more prevalent symptoms in group I were ascites, dyspnea, peripheral edema, and hepatic encephalopathy with abnormal laboratory findings (jaundice, hypoalbuminemia, or renal insufficiency). There, however,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ications and managements during admission between group 1 and 2. Conclusion: Most terminal HCC patients were often accompanied with chronic liver disease. The length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above patients was not enough to attend them. Therefore, we suggest that proper education and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physicians,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for effectiv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PDF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Restless Legs Syndrome)

  • 이상수;이성현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9권2호
    • /
    • pp.75-80
    • /
    • 2007
  • Background: While restless legs syndrome (RLS) is a common disorder, many patients are still remained undiagnosed and clinical data on Asian RLS patients is still limited in amount. Thus, we aimed to describe the clinical spectrum of Korean patients with RLS. Methods: We assess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77 consecutive RLS patients (43 men, mean age $59.1{\pm}14.9years$; 34 women, mean age $59.3{\pm}14.7years$) followed up by us for at least one and a half years. Results: The mean age at onset of symptoms was $56.4{\pm}14.1$. Two patients (2.6%) developed RLS before the age of 20 years (early-onset RLS). In 44 patients (57.1%), no underlying cause of RLS was found (idiopathic RLS). Family history for RLS was positive only in two (4.5%) of the 44 idiopathic RLS patients. The mean age of patients with idiopathic RLS was $56.8{\pm}13.1$ and that of patients with symptomatic RLS was $60.9{\pm}14.3$.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196). All patients complained sensory and motor symptoms in legs, and additional patients (14.3%) also had symptoms in arms. Two significant complications of long-term treatment with dopaminergic agents, namely augmentation and rebound of symptoms, were only reported in two patients. No patient had been diagnosed as RLS before evaluated by us. Conclusions: Our study had some limitations because limited number of patients was enrolled during a fixed period of follow-up in single third referral hospital. However, our findings sugges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RLS and long-term responses to dopaminergic agents between patients in Korea and western countries.

  • PDF

의인성 혈관 손상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Feature of Iatrogenic Vascular Injury)

  • 김수진;이태승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1권2호
    • /
    • pp.128-135
    • /
    • 2008
  • Purpose: As the care of surgical patients becomes increasingly complex and catheter-based techniques are more frequently applied, the pattern of iatrogenic vascular injuries may be increasing. Major vascular injuries can jeopardize a patient's life or limb survi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etiology and prognosis for iatrogenic vascular injuries. Method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29 cases of iatrogenic vascular injury that were trea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between October 2003 and October 2008. We studied clinical variables including demographics, cause of injury, clinical presentations, management and prognosis. Results: The mean age was 60.8 years (range: 25-86),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9 : 1. The causes of injuries were operation related complication in 18 cases (62.1%), endovascular intervention and diagnostic angiography in 11 cases (37.9%). The types of vascular injury were partial severance in 14 cases, pseudoaneurysm in 8, arteriovenous fistula (AVF) in 3, thrombosis in 2, complete severance in 2. Especially, device related complication including percutaneous closing device were occurred in 9 and the others came from inadvertent physician's procedure. Primary repair were done in 12 cases, end-to-end anastomosis in 5, interposition graft in 4, ligation in 2, patch angioplasty in 1, peudoaneurysm excision and arteriorrhaphy in 1, hematoma evacuation in 1, and endovascular repair in 3. There were 2 cases of mortality, one of them due to hemorrhagic shock and the other due to septic shock. Conclusion: Proper selection of treatment modalities should be important to have better outcome according to the type of injury as well as anatomical location. Each physician should be familiar to new device as well as patient's topographical feature. Immediate referral to vascular specialist is also essential to reduce morbidity.

Differential Signature of Obesity in the Relationship with Acute Kidney Injury and Mortalit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Moon, Hongran;Lee, Yeonhee;Kim, Sejoong;Kim, Dong Ki;Chin, Ho Jun;Joo, Kwon Wook;Kim, Yon Su;Na, Ki Young;Han, Seung Seok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8호
    • /
    • pp.312.1-312.10
    • /
    • 2018
  • Background: Obesity is related to several comorbidities and mortality, but its relationship with acute kidney injury (AKI) and long-term mortality remain undetermined i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Methods: Data from 3,018 patients (age ${\geq}18$ years) who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from two tertiary referral center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etween 2004 and 2015. Obesity was defined using the body mass index,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recommendation. The odds and hazard ratios in post-surgical, AKI, and all-cause mortality were calculated after adjustment for multiple covariates. Patients were followed for $90{\pm}40.9$ months (maximum: 13 years). Results: Among the cohort, 37.4%, 2.4%, 21.1%, 35.1%, and 4.0% of patients were classified as normal weight, underweight, overweight-at-risk, obese I, and obese II, respectively. Post-surgical AKI developed in 799 patients (26.5%). Patients in the obese groups (overweight-at-risk to obese II) had a higher risk of AKI than did those in the normal-weight group. During the follow-up period, 787 patients (26.1%) died. Underweight patients had a higher risk of mortality than did normal-weight patients, whereas overweight-at-risk, obese I, and obese II patients showed better survival rates. Conclusion: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obese patients encountered a high risk of AKI, and underweight patients exhibited a low chance of survival. Awareness of both obese and underweight statuses should be raised in these patients.

지역사회획득폐렴으로 대학 병원에 입원한 성인의 사망률과 관련된 위험인자 (Risk Factors for Mortality in Community-Acquired Pneumonia Patients Admitted to a Referral Hospital)

  • 이영우;정재우;송주한;전은주;최재철;신종욱;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4호
    • /
    • pp.347-355
    • /
    • 2006
  • 배 경: 지속적인 노력에도 지역사회폐렴에 의한 사망률은 증가하고 있으며 서구에서는 이에 대한 적절한 접근 및 예후 평가를 위해 예후 인자들을 확인하려 하였고 종합적인 접근을 위해 Pneumonia Severity Index(PSI) 등의 지표를 개발하였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단순 지표들만을 이용한 연구에 그치고 있어 PSI를 이용하여 폐렴으로 입원한 환자의 예후에 종합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지역사회폐렴으로 입원한 17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생존군/사망군 그리고 일반병실 입원환자/중환자실 입원 환자 사이를 비교하였으며, 각 군에 대해 Pneumonia Severity Index를 분석하였다. 결 과: 사망군과 생존군 사이에는 평균 수축기 혈압, 평균 이완기 혈압, 평균 맥박수, 평균 호흡수, 평균 체온, albumin, LDH, total cholesterol, HDL, PT, aPTT, hemoglobin, blood urea nitrogen(BUN)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일반병실과 중환자실 입원환자 사이에는 평균 맥박수, pH, $pCO_2$, $pO_2$, $SaO_2$, 혈청 총 단백질, 알부민, 혈청 총 칼슘, LDH, 총 콜레스테롤, HDL, PT, aPTT, hemoglobin, blood urea nitrogen(BUN)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Pneumonia Severity Index의 경우 class I에서 사망률이 가장 낮고 class가 증가할수록 사망률이 증가하였으며 class V에서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결 론: 다양한 지표들을 이용하여 지역사회폐렴으로 입원한 환자들을 평가할 수 있으나, Pneumonia Severity Index(PSI)를 이용하여 종합적인 접근을 할 수 있으며 이를 국내 환자에게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한 대학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의 기계환기 시행 환자의 현황 및 예후인자의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in Adult Patien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in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of a University Hospital)

  • 송진우;최창민;홍상범;오연목;심태선;임채만;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4호
    • /
    • pp.292-300
    • /
    • 2008
  • 연구배경: 호흡부전은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한 흔한 원인 중 하나로, 호흡보조치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호흡부전환자에 대한 기존의 국내보고는, 특정질환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외과계 환자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어, 내과계 호흡부전 환자들의 현황을 알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한 내과계 중환자실에서 기계환기치료를 시행 받은 성인환자들의 임상적 특성과 치료성적 및 예후와 관련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한 3차 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서 48시간 이상 기계환기치료를 받은 479명의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은 $60.3{\pm}15.6$세였고, 34.0%가 여성이었다. 중환자실 입실시점의 APACHE III 점수의 평균값은 $72.3{\pm}25$점이었다. 호흡부전의 원인은 급성호흡부전(71.8%), 만성폐질환의 급성악화(20.9%), 혼수(5.6%), 신경근육계질환(1.7%)이었다. 초기 기계환기방식으로는 67.8%에서 압력조절환기법이 사용되었고, 초기 이탈방식으로는 압력보조환기법이 83.6%에서 사용되었다. 중환자실 사망률은 49.3%, 병원사망률은 55.4%였다. 주된 병원내 사망원인은 패혈성 쇼크(32.5%), 호흡부전(11.7%), 다발성 장기부전(10.2%)이었다. 남성, APACHE III 점수가 70점 이상, 호흡부전의 원인이 간질성폐질환, 혼수, 흡인, 폐렴, 패혈증, 객혈인 경우, 총 기계환기시간 및 병원 재원일이 사망과 독립적으로 관련되었다. 결 론: 호흡부전의 원인질환, 환자의 중증도, 성별에 따라 호흡부전환자의 예후에 차이가 있었다.

신생아중환자실 내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발생 및 임상 양상 (Incidence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Rotaviral Infection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백재문;김희영;이장훈;최병민;이정화;이광철;홍영숙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1호
    • /
    • pp.55-63
    • /
    • 2009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 내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발생 현황과 임상 양상을 분석하고 타 병원에서 전원된 신생아의 로타바이러스 감염이 신샹아 중환자실 내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부속 안산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중 대변 검체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을 진단받은 94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진단을 환아의 대변 검체를 이용한 로타바이러스 항원 검사에서 양성일 경우로 정의하였다. 통계학적으로는 SPSS 프로그램에서 Student's t-test, chi-square test와 time series analysis를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 <0.05로 검증하였다. 결과 : 연구 기간 동안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1,501명 중 94명(6.3%)이 로타바이러스 감염으로 진단되었으며 1,000 재원일수 당 4.9건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기간 중 타 병원에서 전원된 신샹아 223명 중 24명(10.8%)이 입원 시 시행한 검사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으로 진단되었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주된 증상은 황달의 악화 및 발생이 33례(35.1%)였고 설사를 포함한 붉은 변 24례(25.5%), 구토 15례(16.0%)를 보였으며 그 밖에 발열 9례(9.6%), 무호흡 5례(5.3%), 보챔 5례(5.3%), 경련( 5례(5.3%), 끙끙거림 4례(4.3%), 위 잔류량 증가 3례(3.2%) 등을 보였다. Stage II이상의 신샹아 괴사성 장염으로 진단된 환아는 3례(3.2%)이었다. 미숙아군(n=44)과 만삭아군(n=50)의 비교에서 황달의 악화 및 발생이 미숙아군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 경련이 만삭아군에서, 신생아 괴사성 장염이 미숙아군에서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타 병원에서 전원된 신생아의 입원 1개월 후 기존의 샌생아중환자실 입원 환아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이러한 로타바이러스 감염은 2내지 4개월 후에 그 발생빈도가 감소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신생아중환자실 내 로타바이러스 감염은 드물지 않으며 황달의 악화 및 발생, 무호흡, 경련 등의 비전형적 증상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Stage II 이상의 신샹아 괴사성 장염도 3.3%에서 발생하였으며 로타바이러스 감염을 지닌 환아가 신생아중환자실에 전원됨으로써 신생아중환자실 내 감염의 급증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로타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상시적인 검사와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응급실로 내원한 천식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sthmatic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Room)

  • 서정경;이소라;이상엽;이상화;조재연;심재정;인광호;강경호;유세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290-297
    • /
    • 1997
  • 연구배경 : 기관지천식은 가역성 기도폐쇄, 기관지 과민증 및 기도점막의 염증성 변화가 특징인 호흡기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가 질병의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최근 천식의 발생기전 및 병태생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천식치료에도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전세계적으로 기관지천식의 유병률 및 사망률, 천식발작으로 인한 응급실 내원빈도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응급실 내원 환자의 과거력상 응급실 내원빈도가 많을수록 천식치료에 문제점이 있고 예후도 나쁘다는 보고가 있어, 응급실로 내원한 천식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의 분류가 치료 계획, 환자 교육과 관리 및 예후 예측에도 도움이 될것으로 사료되어 저자들은 천식발작으로 응급실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년간 응급실에 기관지 천식발작으로 내원한 1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과거력 및 천식 발작후 응급실 내원전까지의 상황등을 문진하였고 응급실 내원당시 최대 호기말 유속, 동맥혈 가스분석, 흉부 X선등을 시행하여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였으며 입원 여부, 입원기간, 외래 추적관찰여부등으로 응급실로 내원한 천식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및 예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는 총 103명으로 남자 47명(45.6%), 여자 56명(54.4%) 이었고 평균 연령은 48.6세, 연령분포 50대가 27.2%로 가장 높았다. 천식진단후 1~5년사이의 환자가 42명 (40.8%)으로 가장 많았고, 과거력상 48명(46.6%)이 천식발작으로 응급실 내원 경험이 있었으며 2회이상 응급실 내원경력이 있는 환자는 27명(26.3%)이었고 내원환자중 79명(76.7%)이 교감신경항전 흡입제를, 48명(46.6%)이 부신피질 호르몬 흡입제를 사용한 적이 있었으나 그중 56%만이 적절한 흡입방법을 구사하였다. 응급실 내원경위는 환자 스스로 내원한 경우가 68명(66%)으로 가장 높았고, 월별 응급실 내원빈도률 살펴보면 12월과 5월에 가장 높았으며, 응급실 내원시간별로 보면 낮시간(오전 8시~오후 4시)이 53.4%로 가장 많았다. 천식악화요인으로는 상기도 감염(56.3%), 치료 중지(15.5%), 불완전한 치료(11.7%)가 주요 원인이었고 천식발작시작에서 응급실 도착까지 평균시간은 14.2시간이었고 천식발작후 79명(76.7%)이 교감신경 항진 흡입제를 사용하였으며 사용횟수는 평균 6.4회였다. 내원시 측정한 최대 호기유속은 펑균 166.7L/min, 내원시와 과거 최대호기유속 또는 예상 최대호기유속 의비는 평균 43.2%였다.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상 고탄산가스혈증을 보인 환자는 총 50명으로 이중 7명(14%)만이 인공환기를 시행하여 비교적 좋은 예후를 보였고 내원환자중 17명(16.5%)은 응급실에서 치료후 내원 24시간내 귀가하였고 80명(77.7%)은 일반 병동에, 6명(5.8%)은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았으며 평균 입원일수는 11.2일이었다. 예후는 좋은편으로 총환자 모두 사망없이 회복되었고 외래 추적관찰은 59명(57%)에서 가능하였으며 증상소실후 천식정도를 분석한 결과 64.9%가 경미한 천식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응급실에 내원한 천식환자들은 주로 경미한 천식이 상기도 감염등에 의해 악화된 경우가 많았고 치료예후는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퇴원후 적절한 천식치료를 받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 PDF

인플루엔자 A 및 폐렴미코플라스마 감염과 병발한 가와사끼병 1례 (Kawasaki Disease with Influenza A Virus and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n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 문혁수;허재성;김미경;람버트 모리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2호
    • /
    • pp.149-154
    • /
    • 2016
  • 그 동안 다양한 병원체와 가와사끼병의 관련성이 제기되어 왔으나 아직 확실한 원인으로 증명된 것은 없다. 본 증례는 가와사끼병과 폐렴미코플라스마, 인플루엔자 감염이 동시에 병발한 환자를 소개한다. 27개월 남아가 발열과 기침, 콧물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외래에서 인플루엔자 A 감염을 확인하고 oseltamivir를 복용하였으나 발열이 지속되고 경부 림프절 비대, 양측성 결막 충혈, 입술의 발적과 갈라짐, 딸기혀, BCG 접종 부위의 발진을 보였다. 이에 가와사끼병으로 진단하고 면역글로불린을 정맥주사 하였다. 환아는 혈청 항미코플라스마 IgM 항체가 양성이었고 비인두 도말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사에서 폐렴미코플라스마 양성으로 나타났다. 본 증례와 더불어 가와사끼병과의 연관성이 거론되었던 병원체들을 살펴보고 가와사끼병의 병인에 대한 가설들을 고찰하여 가와사끼병의 증상이나 관상동맥 병변이 폐렴미코플라스마와 인플루엔자 뿐 아니라 다양한 감염에서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ung Cancer in a Teaching Hospital in Iran

  • Hajmanoochehri, Fatemeh;Mohammadi, Navid;Zohal, Mohammad Ali;Sodagar, Abolfazl;Ebtehaj, Mehd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495-2500
    • /
    • 2014
  • Background: Lung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ly diagnosed cancers and the most frequent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worldwide. In Iran, it ranks second and third as the cancer-causing death in men and women, respectively.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lin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lung cancer in a referral tertiary center in Iran.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cases of primary lung cancer based on the results of registered cancer reports of cytological and pathological specimens between March 2001 and March 2012. Demographic variables, clinical manifestations, histology and location of tumor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data found in the medical records of each patient. Definite or probable etiologic factors were identifi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version 16 and a p-value ${\leq}0.05$ was considered as significant. Results: A total of 203 patients, with a mean age of 65.7 years (SD=11.2), with primary lung cancer were identified, 81.3% being men. Of the total, 110 cases (54.2%) were living in urban areas. In 53.2% of cases, the site of tumor was on the right side and in 72.9% of cases the lesion was centrally located. The histological types of lung cancer were squamous cell carcinoma (SCC) in 107 cases (52.7%), adenocarcinoma (AC) in 30 cases (14.8%), and small cell carcinoma (SC) in 27 cases (13.3%).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ender and residence, smoking, and the histological type and location (central or peripheral) of tumor were found. The percentage of smokers was 75.2% in men and 15.8% in women. Conclusions: Smoking wa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and squamous cell carcinoma the most common histological type of lung cancer in our study. Male sex and being a smoker was associated with histological types of SCC while being nonsmoker had relationship with adenocarcino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