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Tide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23초

Spatial-temporal distributions of the newly described mixotroph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smaydae in Korean coastal waters

  • Lee, Sung Yeon;Jeong, Hae Jin;Ok, Jin Hee;Kang, Hee Chang;You, Ji Hyun
    • ALGAE
    • /
    • 제35권3호
    • /
    • pp.225-236
    • /
    • 2020
  • Gymnodinium smaydae is a newly described mixotrophic dinoflagellate that feeds on only Heterocapsa spp. and Scrippsiella acuminata among 19 tested algal prey. It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dinoflagellates when feeding, but does not grow well without prey. To investigate its spatial-temporal distributions in Korean waters, we quantified its abundance in water samples that were seasonally collected from 28 stations along the Korean Peninsula from April 2015 to October 2018,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s. This dinoflagellate had a wide distribution, as reflected by the detection of G. smaydae cells at 23 of the sampling stations. However, this distribution had a strong seasonality; it was detected at 21 stations in the summer and only one station in winter. The abundance of G. smaydae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lorophyll a concentration as well as with water temperatur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abundance of G. smaydae and salinity, concentrations of nutrients, or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During the study period, G. smaydae was present when water temperatures were 7.6-28.0℃, salinities were 9.6-34.1, concentrations of NO3 were not detectable-106.0 μM, and concentrations of PO4 were not detectable-3.4 μM. The highest abundance of G. smaydae was 18.5 cells mL-1 in the coastal waters of Jinhae in July 2017 when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as 127 mg m-3 and water temperature was 23.8℃. Therefore, the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G. smaydae in Korean coastal waters may be affected by chlorophyll a concentration and water temperature.

마산만 식물플랑크톤의 단기적 변화양상 : 1. 동태 (Short Term variability of the Phytoplankton Populations in Masan Bay: I. Dynamics)

  • 배세진;유신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7-76
    • /
    • 1991
  • 마산만은 부영영화의 영향으로 적조와 무산소층이 빈발하는 해역으로 알려져 있 다. 이 해역의 빠른 turnover rate를 고려할 때 보다 짧은 관측 간격을 필요로 하므 르, 1988년 여름 장마 직후 16일간 일일관측을 실시하였다. 비교적 짧은 조사기간에도 불구하고 식물플랑크톤의 양 및 조성에 큰 변화가 있었다. 세포수와 클로로필 농도는 각각 70, 10배의 변화폭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첫 번째 최고점에서는 규조 류인 Skeletonema costatum이 압도적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이는 약 1주일 후의 두 번 째 최고점에서 Prorocentrum minimum으로 우점종의 천이가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의 시간 규모로 볼 때 마산만과 같은 복잡한 연안환경에서는 적어도 1주 간격의 조사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성층은 표층에서 높은 성장을 가능하게 했던 반면, 저층에서 표층으로의 규산염 공급을 방해하여 규조류의 지속적인 성장을 제한한 것으로 보인다. 표층에서 잇따라 일어났던 규산염 및 규조류 양의 두 번째 최고점은 조류 (tidal current)에 의한 저층으로부터 불연속면을 거쳐 일어나는 규산염의 주기적 (flux)를 시사한다.

  • PDF

마산만의 환경학적 연구 1. 물리적 특성과 화학 성분함량에 대하여 (Environmental Studies on Masan Bay 1. Physical Factors and Chemical Contents)

  • 김종만;한상준;이종화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3
    • /
    • 1976
  • 해양물리적인 환경요인 및 해양화학적인 환경요인은 해양생태계의 주요 구성요인 이다. 육상 환경요인은 보통 1일을 주기 또는 1년을 주기로 그 변화폭이 심한데 비하여 해양환경요인의 변화폭은 작고 지속적인 것이 특징이다. 해양생물체는 상기와 간은 변화폭이 작은 환경요인에 적응진화하였다. 따라서 산업활동이나 도시폐수 등의 직접적인 해수내 유입은 환경요인의 변화폭을 갑자기 변화시켜 해양환경에 균형이 깨지어 생물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마산만은 진해만의 일부분으로 내만으로 되어있으며 주변 임해공업단지에 의한 공장폐수와 도시인구의 증가에 의한 오염여부 및 오염정도에 대한조사연구가 시급하다 하겠다.

  • PDF

마산만일대(馬山灣一帶) 와편모조류(渦鞭毛操類) 휴면포자(休眠胞子)의 분포(分布)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Masan Bay, Korea)

  • 이준백;유광일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4-312
    • /
    • 1991
  • 1986년 5월부터 1987년 3월까지 적도가 만연하고 있는 만산만일대 6개 정점의 저 질표층으로부터 외편모조류 휴면포자(시스트)를 분리하여 월별 및 정점별 분포를 조사 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11종류의 와편모조류 휴면포자가 분리되었으며 6속 9종 2 미 동정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휴면포자의 현존량은 월별, 정점별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48-1,279 cell/$cm^3$의 분포범위를 보였다. 월별로 보면 7, 8월, 그리고 2월에 가장 높 았으나 그외 시기에는 낮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정점별로 보면 만 입구인 정점 4에서 가장 많고 만 내인 정점 1에서 가장 적게 분포하고 있으나 와편모조류 유영세포는 만 내에서 년중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반폐쇄적 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마산만에서는 와편모조류의 유영세포와 휴면포자의 분포는 시, 공간적으로 다른 분포특성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된다.

  • PDF

참다랑어 양식 : 욕지도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및 부침식 가두리 적정 침강수심 (Bluefin tuna (Thunnus thynnus L.) Aquaculture in Yokjido, Tongyeong : Fluctuation of Phytoplankton and Reasonable Sinking Depth in Floating Cage)

  • 조은섭;황형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1-38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경남 통영 욕지도에 참치양식용 내파성 가두리 설치시 Cochlodinium polykridoides 적조 발생에 대한 적정 침강 깊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장시간 동안 C. polykrikoides의 수직이동 현상을 조사하였다. 욕지도 근해의 식물플랑크톤 총 세포밀도는 월별에 따라 매우 큰 변동폭을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 규조류가 우점종으로 출현하고 있다. 여름철 와편모조류의 종 조성을 보면 Gymnodinium sp.가 총 19회로 가장 많은 출현 횟수를 보였고, 특히 C. polykrikoides도 총 8회로 나타났다. 또한 Karenia brevis 및 Fibrocapsa japonica와 같은 유독성 적조생물도 출현하여 이 지역에서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장기적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일출과 일몰에 따른 Chl-a 농도의 변화와 총 세포수의 변화는 상호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어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은 표층으로부터 최소한 3m 침강시켜야 C. polykrikoides 적조로 인한 피해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계 황해의 수질 환경 특성 (Water Quality of the Yellow Sea in Summer)

  • 유선재;김종구;김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25-835
    • /
    • 1994
  • 1994년 6월${\sim}7$월에 황해의 수질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황해의 수온, 염분, 용존산소, 화학적 산소요구량, 용존무기질소 및 인산인에 관한 분포 특성을 기술하였다. 수온과 염분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양자강에서 유입하는 담수는 제주도 주변 해역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존산소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분포에 의하면 중국측에 위치한 황해 서부 해역은 한국측에 위치한 황해 동부 해역보다 수질이 악화되어 있었으며, 또한 영양염 농도와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이용하여 나타낸 부영양도는 황해 서부 해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으로부터 다량의 오염물질이 황해의 서부 해역으로 유입하는 것으로 보이며, 황해 서부 해역은 적조 발생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해양생태독성평가를 위한 표준시험생물로서의 식물플랑크톤에 관한 연구 (Phytoplankton as Standard Test Species for Marine Ecotoxicological Evaluation)

  • 박경수;이상희;이승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2호
    • /
    • pp.1129-1139
    • /
    • 2005
  • A series of experiment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otential of five phytoplankton species as standard test species for marine ecotoxicological tests. The candidate phytoplankton species are Skeletonema costatum, Heterosigma akashiwo, Prorocentrum micans, Isochrysis galbana, and Tetraselmis suecica. Salinity tolerance and sensitivity on potassium dichromate as a reference material were identified. Toxicity of eleven ocean dumped sewage sludges and four red tide expellent extracts were estimated by the inhibition of population growth rates (PGR) of marine diatom S. costatum, While most species revealed relatively weak tolerance on salinity, T. suecica demonstrated the highest salinity tolerance ranged from $5\~35$ psu and the others $15\~35$ psu. H. akashiwo revealed the highest sensitivity as 72h $IC_{50}$=0.76mg/L and T. suecica the lowest as 72h $IC_{50}$=8.89mg/L on potassium dichromate. Sludge extracts from industrial waste, domestic sewage and livestock farm waste sludge showed high toxicity as 72h $IC_{50}$<$2\%$ and lowest toxicity from filtration bed sludge as 72h $IC_{50}$=$30.50\%$ NOEC (No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of sludge extract ranged from <$0.4\%$ to $1.6\%$ and this indicated high phytotoxicity of ocean dumped sewage sludge. The test sensitivity of phytoplankton PGR inhibition was much higher than those of marin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mortality test and bioluminescent inhibition test by marine bacteria Vibrio fischeri, and comparable with the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intermedius) fertilization test. As a result the phytotoxicity test using phytoplankton PGR inhibition ($IC_{50}$) must be a useful tool for marine phyto-toxicological evaluation of ocean dumped materials.

해수적조현상과 선박안정수의 처리 방안 (Treahment Scheme of Sea-water Red-tide and Ship Ballast-water)

  • 소대화;전용우;중국명;중국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772-777
    • /
    • 2003
  • 선박이 배출하는 안정수(ballast water)는 외부로부터 유해 생물들이 유입되어 전파해 오는 주요경로로써 해양환경의 매우 중요하고 위험한 일종의 하나이지만, 이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방법은 아직까지도 개발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강 전리방전을 이용하여 고 밀집 산소와 물분자를 고농도 수산자유기(OH: hydroxyl radical)로 전리, 활성입자를 발생시켜 신속히 확산시키면 넓은 범위에서 비교적 낮은 농도로 유해성 침입 생물을 잔류물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살균제나 촉매제의 사용 없이 소멸시켜 처리하는 효과적인 새로운 녹색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수산기는 강 산화제로써(산화환원 전위는 2.80 eV), 적조생물을 신속, 효과적으로 사멸시켜 잔유물과 오염물 발생 없이 이상적으로 해양적조현상을 처리할 수 있는 활성물질이다. 고출력 강 전리장치를 활용하면 수산기 활성제의 발생 농도를 Sr104 이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해양적조처리에 요구되는 문턱 값 농도(~l$\times$$10^{-6}$)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적조생물 소멸처리시간은 불과 10 sec 내외이므로 선박 안정수 처리문제와 함께 적조발생의 난문제를 해양동력학적으로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이다. 실험결과로부터 시간당 1 k톤의 활성물질을 발생하는 수산기활성제 제조장치의 경우, 약 4$\times$$10^2$ $\textrm{km}^2$/h의 적조해면을 처리할 수 있으며, 그 비용은 약 US$l,000 정도에 상당하므로, 적조에 따른 경제손실과는 비교될 수 없는 저렴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활성물질의 생성시간과 가공시간은 불과 수십 $\mu\textrm{s}$ 및 수 sec 에 불과하므로, 1 kton/h 용량의 수산기활성제 제조장치의 환산소비동력은 약 200 kW이고, 장치의 체적은 10~30 ㎥의 공간으로 충분하므로, 소형선박으로 상당면적의 적조피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 PDF

옹진군 어장관리해역 해제 및 변경 타당성 평가 (Feasibility of Changing or Canceling Designated Mariculture Management Areas in Ongjin-gun, Korea)

  • 강성찬;김형철;황운기;심보람;김청숙;이원찬;홍석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76-588
    • /
    • 2017
  • Some of the mariculture grounds near Ongjin-gun, Korea, were designated as mariculture management areas in 2007. Areas are so designated when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mariculture ground deteriorates or there is an outbreak of hypoxia or harmful red tide that kills mariculture organisms. We surveyed the water and sediment quality and examined the mortality of mariculture organisms in the Ongjin-gun mariculture area. In a survey conducted in 2016, the water quality was better than the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for mariculture grounds, excepts for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and the sediment quality was good. However, there was still mortality of mariculture organisms in some of the designated management areas. The areas that met the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should be delisted and the areas in which we observed mortality should be classified as management areas. This will enabl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quaculture and preserve healthy mariculture grounds.

남부하수처리장 유출수의 해중방류 영향평가 (Environmental Assessment of Ocean Outfall for Effluent from Nambu Sewage Treatment Plant in Suyoung Bay)

  • 박해식;박청길;이석모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41-49
    • /
    • 2000
  • 수역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생활하수, 산업폐수를 처리할 때 주로 BOD 또는 COD를 저하시키는데 주안점을 두어왔으나 제거되지 않은 질소와 인의 유입으로 인하여 해역은 부영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조류증식의 제한인자인 질소와 인의 처리가 필요하다. 고차처리를 적용할 경우보다 건설비용과 유지관리비가 적게 소요되는 해중방류(Ocean Outfall)을 적용하였을 때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남부하수처리장 2차처리수를 해중 방류했을 때 수영만 전역에 미치는 영향을 far-field 모델인 생태-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 과거 남부하수처리수가 해수면에 유입되던 용호만의 수질은 많은 개선을 보였으나 방류관 주변에서 무기질소와 인의 농도가 해역환경기준 III등급으로 적조나 부영양화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