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beet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8초

파 포장에서 파밤나방 유충의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ubner), Larvae in the Welsh Onion Field)

  • 고현관;최재승;엄기백;최귀문;김정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4-138
    • /
    • 1993
  • 파에서 파밤나방 유충의 시기별 공간분포 양식을 충남 아산군 인주면 파 재배 단지에서 조사하였다. 유충의 발생 최성기는 8월 중순과 9월 중하순으로 2회였고 유충의 공간분포 양식은 2가지 형으로 10월의 임의 분포를 제외하고는 모두 집중 분포를 하고 있었다. 유충의 영기별로 공간 분포 양식을 분석한 결과 각 영기 모두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고 집중도는 영기가 낮을수록 높았다. 전남 광주와 무안 지방에서 기주 식물별로 파밤나방 유충의 공간 분포 양식을 조사한 결과 발생량이 많았던 고추, 대파 및 주기주 작물인 쪽파, 배추 무 등에서는 집중 분포를 하였고 녹두, 팥, 땅콩, 상치, 호박, 국화, 콩, 개비름 등 발생량이 적었던 작물에서는 임의 분포를 하였다.

  • PDF

Red Beet의 모상근 배양을 이용한 천연색소인 Betacyanin 생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Betacyanin Production by Red Beet (Beta vulgaris L.) Hairy Root Cultures.)

  • 김선희;김성훈;이주노;안상욱;김광수;황백;이현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35-441
    • /
    • 1998
  • Red beet(Beta vulagris L.) 모상근의 회분배양을 이용한 천연색소인 betacyanin 생산 최적화를 위해 광도, C/N ratio, 인산의 농도를 각각 변화시켜 세포생육과 색소 생산성에 관한 동력학적 분석을 실시했다. 광도변화에 따른 배양 결과 3 klux의 경우 0.3(1/day)의 최대 비 생육속도와 0.11(mg/g-dry cell/day)의 최대 비 생산속도 그리고 14 k1ux에서 0.242(1/day)의 최대 비 생육속도와 0.125(mg/g-dry cell/day)의 최대 비 생산속도를 나타냈다. 광도와 균체의 생육관계를 검토한 결과 광도에 따른 세포 생육은 photoinhibition model이 적용됨이 확인되었다. Red beet 모상근으로부터 betacyanin의 생산은 partially growth related process임이 입증됐다. 이에 따른 세포당 최대 betacyanin 생산을 나타내는 $\alpha$는 0.3756 (mg/cell)이며, 최대 생산속도를 나타내는 $\beta$는 0.001 (mg/g-cel1/day)로 측정됐다. C/N ratio에 따른 실험결과 42.1(w/w)에서 0.26(1/day)의 최대 비생육 속도를 나타내었으나 최대 비 생산속도는 31.6(w/w)에서 0.075(mg/g-cell/day)를 나타냈다. 인 농도에 대한 균체의 생육 및 물질 생산성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1.25mM에서 0.31(1/day)의 비생육 속도와 0.134(mg/g-dry cell/day) 비생산 속도를 나타내었다. 최적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결과 세포 생육과 betacyanin의 최대 생산을 위한 최적 광도는 5.5 (klux),최적 C/N ratio와 인의 농도는 27(w/w), 1.25 (mM)로 결정됐다. 그리고 0.1 $\mu$M kinetin 첨가시 대조구에 비해 비생산성이 0.085(mg/g-dry cell/day)로 증가함이 입증됐다. Normal조건과 optimum조건의 비교결과 세포의 농도인 X(g-dry wt./L)가 8와 16, betacyanin의 생산량인 P(mg/L)가 4.48과 12.5, 그리고 optimum 조건에서 최대비 생육속도인 $\mu$$_{max}$ 가 0.375와 그리고 최대비 생산속도인 q$^{max}$ $_{p}$ 는 0.134로 약 2배로서 최적화가 되었다.

  • PDF

국내산 쌈채소의 신선편의 가공적성 및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and minimal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Ssam' vegetables during storage)

  • 황태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32-637
    • /
    • 2017
  • 쌈채소 4종(적겨자, 케일, 적근대, 적상추)을 대상으로 이들의 신선편의 가공 적성을 조사하였다. 쌈채소를 1/2로 절단하고 세척한 후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18{\times}21cm$)백에 포장하고 $10^{\circ}C$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각종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각 쌈채소의 조직감, 신선편의 가공 후 중량 감소율, 갈변도, pH, 산소 및 이산화탄소 변화, 미생물적 변화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적근대의 외형적 차이로 인해 절단강도는 6,750.67에서 $6,778.67g/cm^2$로 다른 채소와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초기 탄력성은 적겨자(0.98%) 가 가장 낮았고 적상추(1.6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에 따라 변화하였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중량감소율은 0.24-4.77%로 적상추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pH는 6.00-6.95, 갈변도는 저장 중 0.95까지 증가하였다. 저장 중 산소는 감소하였고, 이산화탄소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절단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다. 일반세균, 효모와 곰팡이 및 대장균군은 각각 4.9-8.0 log CFU/g, ND-3.5 log CFU/g, 3.5-8.0 log CFU/g로 나타났다. 전반기호도를 기준으로 케일과 적근대가 신선편의 가공 시 저장 7일까지 상업적 품질을 유지하여, 적절한 가공처리 및 품질 관리가 적용될 경우 신선편의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Biosynthesis of L-Azetidine-2-carboxylic acid in actinoplanes ferrugineus

  • Lee, Kang-Man;Woodard, Ronald W.
    • 미생물과산업
    • /
    • 제13권1호
    • /
    • pp.10-13
    • /
    • 1987
  • L-Azetidine-2-carboxylic acid(A-2-C) is a four-membered cyclic imino acid which was first discovered from Convalaria majalis and Polygonatum officinalis in 1955(1,2). The imino acid A-2-C has been identified in at least 16 species of plants (3) (mostly the families Liliaceae, Agavaceae and Amaryllidaceae); in two marine sponges (Haliclona sp. and Chalinospilla sp.) (4); in the red algae (Lophocladia lamenandi) (5); in the sugar beet Beta vulgaris (6) ; and the microorganism Actinoplanes ferrugineus (7).

  • PDF

LEDs 광조성 및 광도가 베이비채소의 생육 및 기능성물질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Growth and Functional Components in Baby Vegetable as Affected by LEDs Source and Luminous Intensity)

  • 윤성탁;정인호;김영중;한태규;유제빈;제은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49-565
    • /
    • 2015
  • LEDs 광원 및 광도에 따른 베이비채소 6작물의 생육 특성과 기능성물질 함량을 구명하고자 Fluorescent lamp (100, 125, $150{\mu}mol\;m^{-2}s^{-1}$), Red+Blue 1:1 (100, 125, $150{\mu}mol\;m^{-2}s^{-1}$), Red+Blue 2:1 (100, 125, $150{\mu}mol\;m^{-2}s^{-1}$), Red+Blue 4:1 (100, 125, $150{\mu}mol\;m^{-2}s^{-1}$) 광원하에서 파종 40일 후에 수확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베이비채소의 엽수는 시금치를 제외한 비트, 치커리, 적상추, 쑥갓, 겨자에서 Red+Blue(4:1) $150{\mu}mol\;m^{-2}s^{-1}$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2. 초장은 비트를 제외한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에서 Red+Blue(4:1) $150{\mu}mol\;m^{-2}s^{-1}$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3. 생체중과 건물중은 비트,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에서 Red+Blue(4:1) $150{\mu}mol\;m^{-2}s^{-1}$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4. 엽록소 a, 엽록소 b 함량은 시금치, 적상추, 겨자가 대조구인 Fluorescent lamp $150{\mu}mol\;m^{-2}s^{-1}$에서 가장 높았다. 5. 총 안토시아닌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비트,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에서 Red+Blue(4:1) $150{\mu}mol\;m^{-2}s^{-1}$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6. Free radical 소거능은 비트,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의 $150{\mu}mol\;m^{-2}s^{-1}$에서 높았지만 LEDs 광원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비트,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의 베이비 채소를 Red+Blue (4:1) $150{\mu}mol\;m^{-2}s^{-1}$에서 재배한다면 더욱 좋은 생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기능성 물질 함량도 다른 광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좋았으므로 추후 상기의 베이비채소 생산 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Continuous Production of Natural Colorant, Betacyanin, by Beta vulgaris L. Hairy Root

  • Kim, Sun-Hee;Ahn, Sang-Wook;Bai, Dong-Kyu;Kim, Kwang-Soo;Hwang, Baik;Lee, Hyeon-Y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6호
    • /
    • pp.716-721
    • /
    • 1999
  • It has been known that continuous cultivation of hairy root is difficult to maintain for a long period of time compared to the microbial and callus cultures. Chemostat cultivation was successfully carried out in order to economically produce a plant-based colorant, betacyanin, from red beet hairy root for more than 85 days in a 14-1 fermentor. The result from the chemostat cultivation was compared to those of the batch and fed-batch cultivations of red beet hairy roots. It was shown that hairy root reached its steady state within 50 days of the cultivation, and then maintained for about 25-30 days in a wide range of dilution rates. Total betacyanin production from the continuous process was also calculated to be 2.65g at 0.28(l/d) of dilution rate, compared to 0.196g from fed-batch cultivation. It was found that betacyanin production was a partially growth related process, yielding 0.376 mg/g-fresh wt. cell and $1.89{\times}10^{-5}$ mg/g-fresh wt. cell/d, with 0.92 of correlation factor in a partial growth-product model. It was also shown that the cell growth required was relatively large for maintenance amount of energy at a low dilution rate. The growth of hairy root was inhibited by high light intensity in following a photo-inhibition model. The growth parameters were estimated to be 0.3(l/d), $10.56kcal/\textrm{m}^2/h$,{\;}and{\;}35.81kcal/\textrm{m}^2/h$ for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half saturation light intensity, and inhibition light intensity, respectively.

  • PDF

배합사료 내 색소 원료에 따른 비단잉어 홍백C(yprinus carpio) 치어의 성장과 체색 변화 (Effect of Dietary Carotenoids Sources on Growth and Skin Color of Red- and White-colored Fancy Carp Cyprinus carpio var. koi)

  • 김이오;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90-795
    • /
    • 2014
  •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carotenoids sources on growth and skin color of red- and white-colored fancy carp Cyprinus carpio var. koi. Nine experimental diets (designated as Con, CP, PA, SP, OP, MB, TO, BE and PO) were formulated to contain Carophyll Pink, red paprika, Spirulina, Opuntia, mandarin bark, tomato, beet and Porphyra, respectively. Each experimental diet was fed to two replicate groups of fish (22.9 g/fish) to visual satiation three times a day for 8 weeks.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Spirulina or Opuntia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control diet (P<0.05). The values of $a^*$, $L^*$ and $b^*$ of fish skin were significantly changed by dietary carotenoids sources (P<0.05). The $a^*$ values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Carophyll Pink, red paprika and Spirulina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other diets (P<0.05). The skin total carotenoids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Spirulina and Opuntia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s (P>0.0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dietary inclusion of red paprika and Spirulina pacifica could increase the skin redness of red- and white-colored fancy carp.

합성 성훼로몬에 의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방제 I. 외대파에서의 대량유살에 의한 방제 (Control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Lepidoptera : Noctuidae), using Synthetic Sex Pheromone I. Control by Mass Trapping in Allium fistulosum Field)

  • 박종대;고현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5-49
    • /
    • 1992
  • 파밤나방은 기존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기 때문에 전남 진도의 파 집단 재배단지에서 합성 성훼로몬을 이용한 방제의 가능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파를 가해하는 해충중 우점종은 파밤나방과 파굴파리였으며, 두 종은 포장에 따라 경합을 이루어 우점종이 달랐다. 성훼로몬 트랩에 의한 방제효과는 초기에 피해가 많았던 포장은 처리 4주후에 피해엽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중간 정도의 포장은 2주후에는 약간 증가하거나 감소하였지만 4주후에는 같은 경향으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초기피해가 낮은 포장은 계속 낮은 피해가 유지되었으며, 8주후에는 파 60주당 피해엽수가 무처리 포장에서 평균 33.2개의 반면 처리포장에서는 0.2~3개로 조절되었다. 또한 pheromone trap에 의한 웅성충의 유인량도 설치 초기에는 1.8~5.0마리로 적었으나, 2주후부터는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여 8주후에는 77.4마리로 초기에 비해 유인량이 28배 가량 많아졌다. 성훼로몬 트랩 유인량과 피해엽수와는 부의 상관관계(r={TEX}$-0.9572^{*}${/TEX})가 인정되었다. 또한 색광별 light trap의 유인량은 30일 동안 적색에 6마리, 백색에 11마리, 청색에는 전혀 유인되지 않은 반면 pheromone trap에는 1,041마리가 유인되었다.

  • PDF

흰띠명나방의 온도발육 모형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Model of Hawaiian Beet Webworm Spoladea recurvalis Fabricius (Lepidoptera: Pyraustinae))

  • 이상구;김주;정성수;김연국;이상계;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12
    • /
    • 2013
  • 비트의 주요 해충인 흰띠명나방을 9개의 다른 온도조건(15.0, 17.5, 20.0, 22.5, 25.0, 27.5, 30.0, 32.5 및 $35.0^{\circ}C$), 상대습도 $65{\pm}5%$, 광조건 16L:8D에서 발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알에서 성충 우화 전까지의 발육기간은 $17.5^{\circ}C$에서 51.0일로 가장 길었고, $35^{\circ}C$에서 14.6일로 가장 짧게 조사되었다. 온도와 발육율의 관계를 직선회귀에 의해 분석한 결과, 결정계수($R^2$) 값이 0.87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온도에 따른 발육은 직선회귀에 부합되었다. 알부터 성충 우화 전까지의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10.4^{\circ}C$와 384.7일도를 나타내었다. 각 태별 발육모형은 $R^2$값이 0.97~0.99로 비선형회귀식에 잘 부합되었다. 각 태별 발육누적분포와 발육기간에 대한 평균 발육기간으로 나눈 값을 Weibull 함수에 적용한 결과 $r^2$값이 0.63~0.87이었다.

한(韓).중(中).일(日)의 식생활문화(食生活文化) 비교연구(比較硏究) (II) - $14{\sim}19$세기, 일상식품(日常食品)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Food Cultures (II) - From 14C to 19C, on the Daily foods -)

  • 안명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53-364
    • /
    • 1997
  • A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daily foods which were eaten during $14{\sim}19$ century among Korea (Chosun dynasty), China (Ming, thing dynasty), and Japan (Muromachi, Edo era). Specially, in Ming, Ching dynasty, Noodles and dumpling were cooked very often and in Muromachi, Edo era, many kinds of beans were used so much, and there were many kinds of steamed rice to compare with Korea and China. Also, in Japan at these era Woodong, Morisoba, and Somyen were used as favorite foods harbitually. 1. The crops were used as staple foods in three countries such as steamed rice, gruel, noodle, dumpling, rice cake etc. commonly. 2. In Chosun, a roe deer, deer, antelope, and wild boar were more favoite dishes than cow, chicken, and dog, generally people enjoyed to eat pork and chicken. In Ming Ching, pork, chicken, goose, dove, lamb, ass, and duck were used as food materials, also wild animals such as deer, rabbit, and monkey etc. were used. In Muromach era, wild animal as racoon dog, otter, deer, antelope, bear, were used as food materials, in early Edo era (Yayoi and Momoyama), beef and pork were used as daily foods but they were eaten decreasingly in Edo era. So in Japan at those era, the dishes prepared of fishes were more than those of meats. For example, Sushi was made from that time, people all over the world are enjoying to have Sushi at present time. 3. Also in these era, many kinds of vegetables and fruits were used in three countries, and new kinds of vegetables and fruits were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for example, red pepper, pumpkin, sweet potato, potato in Korea, corn, sweet potato, red pepper in China, and water melon, pumpkin, corn, red pepper, marmellow, sweet potato, sugar beet in Jap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