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River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초

진천분지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형성과 퇴적 환경 (Formation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loess-paleosolsequence in the Jincheon Basin, Chungbuk Province, Korea)

  • 윤순옥;박충선;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4
    • /
    • 2013
  • 진천분지 하안단구면 상부에 퇴적되어 있는 뢰스-고토양 연속층인 진천단면을 대상으로 형성시기 및 입도조성과 기후변화 등 퇴적환경을 밝혔다. 진천단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표층, 뢰스-고토양 연속층, 점이층 I, 점이층 II 그리고 하안단구 자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OSL 연대측정 결과 뢰스-고토양 연속층은 MIS 6~4에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연속층은 대자율 변화에 기초하여 4개의 층준으로 구분된다. 입도분석 결과, 진천단면 뢰스-고토양 연속층은 지금까지 한국에서 보고된 뢰스 퇴적층과 입도조성이 유사하다. 특히 Y값은 중국 뢰스고원의 뢰스 및 고토양 층준보다는 작고, Red Clay 또는 양쯔강 하류의 Xiashu 뢰스와 유사하다. 이는 원거리 기원 또는 퇴적 이후 한반도에서 강한 풍화작용을 경험한데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멸종위기어류 다묵장어 Lethenteron reissneri (Petromyzontiformes: Petromyzontidae)의 분포 및 서식지 특성 (Distribution Status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Species, Lethenteron reissneri (Petromyzontiformes: Petromyzontidae) in Korea)

  • 고명훈;문신주;홍양기;이건영;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9-199
    • /
    • 2013
  • 우리나라 멸종위기어류 다묵장어의 분포 및 서식지 특징을 밝히기 위해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모두 755개 지점을 조사한 결과 한강권역에서 8개 지점, 금강권역에서 4개 지점, 섬진강 및 영산강권역에서 32개 지점, 낙동강권역에서 16개 지점 등 모두 60개 지점에서 유생 208개체, 성어 435개체를 채집하였다. 과거의 출현지역과 비교하면 한강 및 금강, 동해안 독립하천, 삽교천 등에서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 반면, 섬진강은 과거보다 많은 출현지점과 개체수가 확인되었다. 출현지역의 서식지 특징은 물이 맑고 소와 여울이 잘 발달한 중상류 지역으로 수생식물이 많이 서식하는 곳이었다. 다묵장어의 분포양상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 기준지침서에 따라 평가한 결과 일부 지역에서 서식지역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고 출현 지점수와 채집된 성어 수 등을 고려할 때 취약(VU) B2ab(ii,iii,iv,v);D1으로 평가되었으며, 그 밖에 다묵장어의 보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산 냉수성 어류 새미(잉어목, 잉어과)의 분포현황 및 멸종위협평가 (Distribution Status and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of Ladislabia taczanowskii (Cypriniformes, Cyprinidae), a Cold Water Fish in Korea)

  • 최광식;배양섭;고명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4-43
    • /
    • 2022
  • 한국산 냉수성 어류 새미 Ladislabia taczanowskii Dybowski의 분포양상 및 서식지 특징, 멸종위협을 평가하기 위해 2021년 3월부터 8월까지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과거 출현기록은 1997~2005년, 2006~2012년, 2013~2019년으로 구분하였고, 분포조사는 169개 지점을 조사하여 72개 지점에서 1,040개체가 채집되었다. 서식이 확인된 지역은 남한강(27지점), 임진강(17지점), 북한강(16지점), 삼척오십천(4지점), 연곡천(3지점), 강릉남대천(2지점), 전천(1지점), 추천(2지점)이었다. 새미의 주 서식지는 고도가 300 m 이상의 상류로 유폭은 2~30 m, 수심은 0.3~1.5 m이며 하상은 큰돌의 비율이 50~90%, 돌의 비율이 10~50%인 곳이었다. 새미의 위협요인으로는 보의 축조와 댐건설, 교량공사, 골재 채취 등의 하천공사와 생활 하수유입, 유원지, 태풍으로 인한 홍수 및 복구공사 등이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멸종위협 등급은 2010~2019년 대비 서식지 감소율(36.1%), 출현범위(7,820 km2), 점유면적(288 km2), 지소수(19개), 서식지 질 하락 등을 근거로 취약(Vulnerable, VU A2ac)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새미의 보존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남지역 출생 의례복식의 현지조사 고찰 (A Study on the Ritual Clothing in Birth around Chonnam Area)

  • 추은희;김용서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5-44
    • /
    • 2003
  • In Anthropology, ceremonies which human should pass in lives are difined as ‘Rites of Passage’. Each Rite has its own Clothing style, which is little different from general Clothing in shape, composition, color, meaning, etc. This Study shows composition and characters on Birth Ceremony Clothing through Documents and Survey around Chonnam Area. Survey Area is subdivided into 3 parts : Koksung(A Basin of Sumjin River-Eastern Area of Chonnam), Na-ju( A Basin of Yeongsan River-Western Area of Chonnam), and Kangjin(Southern Area of Chonnam). This Study analyses characters on Baenaet Jogori, 100th-day Clothing and First-birthday Clothing in Chonnam Area. In case of Baenaet Jogori, its shape in Survey is similiar to that of documents. In case of 100th-day Clothing, New Jogori and Baji have been made usually. First-Birthday(called “Dol”) Clothing shows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fant. Male clothing consists of Pungcha Baji, Jokki, Magoja, Doltti while Female clothing consists of Pungcha Baji, Chima, Jumoni, and Doltti. In making of infant Clothing, 5-colors(Blue. Red, Yellow, White, Black) which consists of basic color in the Theory of the cosmic dual forces and Shape of Letters such as 壽ㆍ福ㆍ亞ㆍ卍 are used usually. This kind of colors and Shape of letters symbolize longevity and fortune. As a result of study, I find what Ritual Clothing in Birth has many symbolic meaning which reflects life-style culture. This study lay meaning on that deals infant clothings as a kind of Ritual Clothing.

  • PDF

PATH VARIABILITY OF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IN SUMMER

  • Yang, Joon-Yong;Cho, Yang-Ki;Chang, Kyung-Il;Suh, Young-Sa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688-691
    • /
    • 2006
  • The current system of the East China Sea, a marginal sea in the northwest Pacific, has a seasonal variation.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Chinese coastal water in the East China Sea, has different seasonal paths. It flows southward along the Chinese coast within a narrow band in winter and does northeastward the Korea/Tsushima Strait in summer, which has been a subject to many researchers. In particular, low salinity in the South Sea of Korea in 1996 and 1998 was in discord with the Changjiang River discharge and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occurrence of red tide in the South Sea of Korea in 1997 and on the contrary, disappearance in the next year. These facts suggested that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does not flow along the same path in every summer. According to the analyses for path of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using ocean color images by SeaWiFS and salinity observations by shipboard CTD in August for recent years,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in summer flowed within the range of direction from southeastward to north-northeastward anticlockwise. However,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flowed northeastward toward Jeju Island of Korea for the most par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jor factors on path variability of the CDW in summer such as surface wind, the Changjiang River discharge and background current.

  • PDF

수중 유해성 유기퇴적물의 수거를 위한 Air-lifting & Suction-pumping System 개발 (Development of the Air-lifting & Suction-pumping System to Remove the Noxious Deposit in the Underwater)

  • 김성근;송도성;강문규;이상무;최영찬;고유봉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1-255
    • /
    • 2002
  • Eutrophic matters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sea, river and lake cause red tide phenomenon in ocean and outbreak green algae in river and lake. Systems are developed to remove the noxious deposit. But the existing systems remove not only the eutrophic matters but also natural materials, sand, pebbles etc. that should remain at the bottom. This paper describes a new system that can safely, and economically take away the noxious deposit in underwater. High pressure water jet is used to induce vortices in the triangular suction section, and air-lifting pump to lift up the deposit. The mixture of the water and deposit is filtered through the drum filters. An under camera shows the under water situation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ystem that is controlled by a remote operator. This remote controlled moving system obliterate the necessity of the diver that usually costs high.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suggested system.

  • PDF

기계학습모형을 이용한 다분광 위성 영상 기반 낙동강 부유 물질 농도 계측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measurement technique based on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ry in Nakdong River using machine learning model)

  • 권시윤;서일원;백동해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2호
    • /
    • pp.121-133
    • /
    • 2021
  • 하천에서 발생하는 부유 물질은 주로 유역으로부터 유입되거나 하천 내에서 자생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퇴적되어 중장기적인 수질 오염을 초래할 수도 있는 중요한 수질 인자이다. 하지만, 부유물질의 재래식 계측방식은 점 단위 계측이기 때문에 노동 집약적이며 방대한 양의 자료를 취득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다분광 위성영상을 제공하는 Sentinel-2 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낙동강 전역에 대한 원격탐사 기반 부유 물질 농도 계측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법은 기존 원격탐사 기반 회귀식들의 한계점을 개선하고 낙동강 전체 영역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기계학습 모형인 서포트 벡터 회귀(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파장대의 분광 밴드들과 밴드비(band ratios)를 고려하였으며, 이를 입력 변수들의 최적 조합으로 재귀적 특징 제거법(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RFE)과 SVR의 각 변수별 가중계수를 활용하여 도출하였다. 가장 중요도가 높은 분광 밴드로는 Red-edge 파장대 영역에 속하는 705 nm 밴드가 산출되었으며, 최종적으로 구축된 SVR 모형을 선행 연구들에서 제시한 회귀식들과 비교한 결과, 가장 정확한 계측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SVR 모형은 RFE를 통해 산출된 최적 분광 밴드 조합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 단일 분광 밴드 혹은 밴드비를 기반으로 구축된 회귀식들이 가지는 변수 의존도를 낮추는 동시에 더욱 정확한 부유물질 농도 공간분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 수소 발생 광물 필터를 이용한 녹조 정화 시스템 (Green Purification System using Natural Hydrogen Generating Mineral Filter)

  • 권유지;박대겸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2_2호
    • /
    • pp.475-485
    • /
    • 2024
  • In many regions of Korea, including the Four Major Rivers,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of algal blooms due to eutrophication of water quality is being raised.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ese social problems, we manufactured a filter using natural mineral fusion (red illite, zeolite, germanium ceramic, selenium ceramic, carbon ceramic) and independently developed a tank system for green algae experiments to observe and determine the stages of change in water quality. In order to study ways to improve water quality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1 ton of severely polluted green algae water from the Nak dong River region was stored in a water tank and exposed to ultraviolet rays in the same environment as the Nak dong River. Then, the same environment as the Nak dong River was created.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a 5-week water quality test.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confirmed that green-colored cyano bacteria were significantly reduced just by the turbidity results. The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a request to the Korea Testing & Research Institute located in Changwon-si, Gyeong sang nam-do. CI-(chlorine ion) and NH3-N(ammonia nitrogen) had the effect of saving every week. The device used in this study was made of natural minerals free of heavy metals that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nature through long-term consideration and exploration to kill and prevent various strains living in water. Green purification system using natural hydrogen generating mineral filter were effective a non-chemical and physical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one way to contribute to the serious problems caused by green algae in many countries, and will contribute to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 by preventing the waste of environmental resources, improving the health of the people, and increasing the ability to purify environmental water quality at home and abroad.

킬레이트 및 이온쌍 형성을 이용한 자연수 중 극미량 Mo(VI)의 용매추출 (Solvent Extraction of Trace Mo(VI) in Natural Water Samples by Chelation and Ion-pairing)

  • 김영상;노승구;최종문;최희선
    • 분석과학
    • /
    • 제6권3호
    • /
    • pp.289-296
    • /
    • 1993
  • 자연수 중 극미량 몰리브덴[Mo(VI)]을 분리 정량하기 위하여 Mo(VI)의 킬레이트이온을 이온쌍으로 만들어 유기용매로 상승 용매추출시키는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자연수 시료 100mL를 분별 깔때기에 취하였다. pH 4.0인 시료에 0.01M alizarin red S 용액 0.5mL를 가하여 Mo(VI)-ARS의 킬레이트이온을 형성시킨 다음, aliquat-336을 0.2% 되게 녹인 chloroform 10mL를 가해 30초 정도 격렬하게 흔들어 모든 킬레이트이온이 이온쌍을 형성하여 용매층으로 분배되도록 하였다. 90분간 방치하여 두 쌍이 완전히 분리되면 chloroform층을 받아서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정곡선법으로 Mo(VI)을 정량하였다. 이상의 과정에서 용액의 pH, alizarin red S와 aliquat-336의 가해 주는 양, 흔들어 주고 방치하는 시간 등과 같은 추출조건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실제 시료인 강물과 수돗물의 분석에 응용하였다. 이들 시료에 Mo(VI)을 일정량 가하여 분석한 회수율은 모두 99% 이상으로 본 방법이 정량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주야간 겸용 표면영상유속계 개발을 위한 원적외선 카메라의 적용성 검토 (A Test of a Far Infrared Camera for Development of New Surface Image Velocimeter for Day and Night Measurement)

  • 류권규;김서준;유병남;배인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8호
    • /
    • pp.659-672
    • /
    • 2015
  • 홍수시 하천의 유속 측정을 위한 표면영상유속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단계는 적절한 영상을 취득하는 것이다. 하지만 영상 획득에 있어 야간에 발생하는 홍수 흐름을 촬영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면영상 유속계의 야간 영상 획득 장치로 원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원적외선 카메라는 별도의 조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주야간 모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개나 연기의 영향을 받지 않아서 고정식 표면영상유속계를 구성하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원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유속 산정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보통의 가시광 카메라와 근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동시 촬영을 하여 영상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소형 프로펠러 유속계에 의한 유속 측정 자료와 비교하였다. 정확도 분석 결과 원적외선의 주간 영상을 이용할 경우 최소-9%에서 최대 -19%의 오차를 나타냈고, 야간 영상을 이용할 경우 최소 -10%에서 최대 -23%의 오차를 나타냈다. 또한 일반캠코더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최대 10% 이내의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주야간 유속 측정에 원적외선 카메라의 적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주간 영상에 비해 야간 영상이 약간 흐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영상을 적절히 분석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