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ycling plastic waste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9초

DECO 필름 제조시 발생하는 PET·OPP 합성 폐필름 재활용의 경제성 분석 연구 (An Economic Analysis Study of Recycling PET·OPP Laminated Film Waste Generated during DECO Film Manufacturing)

  • 박미숙;김다연;양수진;이성유;김춘산;정옥진;황용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2권3호
    • /
    • pp.57-67
    • /
    • 2023
  • 폐플라스틱에 대한 국가 간 수출입 제한에 따라, 폐플라스틱의 국내 처리 및 재활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A 기업의 폐필름 발생 현황 및 운영 정보를 참고하여 가구 표면 마감용 sheet 및 edge 제조시 발생하는 PET·OPP 합성 폐필름의 재활용사업에 대한 비용 편익을 분석하였다. 폐플라스틱 처리는 그간 영세업체에 맡겨져 현황 파악이 어렵고 수익성 담보가 되지 않아, 재활용 기술이 있더라도 활용되기에 어려움이 따랐다. 본 연구에서는 폐플라스틱 물질 재활용 방안의 하나로써, 폐필름 발생 사업장에서 PET·OPP 합성 폐필름을 박리하여 폐PET 재활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되, 재활용 비율은 정부가 「전주기 탈 플라스틱 대책」에서 제시한 수치를 활용하여 2%, 10%, 20%, 30% 재활용할 경우 비용편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폐PET 재활용 방안으로 물리적 박리 기술이 도입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폐PET 재활용 비율에 따른 비용편익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폐PET의 재활용 비율이 30% 이상일 경우에만, 비용 편익비율(Benefit-cost ration, BCR)이 BCR ≥1 에 해당하여 최소비용 편익비율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때, BCR 값은 1.32였다. 향후 정부의 지원금 할당비율과 단가가 상향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비용 편익비율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해당 사례는 유사 업종의 사업장에 폐PET 재활용 및 수익 창출을 위한 시범 Case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에 의한 대체 오일 생산의 신기술 개발 (New Technology Development for Production of Alternative Fuel Oil from Thermal Degradation of Plastic Waste)

  • 이경환;노남선;신대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5권1호
    • /
    • pp.37-45
    • /
    • 2006
  • 대량 발생되어 환경 문제를 유발하는 폐플라스틱의 처리방법으로 열분해에 의한 대체 연료유 생산 기술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폐플라스틱의 발생 현황, 국내외 유화 기술 현황, 유화의 기본적인 공정 기술과 문제점, 그리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개발된 유화의 신기술을 소개하였다. 이 공정의 특징은 열가소성 폐플라스틱이 혼합된 원료에 대해 공정 운전의 자동화에 의한 연속 운전이 가능하고, 반응 공정이 무촉매이지만 왁스 생성을 최소화한 순환식 분해 반응 공정이며, 또한 생성 가스의 재 사용과 슬러지로 부터 오일 회수에 의한 배출 산사물의 양을 줄이는 등의 특징을 가진 경제적, 환경적으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연간 300톤 규모의 파이롯트 플랜트 실험 결과는 정상 운전이 3일 이상의 연속 운전에 의해 오일 수율을 $81\%$ 정도 얻었다. 증류탑 상단과 하단에서 얻은 생성유는 각각 가솔린과 디젤인 경유보다 조금 높은 끊는점 분포를 보였다.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에 의한 대체 오일 생산의 신기술 개발 (New Technology Development for Production of Alternative Fuel Oil from Thermal Degradation of Plastic Waste)

  • 이경환;노남선;신대현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5년도 추계정기총회 및 제26회 학술발표대회 고분자리싸이클링기술 특별심포지엄
    • /
    • pp.34-46
    • /
    • 2005
  • 대량 발생되어 환경 문제를 유발하는 폐플라스틱의 처리방법으로 열분해에 의한 대체 연료유 생산 기술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플라스틱의 발생 현황, 국내 외 유화 기술 현황, 유화의 기본적인 공정 기술과 문제점, 그리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개발된 유화의 신기술을 소개하였다. 이 공정의 특징은 열가소성 폐플라스틱이 혼합된 원료에 대해 공정 운전이 자동화에 의한 연속 운전이 가능하고, 반응 공정이 무촉매이지만 왁스 생성을 최소화한 순환식 분해 반응 공정이며, 또한 생성 가스의 재 사용과 슬러지의 오일 회수에 의한 배출 잔사물의 양을 줄이는 등의 특징을 가진 경제적, 환경적으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파이롯트 플랜트 실험 결과는 정상 운전이 3일 이상의 연속 운전에 의해 오일 수율이 81% 정도 얻었다. 증류탑 상단과 하단에서 얻은 생성유는 각각 가솔린과 디젤인 경유보다 조금 높은 끊는점 분포를 보였다.

  • PDF

Near Field IR (NIR) 스펙트럼 및 결정 트리 기반 기계학습을 이용한 플라스틱 재질 분류 시스템 (The Evaluation of a Plastic Material Classification System using Near Field IR (NIR) Spectrum and Decision Tree based Machine Learning)

  • 국중진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92-97
    • /
    • 2022
  • Plastics are classified into 7 types such as PET (PETE), HDPE, PVC, LDPE, PP, PS, and Other for separation and recycling. Recently, large corporations advocating ESG management are replacing them with bioplastics. Incineration and landfill of disposal of plastic waste are responsible for air pollution and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Because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classify plastic materials with the naked eye, automated system-based screening studies using various sensor technologies and AI-based software technologies have been conducted. In this paper, NIR scanning devices considering the NIR wavelength characteristics that appear differently for each plastic material and a system that can identify the type of plastic by learning the NIR spectrum data collected through it. The accuracy of plastic material identification was evaluated through a decision tree-based SVM model for multiclass classification on NIR spectral datasets for 8 types of plastic samples including biodegradable plastic.

폐플라스틱의 선별기술 (Methods of Separating Used Plastics for Recycling)

  • 윤여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6권2호
    • /
    • pp.12-21
    • /
    • 1997
  • Plastics waste constitutes approximately 23% by volume of the municipal solid waste(MSW) generated in the U.S. each year, and have slow rate of degradation in the environment. Therefore, there is a great deal of public pressure to recycle plastics, and more than 100 million people participate in the curbside recycling programs. Despite the high level of public interest, only 3.5% of the plastic are recycled, which is substantially lower than the recycle rates of other materials such as paper fibers, glass, and iron. Although a large part of the reason is due to the low price of virgin polymers, which in turn is due to the low price of oil, it is possible to make the plastics recycling as a profitable business by developing advanced technologies. In this communication, various methods of separating pplastics from metals and from each other are discussed.

  • PDF

Electrostatic Charging Measurement and PVC Separation of Triboeletrostatically Charged Plastic Particles using a Fluidized Bed Tribocharger

  • Shin, Jin-Hyouk;Lee, Jae-Keun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15
    • /
    • 2002
  • A particle flow visualization, electrostatic charging measurement and separation of triboelectrically charged particles in the external electric field by a fluidized bed tribocharger are conducted for the removal of PVC particles from mixed waste plastics. The laboratory-scale triboelectrostatic separation system consists of the fluidized bed tribocharger, a separation chamber, a collection chamber and a controller. PVC and PET particles can be imparted negative and positive surface charges respectively due to the difference of triboelectric charging series between particles and particles in the fluidized bed tribocharger, and can be separated by passing them through an external electric field. To visualize these charged particles, He-Ne laser is used with cylindrical lenses to generate a sheet beam. In the charging measurement, the particle motion analysis system (PMAS), capable of determining particle velocity and diameter. is used to non-intrusively measure particle behavior in high strength electric field. The average charge-to-mass ratios of PVC and PET particles are $1.4\;and\;1.2{\mu}C/kg$, respectively. The highly concentrated PVC (91.9%) can be recovered with a yield of about 96.1% from the mixture of PVC and PET materials for a single-stage processing. The triboelectrostatic separation system using the fluidized tribocharger shows the potential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removing PVC from mixed plastics for waste plastic recycling.

  • PDF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풍력 선별기의 선별효율 연구 (The Study of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Wind Power Selector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이건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21권3호
    • /
    • pp.74-81
    • /
    • 2013
  • 본 연구는 생활폐기물 처리에서 매립되는 폐기물량을 줄이고 재활용비율을 늘리기 위하여 고안된 풍력선별기 (공기의 흐르는 방향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서 비중분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ANSYS사의 CFX Program을 이용한 수치 해석적 방법을 통해 풍력선별기의 모형을 설계 및 제작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풍력에 따른 폐기물의 분리 효율을 고찰하였다. 흡입장치에서 비닐봉지 1000mL를 흡입하도록 설계할 때 입구 풍속은 0.9 m/sec 이상에서 100%효율을 얻을 수 있었고 1.6 m/sec 이상에서 의 플라스틱병 500mL 와 플라스틱병 1500mL의 혼합 폐기물 효율의 100 % 알루미늄 250mL 선별 효율은 2.3 m/sec 이상에서 100% 마지막으로 알루미늄 250mL를 5mm 두께 압축 선별 효율은 2.4 m/sec 이상에서 90% 임을 알 수 있었다.

EVA와 PET 혼합(混合) 폐플라스틱의 재질분리(材質分離)를 위한 마찰하전형(摩擦荷電形) 정전선별(靜電選別) 기술개발(技術開發) (Development of Triboelectrostatic Separation Technique for Material Separation of EVA & PET Mixture Plastic Wastes)

  • 전호석;박철현;백상호;김병곤;김형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1호
    • /
    • pp.13-2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마찰하전형정전선별법을 적용하여 EVA(ethylene vinyl acetate)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혼합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재질분리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전물질 선정을 위한 하전특성 연구결과, PP(polypropylene)재질이 EV4와 PET 폐플라스틱의 재질분리에 가장 효과적인 하전물질로 확인되어, PP재질의 pipe-type 하전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하전장치를 이용한 재질분리 실험결과, 최적 실험조건에서 PET의 품위와 회수율이 각각 98.7%와 89.7%인 결과를 얻었다.

Waste Classification by Fine-Tuning Pre-trained CNN and GAN

  • Alsabei, Amani;Alsayed, Ashwaq;Alzahrani, Manar;Al-Shareef, Sar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8호
    • /
    • pp.65-70
    • /
    • 2021
  • Waste accumulation is becoming a significant challenge in most urban areas and if it continues unchecked, is poised to have severe repercussions on our environment and health. The massive industrialisation in our cities has been followed by a commensurate waste creation that has become a bottleneck for even waste management systems. While recycling is a viable solution for waste management, it can be daunting to classify waste material for recycling accurately. In this study, transfer learning models were proposed to automatically classify wastes based on six materials (cardboard, glass, metal, paper, plastic, and trash). The tested pre-trained models were ResNet50, VGG16, InceptionV3, and Xception. Data augmentation was done using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with various image generation percentages. It was found that models based on Xception and VGG16 were more robust. In contrast, models based on ResNet50 and InceptionV3 were sensitive to the added machine-generated images as the accuracy degrades significantly compared to training with no artificial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