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ycling plastic waste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51초

생활계 폐합성수지 물질 재활용 제품의 생산시기별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oduction Period of Products Obtained by Recycling Household Plastic Waste Materials)

  • 강혜주;신성철;강석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67-168
    • /
    • 2020
  • In order to expand the material recycling of waste plastics made of composite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use of material recycling products and to secure their quality stability. In this paper, as a basic study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quality of household waste plastic material recycling product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cycled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oduction period were compared and reviewed. In addition, the average tensile strength of the recycled products by production period for 4 months was 12.33 MPa, and the average density was 1.35 g/m3.

  • PDF

폐(廢)플라스틱의 선별기술(選別技術) - 국내자원(國內資源)의 유효이용(有效利用)을 위한 처리(處理) 및 회수기술동향조사(回收技術動向調査)(3) - (Recent Developments in Plastic-Plastic Separation Techniques)

  • 오재현;김미성;신희덕;강정호;민지원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4호
    • /
    • pp.47-60
    • /
    • 2007
  • 현대생활은 플라스틱 없이는 성립되지 않으며, 폐플라스틱량도 방대하다. 한편 2003년부터 EPR(확대생산자책임)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생활계 혼합 폐플라스틱 발생량이 급증하였다. 플라스틱 리싸이클링에는 플라스틱-플라스틱 간의 선별이 기본으로 되어 있다. 플라스틱간의 선별기술 고도화가 폐플라스틱 재활용의 관건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플라스틱 상호선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동향과 실용화되어 있는 기술을 기술하고저 한다.

영농폐비닐 수거율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the Collection Rate of Agricultural Plastic Waste)

  • 이우엘;안동환
    • 농촌계획
    • /
    • 제25권3호
    • /
    • pp.11-18
    • /
    • 2019
  • It is widely known that agricultural plastic waste incineration by farmers may cause big forest fire or fine dust in rural areas. Hence, how to increase the rate of collection and recycling of the agricultural plastic waste is of concern to policy makers especially for rur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eterminants of the collection rate of agricultural plastic waste.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Research on Agricultural Waste' by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from year 2012 to 2015 for 163 reg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 compensation rate for collection, the frequency of collecting services, and the quality of waste are important to increase the collection rate. And the regions with more elderly and low income people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collection rate. Finally, the chief producing regions that are specialized in a certain crop shows higher collection rate.

생활계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정전선별 기술개발 (The Development of Electrostatic Separation Technique for Recycling of Life Circles Waste Plastic)

  • 전호석;박철현;김병곤;박재구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5권1호
    • /
    • pp.28-36
    • /
    • 2006
  • 2004년 이후 EPR 제도의 시행과 더불어 폐플라스틱을 함유한 물질의 소각과 매립을 법으로 규제함에 따라 폐플라스틱 재활용의 필요성이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생활계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정전선별 기술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전물질과 하전장치를 개발하여 선별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대상 플라스틱의 하전효율과 재질분리에 적합한 하전장치 및 마찰하전형정전선별기를 개발하여 2종 혼합 플라스틱으로부터 PVC를 $99\%$ 이상 제거하였으며, PET와 같이 PVC 함량을 규제하는 경우 최적 실험조건에서 PET 회수율 $80\%$로 PVC를 $99.99\%$ 까지 제거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하였다. 또한 3종 혼합 플라스틱은 $98\%$이상으로 분리하여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높일 수 있는 재질분리 기술을 확립하였다.

생활계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정전선별 기술개발 (The Development of Electrostatic Separation Technique for Recycling of Life Circles Waste Plastic)

  • 전호석;박철현;김병곤;박재구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5년도 추계정기총회 및 제26회 학술발표대회 고분자리싸이클링기술 특별심포지엄
    • /
    • pp.23-33
    • /
    • 2005
  • 2004년 이후 EPR 제도의 시행과 더불어 폐플라스틱을 함유한 물질의 소각과 매립을 법으로 규제함에 함에 따라 폐플라스틱 재활용의 필요성이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생활계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정전선별 기술개발로써, 하전물질과 하전장치 개발에 따라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대상 플라스틱의 하전효율과 재질분리에 적합한 하전장치와 마찰하전형정전선별기 개발하여 2종 혼합 플라스틱으로부터 PVC를 99% 이상 제거하였으며, PET와 같이 PVC 함량을 규제하는 경우 최적 실험조건에서 PET 회수율 80%로 PVC를 99.99% 까지 제거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하였다. 또한 3종 혼합 플라스틱은 98%이상으로 분리하여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높일 수 있는 재질분리 기술을 확립하였다.

  • PDF

폐플라스틱의 열화학적 재활용 기술 국내 동향 (Domestic Trends in Thermochemical Recycling Technology of Waste Plastics)

  • 노선아;민태진;김진태;한방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2권6호
    • /
    • pp.79-89
    • /
    • 2023
  • 최근 탄소 중립 이슈와 함께 가장 많은 조명을 받고 있는 환경 문제로는 폐플라스틱 처리 문제가 있다.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기술 중에서도 고온의 조건에서 유기물을 전환하여 원료 및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열화학적 재활용 기술은 그동안 폐플라스틱에 주로 이용되어 왔던 물질재활용의 한계를 넘어선 기술로 평가 받고 있다. 열화학적 재활용 기술은 폐플라스틱을 원래 플라스틱의 원료로 재순환할 수 있는 순환경제의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으며 후속공정 및 최종 생산품의 활용 방법에 따라서 원료(Chemical recycling) 및 에너지(Waste to energy)로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국내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열화학적 재활용의 대표적인 세가지 기술인 연소, 가스화, 열분해에 대하여 살펴보고 최근 주요 기술 동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폐비닐을 이용(利用)한 재생원료화(再生原料化) 기술(技術) (Feedstock Recycling Technologies using Waste Vinyls)

  • 정수현;나정걸;김상국;우희명;김영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4호
    • /
    • pp.46-54
    • /
    • 2013
  • 국내에서 발생하는 폐플라스틱의 양은 폐비닐류를 포함하여 연간 500만톤에 이르며 이 가운데 재활용 선별장을 통하여 배출되는 폐비닐류의 양은 연간 100만톤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재활용 선별장의 폐비닐류는 RPF(Refuse Plastic Fuel) 또는 재생원료로 전환되어 재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 선별장에서 발생하는 폐비닐을 열매체 가열공정에 의하여 용융처리하여 재생 폐비닐 원료로서 이용가능성을 인장강도를 통하여 분석하고 기존의 재생품과 비교함으로서 용융재생원료의 이용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상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폐비닐류를 이용한 재생원료의 인장강도는 100 $kgf/cm^2$ 정도가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폐소형가전의 물리적 성상 분석 및 플라스틱 재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lastics Recycling of Used Small Household Appliances)

  • 최우진;박은규;강석환;정밤빛;김수경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5권1호
    • /
    • pp.31-39
    • /
    • 2016
  • 전기밥솥, 청소기, 선풍기 등 폐소형가전 기기들은 종류 및 품목에 따라 내부 구성 물질과 플라스틱 재질이 다양하기 때문에 해체 및 선별에 특정기술의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소형가전 제품 중 재활용 업체에서 비교적 취급양이 많은 품목 중, 전기밥솥 등 5개 품목을 대상으로 수작업으로 해체 후 물리적 성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폐소형가전은 대형가전제품에 비해 플라스틱의 함량이 비교적 높을 뿐만 아니라 재질이 다양하여, 재질별 선별이 어려워 플라스틱의 재활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특히, 폐소형가전의 경우 검정색 플라스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재질 선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혼합물의 형태로 저급 재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액선별, 정전선별 그리고 근적외선 선별 등 기존의 선별 기술을 적용하여 검정색 플라스틱에 대한 재질 선별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각 기술에 대한 문제점 및 제한사항을 제시하였다.

폐플라스틱의 吹入에 따른 高爐 爐況解析 (Analysis of Furnace Conditions with Waste Plastics Injection into Blast Furnace)

  • 허남환;백찬영;임창희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6호
    • /
    • pp.23-30
    • /
    • 2000
  • 현재 용도 폐기된 플라스틱의 대부분은 소각 또는 매립 처리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폐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론의 하나로서, 고로공정에서의 연료화 기술이 개발되어 유럽 및 일본의 선진 제철소에서는 실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항제철 주물선고로 풍구 4본을 대상으로 2종류의 폐플라스틱 130 ton을 연속적으로 시험취입조업을 하였다. 취입비 13.8kg/thm까지의 코크스 치환율은 0.98kg-coke/kg-plastic으로 평가되었으며, 폐플라스틱의 종류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폐플라스틱의 취입량이 증가할 수록 송풍압은 증가하였으며, 고로내 통기성도 악화되어 노체 하부의 열부하가 증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폐플라스틱 취입량이 증대될수록 노정가스 이용율과 shaft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 PDF

폐타이어 분말과 재생PP로 제조한 열가소성 고무 플라스틱(TPV)의 물성평가 (Characterization of Thermo-Plastic Vulcanized (TPV) Composite Prepared by the Waste Tire and Plastic Powder)

  • 안주영;박종문;방대석;김봉석;오명훈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4호
    • /
    • pp.30-36
    • /
    • 2014
  • 자동차 산업의 발달과 함께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연간 300,000톤 이상 발생하는 폐타이어의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타이어 재활용을 목적으로 40, 80, 140 mesh 크기의 폐타이어 분말을 선별한 후, 입도 분석을 통하여 크기를 확인하고 그 형상을 SEM을 통해 관찰하였다. 또한 각각의 폐타이어 분말을 Virgin PP와 혼합하고 Intermeshing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TPV를 제조하고 특성 분석을 하였다. 이 중 효과가 좋은 140 mesh의 폐타이어 분말과 Virgin PP, Waste PP, PP-g-MA 세 가지 종류의 매트릭스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TPV를 제조한 후 UTM을 통한 인장강도, 연신율과 Izod impact로 충격강도 등을 측정하였고 TGA로 열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SEM을 통하여 폐타이어 분말의 분산정도 및 파단면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