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harge area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6초

Recharge mechanism using electromagnetic ground conductivity survey and tritium concentration analyses of groundwater in salt affected area, Northeast Thailand

  • Imaizumi Masayuki;Sukchan Somsaku;Ishida Satoshi;Tsuchihara Takeo;Ohonishi Ryouichi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fusion technology
    • /
    • pp.344-351
    • /
    • 2003
  • Hydrogeological survey and geochem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Phra Yun area, Northeast Thailand, which is a typical salt-affected area for an understanding of hydrogeological groundwater behaviours. Geological survey reveals the presence of G1 and F1 faults. Electromagnetic ground conductivity prospecting shows that the high conductivity zones of 15 mS/cm or more are distributed at underground of the G1 and F1 faults where saline groundwater is discharge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ritium concentration show that high tritium concentration zones of groundwater were recharged from pond and river. On the assumption that the annual average tritium concentration of precipitation in Northeast Thailand is same as tritium concentration of precipitation in Tokyo and groundwater flows as piston flow, the age of recharging precipitation of groundwater with 15 TU in 1997 could be estimated at 1967-1970 years. The velocity of groundwater flow was calculated to be $5.3{\times}10^{-7}\;m/s\;and\;2.1{\times}x10^{-6}\;m/s$ respectively from a duration time of 30 years and distance of groundwater flow 500m -2000m from the pond and river to the investigation wells. Because the estimated values of velocity of groundwater flow are compatible with the hydraulic conductivities, it is considered that 30 years is a reasonable period for recharging groundwater.

  • PDF

지하수 모델을 이용한 제주도 지하수 유동특성 및 수리전도도 분석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Characterstics and Hydraulic Conductivity in Jeju Island Using Groundwater Model)

  • 김민철;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157-1169
    • /
    • 2019
  • We used numerical models to reliably analyze the groundwater flow and hydraulic conductivity on Jeju Island. To increase reliability, improvements were made to model application factors such as hydraulic watershed classification, groundwater recharge calculation by precipitation, hydraulic conduction calculation using the pilot point method, and expansion of the observed groundwater level.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showed that the model-calculated water level was similar to the observed value. However, the Seogwi and West Jeju watersheds showed large differences in groundwater level. These areas need to be analyzed by segmenting the distribution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alyzing the groundwater flow in a sub watershed showed that groundwater flow was similar to values from equipotential lines;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could be improved. Estima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groundwater flow simulation for all areas of Jeju Island showed hydraulic conductivity > 100 m/d in the coastal area and 1 - 45 m/d in the upstream area. Notably, hydraulic conductivity was 500 m/d or above in the lowlands of the eastern area, and it was relatively high in some northern and southern areas. Such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distribution of the equipotential lines and type of groundwater occurrence.

홍적지대에 있어서의 지하수의 3차원적 유동-3차원 정상류모델에 의한 지하수 유동해석 (Three-dimensional groundwater water flow in an upland area-groundwater flow analysis by steady state three-dimensional model)

  • 배상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87년도 제29회 수공학연구발표회논문초록집
    • /
    • pp.113-122
    • /
    • 1987
  • A numerical simulation technique of three-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model is developed to study the groundwater flow system in Dcjima, an upland area which faces Kasumigaura Lake. For general perspectives of the groundwater flow system, a steady state three-dimentional model is simulated. For the sedimentary mud formations which are found in the representative formation, three situations of hydraulic conductivity are considered, representing an isotropic condition and situations where the horizontal permeability is equal to 10 times and 100times of the vertical one. The finite difference grid used in the simulation has 60x50x30=90,000 nodes. A converged solution with a tolerance of 0.001 meter of hydraulic head is set. Having determined the flow net by using a steady state three-dimensional model. the results for the three cases of hydraulic conductivity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racer methods (Bae and Kayane 1987) With the aid of four representative vertical cross-sections, groundwater flow systems in the study area are assumed. Water balances for the three cases indicate very good agreement between total recharge and discharge in each case Analyses of groundwater flow system based on the tritium concentrations and water quality measurements (Bae and Kayane 1987) are confirmed by the numerical simulation and the results obtained by these two methods appeared to be in close agreement.

  • PDF

강변여과 취수시 과도한 지하수 하강을 저감시키기 위한 인공함양의 활용방안 연구 (Application of the Artificial Recharge to Reduce the Ground-water Drawdown of the Riverbank Filtration)

  • 이동기;박재현;박창근;양정석;남도현;김대근;정교철;최용선;부성안
    • 지질공학
    • /
    • 제14권4호
    • /
    • pp.391-400
    • /
    • 2004
  • 강변여과수의 과도한 취수는 제내지 지하수위 하강을 발생하게 하며 이로 인해서 제내지 농경지의 토양 건조도가 증가되어 과도한 관계용수의 보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지하수위 하강으로 인한 기존 관정사용이 어려워져 더 깊은 새로운 관정을 개발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하강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제내지 측에 인공함양우물을 설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창원시 강변여과 시설에 적용한 결과 인공함양우물의 최적 위치는 취수정으로부터 제내지 측으로 200m 지점에 위치하며, 함양량을 취수량의 $5\%$를 유지하는 것이 지하수위하강을 저감하기위한 효과적인 조건으로 판단되었다.

부산시 금정산 일원의 지하수 유동 해석을 위한 단열계 분석 (Fracture Analysis for Evaluation of Groundwater Flow around the Geumjeong Mountain, Busan)

  • 손문;함세영;김인수;이융희;정훈;류춘길;송원경
    • 지질공학
    • /
    • 제12권3호
    • /
    • pp.305-317
    • /
    • 2002
  • 금정산 일원 지하수 유동 체계를 밝히기 위하여 지질 및 지질구조도 그리고 소규모 단열들의 분류와 각각의 밀도도 작성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금정산 정상부 산성마을 일원은 집수 분지를 형성하고 있어 인근 지하수의 주요 함양지로 판단된다. 또한 산성마을 일원에는 남북방향의 단층 그리고 동북동방향의 단층들이 교차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남북방향 단열군과 동서방향 단열군이 높은 빈도 이상대를 보이고 있어 지표수가 쉽게 지하로 유입될 수 있는 지질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산성마을 일원에서 함양된 지하수는 주요 단열군의 밀집 지역을 따라 지하 3~4 km 깊이까지 순환한 후 온천1동 동래온천 지역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Evidences of in Situ Remediation from Long Term Monitoring Data at a TCE-contaminated Site, Wonju, Korea

  • Lee, Seong-Sun;Kim, Hun-Mi;Lee, Seung Hyun;Yang, Jae-Ha;Koh, Youn Eun;Lee, Kang-Kun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6호
    • /
    • pp.8-17
    • /
    • 2013
  • The contamination of chlorinated ethenes at an industrial complex, Wonju, Korea, was examined based on sixteen rounds of groundwater quality data collected from 2009 to 2013. Remediation technologies such as soil vapor extraction, soil flushing, biostimulation, and pumping-and-treatment have been applied to eliminate the contaminant sources of trichloroethylene (TCE) and to prevent the migration of TCE plume from remediation target zones. At each remediation target zone, temporal monitoring data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remediation techniques showed that the aqueous concentrations of TCE plume present at and around the main source areas decreased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remediation technologies. However, the TCE concentration of the plumes at the downstream area remained unchanged in response to the remediation action, but it showed a great fluctuation according to seasonal recharge variation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Therefore, variations in the contaminant flux across three transects were analyzed. Prior to the remediation action, the concentration and mass discharges of TCE at the transects were affected by seasonal recharge variation and residual DNAPLs sources. After the remediation, the effect of remediation took place clearly at the transects. By tracing a time-series of plume evolution, a greater variation in the TCE concentrations was detected at the plumes near the source zones compared to the relatively stable plumes in the downstream. The difference in the temporal profiles of TCE concentrations between the plumes in the source zone and those in the downstream could have resulted from remedial actions taken at the source zon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long term monitoring data are useful in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remediation practices.

호주 Queensland 남서부 지역의 염분작용 조사 (The role of geophysics in understanding salinisation in Southwestern Queensland)

  • Wilkinson Kate;Chamberlain Tessa;Grundy Mike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8권1호
    • /
    • pp.78-85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지구물리 및 환경공학적 방법을 동원하여 호주 Queensland 남서부 Goondoola Basin 에서의 2차 염분작용의 원인을 조사하였다. 지표 및 지하 물질과 지하수에 대한 정보와 함께 항공 방사능 및 전자탐사 그리고 지표 전자탐사 자료가 얻어졌다. 방사능과 고도자료 및 측정된 물성간에 얻어진 상관관계로부터 지표 물질 및 지하수 유입 포텐샬의 예측도를 만들 수 있었는데, 가장 큰 지하수 유입은 분지를 둘러싼 풍화 기반암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전자탐사자료(항공, 지표 및 시추공)는 토양 및 시추자료와 함께 천부 소금층의 크기와 지하 구조를 규명하는데 사용되었다. 전기전도도 측정자료는 토양 염분의 분포를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표토 깊은 곳에서는 염분함량이 상대적으로 일정하여, 항공전자탐사 신호는 공극률 또는 물성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기반암 풍화대의 수평적인 분포를 탐지할 수 있었다. 이 지역의 염분 작용은 표층 구조에 의해 강하게 좌우되는 국부적 및 중간 크기 과정의 결과로 발생하며, 현재의 지표 현상은 사면의 균열에서 유출되는 천부 염분 지하수 상부에서의 증발 농축의 결과이다. 표층과 지하 자료의 종합으로부터 지하수위 상승에 따른 염분도 증가로 야기되는 유사한 산사태 구조의 규명이 가능하였다. 이 정보는 현재 지방 토지 관리자가 과도한 지하수 유입과 더 이상의 염분 이동을 막는 관리방법의 개선에 이용되고 있다.

제주도 지하수자원의 최적 개발가능량 (Sustainable Yield of Groundwater Resources of the Cheju Island)

  • 한정상;한규상;김창길;김남종;한찬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3-50
    • /
    • 1994
  • 제주도 지하수자원의 산출특성을 규명키 위하여 총 455개 기존관정의 자료를 전산처리하여 지역별 대수성 수리특성을 규명하였다. 제주도는 주로 현무암내에 협재된 화산쇄설층, crinker층과 현무암의 1 및 2차 유효공극이 주 대수대의 역할을 하며 이들은 기저, 준기저 및 상위대수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도 대수층의 평균 투수량계수는 29,300 $m^2$/일이며 평 균 저유계수는 0.12로써 자유면 대수층을 이루고 있다. 종합적인 물수지 분석을 실시한 바 본도에 부존된 지하수 부존량은 약 440억 ㎥이고, 년평균 강수량은 33.9억 ㎥으로써 이 중 하천유출량은 6.38억㎥/년이며, 증발산량은 12.56억 ㎥/년(37%)이고 지하수함양량은 년평균 강수량의 44.1%에 해당하는 14.94억㎥이다. 본도에 부존된 지하수의 최적 개발가능량(sustainable yield) 을 각 지역별로 정량적으로 계산한 결과 그 양은 함양량의 41%에 해당하는 6.2억㎥/년(1,689,000 ㎥/일) 정도였으며 잔여 8.74억㎥/년(2,404,000㎥/일)은 해안이나 해저용천의 형태로 유출된다. 특히 최근에 실시한 심부 시추조사 자료에 의하면 EL-120$\pm$68m 부근에 저투수성 해성 퇴적층(일명 세화리층)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과거 서귀포층군으로 알려진 저투수성 퇴적층이 북서부와 서부 일원에서 EL-70m 부근에 널리 분포되어 있어 서귀포층군과 세화리층의 명확한 구분이 필요하다. 만일 이러한 저투수성 퇴적층이 제주도의 기저층을 이루는 경우 제주도 내에 부존된 지하수는 주로 준기저 지하수일 것이며 이는 제주도 지하수의 산출특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PDF

낙동강 유역의 연안 해저지하수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the Coastal Area of Nakdong River Basin)

  • 김대선;정한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1호
    • /
    • pp.1589-1597
    • /
    • 2021
  • 연안지역의 해저지하수 유출(SGD)은 하천과 함께 영양염류와 미량금속 등을 해양으로 유입시키는 주요 수송로 역할로써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육상의 연안지역인 낙동강 대권역 유역에 대해 1986년부터 2020년까지 35개년의 월별 SGD를 추정하고 계절적 변화와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SGD 산출지점인 낙동강 연안유역은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Digital Elevation Model) 자료를 이용하여 210개의 유역을 추출하였으며, 우리나라에 적용가능한 가장 높은 해상도의 전지구 모델인 FLDAS(Famine Early Warning Systems Network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10 km recharge를 통해 추정한 낙동강 연안유역의 연평균 SGD는 466.7 m2/yr 로 나타났다. 낙동강 연안유역 SGD는 시계열적으로 큰 변동성은 없었으나 여름에 집중되던 SGD유출이 가을철로 주요유출 시기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공간적으로는 큰 수계와 인접한 연안지역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SGD 유출이 많고 1980년대 이후로 시간적 변화에 따라 다소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낙동강 지역의 강수패턴의 시기가 확대되며, 기저유량이 많은 지역의 집수량이 높은 데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SGD 특성을 탐구하기 위한 모델링 기법을 제시한 선행적 연구이며 우리나라 해저지하수 유출이 해양에 미치는 영향과 연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성이 기대된다.

Comparison of hydrochemical informations of groundwater obtained from two different underground storage systems

  • Lee, Jeonghoon;Kim, Jun-Mo;Chang, Ho-Wan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10-113
    • /
    • 2002
  • Statistical- bas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applied to chemical data from two underground storage systems containing LPG to assess the usefulness of such technique at the initial stage (Pyeongtaek) or middle stage (Ulsan) of hydrochemical studies. For the first case, both natural and anthropogenic contamination characterize regional groundwater. Saline water buffered by Namyang lake affects as a natural factor, whereas cement grouting influence as an artificial factor. For the second study area, contaminations due to operation of LPG caverns, such as disinfection activity and cement grouting effect, deteriorate groundwater quality. This study indicates tha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ould be particularly useful for summarizing large data set for the purpose of subsurface characterization, assessing their vulnerability to contamination and protecting recharge zo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