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ring depths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5초

해만가리비, Argopecten irradians의 양성 수심에 따른 성장 (Growth of Bay Scallop, Argopeten irradians at Different Rearing Depths)

  • 오봉세;정춘구;김숙양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68
    • /
    • 2002
  • 사육기간 중 수온은 10.4∼25.5$^{circ}C$로 해역별, 표$.$저층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염분은 25.00∼31.17 $textperthousand$이었고, 용존산소는 최저 6.13 mg/L 이상으로 양호한 상태를 보였다. Chlorophyll-a는 1.23∼11.05 $\mu\textrm{g}$/L로 저층시험구는 월별 변화가 심하고, 2.00 $\mu\textrm{g}$/L 이하의 저농도를 보였다. 6∼8월 해만가리비 성장기에 Phytoplankton 우점종은 편모조류인 Ceratium sp.가 35.2% 출현하였다. 플랑크톤의 밀도는 대체적으로 8∼9월에 낮았고, 10월에 높았다. 수심에 따른 성장을 보면, 해만가리비의 치패 (평균각고 16.59∼16.69 mm)를 2 m와 5 m 수출에서 사육한 결과, 각고는 표층시험구가 0.19 mm$.$d$^{-1}$이었고, 저층시험구는 0.16 mm$.$d$^{-1}$이었다. 전중량은 표층시험구가 0.16 g$.$d$^{-1}$ 이었고, 저층시험구는 0.12 g$.$d$^{-1}$ 이었다. 각고의 일간성장률은 표층시험구는 0.606%이었고, 저층시험구는 0.549%이었다. 전중량의 일간성장률은 표층시험구가 1.972%이었고, 저층시험구는 1.781%이었다. von Bertalanffy 성장 모델에 의해 얻어진 각고의 최대 예상값은 52.62 mm (표층시험구) 및 46.73 mm (저층시험구)이었다. 생존율은 표층구가 80.0%로 저층구보다 높아 표층 (수심 2 m)이 저층 (수심 5 m)보다 해만가리비의 성장 및 생존에 적합한 수층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