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listic Media Art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8초

A Segmentation Guided Coarse to Fine Virtual Try-on Network for a new Clothing and Pose

  • Sandagdorj, Dashdorj;Tuan, Thai Thanh;Ahn, Heejune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36
    • /
    • 2020
  • Virtual try on is getting interested from researchers these days because its application in online shopping. But single pose virtual try on is not enough, customer may want to see themselves in different pose. Multiple pose virtual try on is getting input as customer image, an in-shop cloth and a target pose, it will try to generate realistic customer wearing the in-shop cloth with the target pose. We first generate the target segmentation layout using conditional generative network (cGAN), and then the in-shop cloth are warped to fit the customer body in target pose. Finally, all the result will be combine using a Resnet-like network. We experiment and show that our method outperforms stage of the art.

  • PDF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원근법 해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onstruction of Perspective in Fashion Illustrations)

  • 김순자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3-109
    • /
    • 2015
  • Advent of diverse media and advancement in digital technology significantly affected our perception of time and space. By utilizing digital media actively, fashion illustration has come to go beyond the limitation on conventional perspective express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deconstruction of perspective in fashion illustration, and to analyze a variety of space expressions and effects of visual expression in fashion illustration. By way of literature research for the study, theoretical data are reviewed about basic concepts of conventional perspectiv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concept of perspective deconstruction expression in visual art. By way of an empirical study, fashion illustrations that represent the deconstruction of perspective are classifi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image effects of such expressions. Deconstruction of perspective in fashion illustration find in expression of spaces by means of multi-space, multi-layer space, reverse perspective, perspective through the exaggeration, multi-perspective space, and panoramic visual condition. Fashion illustration expresses visual confusion or fantasy rather than creating realistic spaces that have utilized reasonable perspective. Fashion illustration is moving toward a trait with disharmony and an in-depth visionary space by overlapping or mixing spaces differing from each other, and by means of such peculiar and unrealistic expressions, unfamiliar images are created.

  • PDF

전시·공연 VR 콘텐츠에서 360도 VR 카메라의 위치와 높이 차이에 따른 사용자 프레즌스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Prese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Height Difference of 360-degree VR Cameras in Exhibition/Performance VR Content)

  • 김상일;이재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508-518
    • /
    • 2021
  • 최근 코로나19로 비대면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VR 콘텐츠는 오프라인 활동이 제한된 시각예술, 미디어 아트, 뉴미디어 전시 및 공연 분야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시·공연 VR 콘텐츠와 같은 실사 기반 VR 영상 콘텐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몰입감이나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VR 콘텐츠에 집중되어 있어 실제 적용을 위한 정보와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전시, 공연 분야에서 공연장 내 VR카메라의 배치는 관람자의 시점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시·공연 VR 영상에서 촬영된 카메라의 위치와 높이 차이가 이용자의 프레즌스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위치와 높이에서 촬영된 융복합 전시·공연 <예/인/선>의 VR 영상 콘텐츠를 HMD로 체험 후 프레즌스 및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카메라는 객석에서 무대 중심으로 이동할수록 프레즌스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이의 차이는 실재 몰입감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Spatial augmented reality for product appearance design evaluation

  • Park, Min Ki;Lim, Kyu Je;Seo, Myoung Kook;Jung, Soon Jong;Lee, Kwan H.
    •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제2권1호
    • /
    • pp.38-46
    • /
    • 2015
  • Augmented reality based on projection, called "Spatial Augmented Reality (SAR)", is a new technology that can produce immersive contents by overlapping virtuality and real-world environment. It has been paid attention as the next generation digital contents in media art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methodology to evaluate the product appearance design more intuitively by means of SAR technique. The proposed method first projects the high-quality rendered image considering the optical property of materials onto the mock-up of a product. We also conduct a projector-camera calibration to compensate a color distortion according to a projector, a projection surface and environment lighting. The design evaluation methodology we propose offers more flexible and intuitive evaluation environment to a designer and user (evaluator) than previous methods that are performed via a digital display. At the end of this research, we have conducted a case study for designing and evaluating appearance design of an automobile.

20세기 후기 회화에서의 낙서적 표현에 관한 연구 -다의적 표현방식에로의 변화에 주목하여- (A Study of Scribbling expression in Late 20th century Painting -centerd on the changedness to the multicodificative expression-)

  • 박기웅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4권
    • /
    • pp.26-66
    • /
    • 2002
  • Scribble methodology is developed from the modernist's effort of pursuing the free expression and painterlyness And in modernism period usual abstract mode is made by simple plastic ingredients. One of them is Scribble way. In the period of postmodern, the Scribbling is confused with destructive methodology like Iconoclasm, Vandalism and scribbling. Lucio Fontana and Robert Raushenberg had developed these methodology and made new direction in $1960\sim1970$. After 1980, there had been graffiti movement similar to scribbling in germany. There had been developed many kind of scribble methodology, in each artist and be prolonged destroy the price of our usual concept. These Styles are able to discerned as follows. Firstly, in case of Cy Twombly, he used very allusive signifier, which contain different motives come from the ancient ruins or myths. The methodology follows multi-codified meaning relationship. Secondly, the methodology was developed by Jean Michael Basquait as the type of Hispanic scribbling for ebony peoples and by Keith Harring as the type of Cartoon image of Mass-media based on technology. Thirdly, the multi-meaning style was developed by David Salle as the type of destructive methodology which are the ambivalent images conjoined difference time and term and by Gigmar Polke as the type of mixture of abstract and realistic shapes together which are based on the aesthetics which is based on pessimistic sight for contemporary civilization. It means the methodology is based on the multi-codification of postmodern semiotics. So the scribbling mode is subjected as important as the changedness of late 20th century painting developments.

  • PDF

영화의 특성 분석에 따른 공간디자인의 표현방법 - 환영성 표현 특성을 중심으로 - (Space Design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ovies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Expressive of the Illusionist -)

  • 송춘의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231-240
    • /
    • 2004
  • 21세기의 공간 디자인은 그 어느 시기보다도 다양한 미디어와의 관계 속에서 전개되고 있다. 대중문화로 대변되는 이미지의 시대에 미디어와 관계한 공간 디자인은 포스트 모더니즘 사회를 이루는 탈 이성적 사고에 기반을 두며 예술과 삶의 동질화를 통해 사회의 변화를 다의적이고 다원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현대사회를 이루는 다양한 환영주의적 미디어 이미지 중 특히 감각적으로 지각되는 이미지이며 가장된 비 실재적인 이미지인 영화라는 매체는 본연의 특별한 속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예술분야와 상호 연계를 맺으며 급속히 성장하였고 그 파급효과도 놀랄 만큼 커지고 있다. 영화는 극명한 현실감의 재현을 통해 실재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만들어 내고 의미 잃은 이미지들의 새로운 실재를 구성하기 위해 대중사회를 조작하고 이는 가상현실의 세계를 구축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시뮬라르크 시대를 대변하는 환영성의 이미지를 창조해 나간다. 영화의 이러한 환영적 표현은 의미들에 대한 새로운 해체와 재 조합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생산하고 우리의 일상적인 삶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대중문화를 총체적으로 표현한다. 이렇게 우리사회의 반영인 영화 환영성의 대한 분석적 태도는 공간 디자인의 관계에서도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시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영화의 환영성의 특징이 공간에서 영화와 공통적으로 도출되는 디자인적 개념언어로 활용되어 공간디자인의 한 방법론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교류분석을 기반으로 한 FIFA Online3 캐릭터 행동과 교류방식 연구 (A Study on FIFA Online3 Characters' Behavior and Transaction Method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 김미선;고일주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65-7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인간과 유사한 행동을 하고 사회적 교류를 하는 게임 캐릭터를 제안하기 위해 FIFA Online3 캐릭터의 행동과 사회적 교류 방식을 정의하였다. 다양한 메시지 교환이 발생하는 기타 게임에 비해, 축구 게임인 FIFA Online3는 공을 매개로 하여 타 캐릭터와 상호작용 한다는 점에서 캐릭터의 행동과 교류를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실제 사람의 심리와 행동에 대한 방법론인 교류분석을 기반으로 한 캐릭터 행동방식의 정의와 캐릭터 간 관계성 부여는 플레이어에게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첫째, 캐릭터의 행동방식을 정의하기 위해 심리학 이론 중 하나인 교류분석 이론의 자아상태를 활용하였다. 둘째, 교류분석의 교류를 바탕으로 하여 자아상태를 가진 캐릭터가 게임에서 수행하는 행동을 통해 발생하는 캐릭터 간 교류방식을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캐릭터가 사회적 교류를 진행하는 방식을 예를 들어 제시하였다. 이렇게 자아상태를 가진 캐릭터가 게임에서 보일 수 있는 행동과 교류를 정의함으로써 캐릭터가 실제 사람과 유사한 특성 가지고 게임에서 행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포토그래메트리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실감 콘텐츠 제작과 스토리텔링 방법 연구 (A Study on Immersive Content Production and Storytelling Methods using Photogrammetr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 김정호;박진완;유태경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654-664
    • /
    • 2022
  • 실감 콘텐츠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관심과 더불어 확장현실, 인공지능, 포토그래메트리 기술과 융합을 통해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며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공연, 전시 등 콘텐츠 시장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실감 콘텐츠가 대중들에게 지속된 관심을 가지기 위해서는 기술적 신선함보다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스토리텔링 방법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및 포토그래메트리 기술을 활용한 실감 콘텐츠 스토리텔링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방법은 대화형 가상존재와 참여자가 대화를 통한 상호작용으로 콘텐츠 스토리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에 관객 주도적 참여를 통해 콘텐츠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속화되는 실감 콘텐츠 시장에서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제안된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된 가상존재를 통한 스토리텔링 방법론으로 효율적인 콘텐츠 제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콘텐츠 제작에 있어 인공지능 및 포토그래메트리 기술을 활용한 실감 콘텐츠 제작 파이프라인 정립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팜므 파탈(Femme Fatale) 이미지 (The Femme Fatale Image in Fashion Illustration)

  • 최정화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3호
    • /
    • pp.431-44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theorize the characteristics of femme fatale in fashion illustration since 1980.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ocumentaries for theoretical studies about femme fatale and the visual characteristics in fashion illustration works since 19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emme fatale expressed in the general realm of art was icon of fatal and seductive eroticism in late 19th century. She is composed of diverse images like mythology, exoticism, fear and sensuality. The characteristics of her image in fashion illustration were expressed into de-body image by union of animal and female body, or machine and female body, duplicity of death and sexuality, sexual decadence or abnormality and powerful masculine taste. First, de-body image by union of animal and female body, or machine and female body was expressed in transformed mythical image or bizarre and demonic image, grotesque image linked by picture of female body and painting of animal image, and cyborg image linked by machine and realistic female body by digital media. Second, duplicity of death and sexuality was expressed in juxtaposition by sexual pose, body and something metaphorical and symbolic depiction and de-constructive depiction of death. Third, sexual decadence or abnormality was expressed in fetishistic style, obscene depiction of cheap and hedonistic sexuality, masochistic depiction like antisocial and diseased sex appeal. Forth, powerful masculine taste was expressed in man's face, body, pose, masculine fashion, man's role related to crime and threatening weapon, etc. As mentioned above, femme fatale in fashion illustration was expressed in diverse images by fashion illustrator's point of view. Although she was originated by men's fantastic vision, she brings a catharsis to human being. And she is also recognized as new paradigm and positive cultural sign in our times.

  • PDF

"The Light": 정량적 프레즌스 측정을 위한 빛의 색, 빛의 움직임, 빛과의 인터랙션을 이용한 추상영상 실험 ("The Light": An Experimental Moving Image which uses Color, Trace, and Interactivity of Light to Measure Quantitative Presence)

  • 전성신;김성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12호
    • /
    • pp.587-592
    • /
    • 2017
  • 관람객 자신이 보고 있는 영상 콘텐츠의 공간속에 있는 느낌이나 심리적 경험을 프레즌스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1) 어떤 영상 이미지와 형태에 따라 향상 또는 증강되는지, (2) 관람자의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프레즌스의 변화, (3) 인터랙티브가 가미된 영상작품에서 인터랙티비티가 프레즌스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실험영상으로는 본인이 제작한 "The Ligh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영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실험영상의 주요한 시각적 구성요소인 색상과 형태를 분류하여 프레즌스를 측정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실험영상에 인터랙티브가 가미된 영상을 제작하는 것이 본인의 작품에 프레즌스를 높인다는 결과를 얻었다. 실험영상과 인터랙티브가 가미된 영상의 프레즌스를 측정하기 위해 기존 프레즌스 측정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설문지 조사형태인 PQS와 뇌파측정 방법인 EEG 측정을 결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뇌파 측정에 따른 알파파와 베타파의 변화는 프레즌스 증감에 따라 결과치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