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achievement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1초

The Effects of Generative Concept Map on Science Learning Achievement and Cognitive Load

  • OH, Suna;KIM, Yeonsoo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7권2호
    • /
    • pp.253-271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enerative concept maps according to learning achievements and cognitive load. A total of 78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implemented, students ha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assessing prior knowledge. The study was designed where all the students were presented the same learning contents regarding photosynthesis; however,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provided with different concept map methods: a learner-generative concept map (GCM) and an instructor-provided concept map (PCM). GCM students were asked to make a concept map by themselves in small groups while they are reading material. PCM students were instructed to study in small groups in order to read the material; however, they were provided a concept map developed by their teacher. The control group (CG) had the teacher present the learning contents in traditional lecture format with no accompanying concept map.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hievements among the groups. CG showed higher achievement than both the experimental group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load. Although the GCM group did not obtain higher achievement than the other groups, the GCM group showed higher mental effort and lower physical fatigue than the other groups. The GCM group might have invested more effort to find and connect ideas when drawing their concept map with peers which is unlike the conditions for the PCM group and CG. In conclusion, we should consider applying GCM in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in order to increase learning achievement and decrease extraneous cognitive load.

대학 교양영어 소집단 협동학습이 영어독해력, 영어읽기동기, 협동학습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lege-Languag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English Reading Motiv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Awareness)

  • 이영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81-91
    • /
    • 2020
  • 본 연구 목적은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활용 가능한 소집단 협동학습 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소집단 협동학습이 영어 독해력과 영어 읽기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소집단 협동학습 인식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청북도의 4년제 종합대학교의 필수 교양영어 수업에 참여한 신입생 62명을 연구대상으로 2019년 9월 2일에서 12월 13일까지 실험반(34명)은 협동학습을 기반으로 한 맞춤식 소집단 협동학습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통제반(28명)은 전형적인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의 영어 능력은 학업 숙달도 영역을 영어 독해력으로, 정의적 영역은 영어 읽기 동기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실험 전 학습자들의 영어 독해력은 국가 수준 교육 성취도 평가문제를 발췌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한 집단의 영어 독해력 점수와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하지 않은 집단의 영어독해력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한 집단의 영어 읽기동기 점수와 적용하지 않은 집단의 영어 읽기동기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셋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한 집단의 인식변화가 실험 전과 실험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교양영어 수업 시 대학생들 간의 협동학습을 통해 영어 독해력, 영어 읽기동기, 협동학습 인식이 상승했으며, 이를 통한 자아정체성, 자신감 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Students & Parents to Comics for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 이종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27-246
    • /
    • 2012
  • 출판업계가 불황을 타개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이른바 학습만화를 고안해 내면서 만화를 통해 교과학습 및 관련 사물을 이해하려는 학생들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만화에 대한 유해성이 높은 독서자료라는 과거의 인식은 아직도 많은 학부모들로 하여금 자녀들의 만화독서를 금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실제 만화를 독서하고 있는 학생들과 이를 대하는 학부모들은 만화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3개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 한반씩 총 12개 반의 291명의 학생들과 203명의 학부모 설문지가 유효하다고 판단하여 분석한 결과, 상당수의 학생들이 학교도서관 등의 정보원으로부터 학습만화를 입수하여 독서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만화가 학업성취에 상당히 도움이 되고 있으며 두 집단에서 학습만화 독서가 일반 독서로 이어지는 독서전이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도서관운영자는 학습만화를 중요한 교수학습매체로써 인식해야 하며 아울러 독서흥미유발을 위한 견인매체로써 학습만화를 활용하여야 하고 정규교과목 시간에서도 교수학습활동에 학습만화를 보조교재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Factors of Korean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tific Literacy

  • Shin, Dong-Hee;Ro, Koog-Hya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893-905
    • /
    • 2001
  • Korean students ranked the 3rd out of 32 participating countries in the first cycle of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science field, which assessed 15-years-old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PISA developed several variables such as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family wealth, and cultural possessi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on scientific literacy. On the other hand,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science study were not given much attention, partly because science was the minor area in the first cycle of PISA. Therefore, PISA Korea developed a series of variables to collect data on students' learning motives and out-of-school activities in science as a national op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Korea was found to be one of the PISA participating countries with the scientific literacy achievement least influenced by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family wealth, and parents' cultural possession. Second, the degree of achievement in scientific literacy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was in a positive correlation, similar to the overall tendency of PISA. Third, the most crucial learning motive for Korean students was their desire to develop scientific thinking abilities or obtain science knowledge. On the other hand, choosing jobs in the field of science or parental expectation was the least important learning motive. In particular, the motive for scientific learn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scientific literacy achievement. Therefore, the higher the students achievement, the stronger the motive for scientific learning in order to develop their ability to think scientifically or acquire science knowledge. Fourth, Korean students were shown to participate very little in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other than watching TV programs related to science. Whatever the activities may be, the more actively involved students are in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the higher their scientific literacy achievement. Fifth, Korean girls were rather passive compared to boys in all areas, including science learning motive and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The gender difference was especially more pronounced in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with wider gaps in such activities as reading scientific books or articles and visiting science-related web sites.

  • PDF

농촌가정 자녀들의 방과후 활동에 대한 연구 (After-school activities of rural children)

  • 옥경희;김미해;천희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4호
    • /
    • pp.85-103
    • /
    • 2001
  • After-school activities were examined for 449 rural children in first through seventh grades. Childrens engagement of after-school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child and family characteristics, especially childrens age and behavior control ability. Findings showed a decline in amount of time spent studying and reading and a raise in going to a game-room. Childrens school achievement,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were also differed by a range of after-school activities. Children spent more time in studying and reading showed higher grades, happiness, school life. Teachers reported greater aggressive behavior and less adjustment of school life among children participating more in game related activities and hanging out. Watching TV, doing house chores and visiting friends were not variables which showed different outcomes.

  • PDF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의 검사지 구성의 원칙과 절차: 문항 유형 확정 모델 (A blueprint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the listening and the reading test of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Item-types decision-making model)

  • 김용명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4호
    • /
    • pp.153-184
    • /
    • 2010
  • On the bases of the 5 principles and the 4 criteria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of the listening and the reading test of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this study presents Item-Types Decision-Making Model as a blueprint for designing and constructing the two tests. It sets up the criteria for validating item types, designs a modular type of test specifications, constructs an item-types bank, and specifies a complementary type of test specifications of the two tests. To gather all these threads up, it constructs Item-Types Decision-Making Model which consists of such components as the item-type pool, the validity criteria and the procedures of testing item types, the item-types bank, the modular and the complementary type test specification. Thus, it shows how the Model works in developing and constructing the two level-differentiated listening and reading tests (the 2nd and the 3rd rank) of NEAT. Finally, it discusses some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Model to the two level-differentiated tests (the A and the B type) of 2014 CSA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ystem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and classroom testing. In conclusion, Item-Types Decision-Making Model functions as a testing template in an item development system and as a matrix in an item-types bank system.

  • PDF

초등학교 계절의 변화 수업에서 학습안내 제시물을 활용한 거꾸로 수업의 효과 탐색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using printed reading materials in an elementary science class of seasonal change)

  • 하지훈;방운배;이성희;신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3호
    • /
    • pp.238-253
    • /
    • 2016
  • 본 연구는 인쇄물 형태의 학습안내 제시물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거꾸로 수업을 실시했을 때 어떤 효과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학급의 학습 분위기와 성취가 유사한 2개 반을 선정하여 연구반(27명)과 비교반(26명)으로 각각 1학급씩 선정하였다. 연구반의 경우 인쇄물 형태의 학습안내 제시물을 활용한 거꾸로 수업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진행되었고, 비교반의 경우 기존 과학 수업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학습안내 제시물을 활용한 거꾸로 수업의 학습동기 측면에서 효과를 살펴본 결과, 내적 동기 영역에서 학생들의 호기심을 향상시키고, 과제가치 영역에서의 과학 수업 내용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으나 학업성취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인쇄물 형태의 학습안내 제시물을 활용한 거꾸로 수업은 의사소통과 교육환경 측면에서 가장 큰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現代)의 독자(讀者)와 과거(過去)의 문학(文學) (The Modern Reader and The Past Literature)

  • 김균태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16호
    • /
    • pp.5-27
    • /
    • 2008
  • It is not a simple topic how let the modern readers read the past literature in the these days of digital. But even though the changes of the times, we must not let 'the paper-books(the thing written with letters)' disappear because of 'the audio-visual texts(the thing made with digital media as drama-opera, animated cartoon, animated image)'. The Electronic medias should be used so as helping for us to understand contents of the paper-books. Because of them, the paper-books must not be expelled. It is no need certainly for the reading materials to be made with Paper-books. For example, the electronic-books in order to read also would not become problems. Moreover, the electronic-books to be made with various electronic media can also provide the audio-visual materials for readers well to understand contents of the books. For that reason, the electronic-books would be helped to read effectively. Besides after reading the original texts, the readers to try the 'rewriting', with using the meanings for oneself to get from the texts would be able to make a synopsis or story-telling for other art performances. These works are things positively to be stimulated, because of giving the achievement motivations to the readers. To conclude, the audio-texts reading and the visual-texts reading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 paper-books to be revitalize. And though the modern readers dislike to read the paper-books, We should try to make the audio-visual texts base on the paper-books. Therefore the paper-books and audio-visual texts are inter-complementary relationships, not competitive relationships.

줌(Zoom)을 활용한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의 방향 탐색 (Exploiting Directions in On-line Non-face-to-face English Class Using Zoom)

  • 김혜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84-290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의 효율성을 파악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지속 가능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의 확장 가능성과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이 한 단계 더 발전해서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교육학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줌을 활용한 온라인 비대면 영어 독해 수업 사례를 소개하고 이것이 학습자들의 독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그 이유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은 학습자들의 독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온라인 비대면 독해 수업에 대체로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여 주었고 만족하는 이유로는 체계적인 수업 진행 및 수업의 질, 학습의 효율성 등을 제시하였다. 교수자들은 온라인 비대면 독해 수업의 확장 가능성을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 방안을 미리 대비하고 철저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수자들은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 활동을 제시하고 세세한 내용 설명과 빠르면서도 적절한 피드백을 통해 체계적으로 수업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TIMSS 2015에서 과학 성취도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교육맥락변인 분석 (Effects of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on Science Achievement and Interest in TIMSS 2015)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3-1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TIMSS 2015 결과를 분석하여 성취수준별로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교육맥락변인을 탐색하고 집단 특성에 맞는 교수 학습 방법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과학 성취와 흥미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해 위계선형모형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4학년 과학성취도의 경우에는 우수수준 이상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도서보유량, 부모학력,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이었고, 보통수준 이하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도서 보유량으로 확인되었다. 8학년 과학성취도의 경우에는 우수수준 이상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도서 보유량,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 재학생의 경제적 배경으로 확인되었고, 보통수준 이하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도서 보유량과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으로 확인되었다. 학년을 막론하고 도서 보유량과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은 학생의 과학 성취도와 흥미에 주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과 교수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모든 학생들을 위한 체계적인 독서 프로그램 제공, 중학교 학생참여형 과학 수업을 활성화, 초등학교 보통수준 이하의 학생들을 위한 탐구실험 체험과 개념 연계 수업 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