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ers' Advisory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초

독자상담을 위한 사서교육에 관한 연구 (Education for Readers' Advisor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gram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73-98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북미 공공도서관의 독자상담에 주목하고, 독자상담과 관련한 사서직의 역할과 독자상담 사서의 양성실태를 고찰해보았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미도서관협회(ALA)가 승인한 문헌정보대학원(미국 50개 대학과 캐나다 7개 대학)을 대상으로 독자상담 및 관련 교과목을 조사하여 교수요목과 교수계획표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독자상담과 관련한 교과목의 운영현황과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 문헌정보학에서 도서관의 독서서비스 및 사서교육과 관련하여 검토할 사항과 과제를 논의해보았다.

  • PDF

성인 이용자를 위한 온라인 독서지원서비스에 관한 연구 - 미국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Online Readers' Advisory Services for Adult Patrons: Analysis on American Public Libraries' Service Cases)

  • 최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1-80
    • /
    • 2009
  • 독서지원서비스(readers' advisory)는 공공 도서관에서 점차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중요한 서비스 영역이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이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독서지원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여 주요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독서지원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 각 지역에 있는 공공도서관 200개의 홈페이지를 분석한 결과 9개의 독서지원 서비스 영역이 도출되었으며 미국 공공도서관이 이용자와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며 이용자 중심적인 서비스를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 공공도서관에서도 주목해야만 할 동향이며 이 연구에서 분석된 독서지원 서비스 9개의 영역은 향후 국내 공공도서관 독서지원서비스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독자자문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ders′ Advisory Services)

  • 박온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61-289
    • /
    • 2004
  • 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이용자를 위한 참고정보서비스 중 안내(guidance)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요즈음 다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안내서비스의 한 분야인 성인독자를 위한 독자자문서비스의 이론적 배경과 기본기술을 문헌조사를 통해 제시함으로써 이용자 서비스 확대, 독서장려, 도서관직원 교육,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개발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온라인 독자상담 서비스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Online Readers' Advisory Services Offered by Public Librarie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55-178
    • /
    • 2023
  •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독서환경의 변화로 인해 공공도서관의 독자상담은 도전과 기회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서비스의 도약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온라인 독자상담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6개의 광역시(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울산)의 50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독서프로그램 및 신간 안내등의 공지, 독자 요구 파악 및 개별 이용자를 위한 안내, 사서가 개발 제공하는 콘텐츠, 독자가 참여하여 생성하는 콘텐츠, 외부 기관의 독서 정보 안내, 외부의 전문 서평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웹사이트의 활용, SNS 서비스라는 7가지 항목에 기초하여 온라인 독자상담의 현황과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독자 만족도 향상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온라인 독자상담 서비스가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개별 독자를 지원하는 사서의 도서 추천 서비스, 사서의 서평, 독자의 참여와 공유 및 상호작용 활동을 강화할 것을 제시하였다.

치료적 독자상담의 이론적 근거와 개념적 모형에 관한 연구 (Theoretical Foundations and a Conceptual Model of Therapeutic Readers' Advisory Services)

  • 이기명;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3-72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1) 독서치료를 '치료적 독자상담'의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해 문헌정보학 분야의 관련 이론들을 검토하고, (2) 그러한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하여 '치료적' 독자상담의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근거에 대한 논의에서는 구성주의적 관점의 정보행태 이론, 특히, 더빈이 제시한 '의미형성이론'과 컬다우가 활용한 '불확실성 이론'이 치료적 독자상담을 위한 이론적 근거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나아가 '치료적' 독자상담의 과정을 세부 단계로 구체화해 독자상담 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개념적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한국 도서관계에서 독자상담과 독서치료의 의미 (Readers' Advisory and Bibliotherapy in Korean Library Community)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29
    • /
    • 2009
  • 이 글의 목적은 2009년 현재 한국 도서관계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사서 주도의 독서치료 활동이 한국도서관의 새로운 서비스로 자리매김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논의의 중점은 역사적 관점에서 이론적 뿌리를 찾아가는데 두었으며, 이 과정에서 독서치료에 비해 보편적이지만 도서관적전통과 이론적 기반은 훨씬 튼튼한 독자상담 영역과 비교하면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더불어, 한국 도서관계의 상황을 한국보다 앞서 독서치료를 시행해온 미국 도서관계의 상황에 비교하면서 한국 도서관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독서치료 활동의 특이성과 고유성을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적 현상'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발전을 위한 과제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 PDF

'치료적' 독자상담으로서의 독서치료와 사서의 역할 (Bibliotherapy as an 'Therapuetic' Enforced Readers' Advisory and the Roles of a Librarian as a Therapist)

  • 이기명;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59-179
    • /
    • 2011
  • 이 논문의 목적은 독서치료의 지적 기반을 전통적인 도서관서비스인 독자상담에 두고, 독자상담 영역에서 그동안 활용해온 이론과 방법에 근거하여 독서치료를 우리 도서관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강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도서관 선진국인 미국의 도서관 현장을 사례로 하여 독자상담과 독서치료와의 논리적 연계성을 검토해보고, 독자상담의 연장선에서 치료적 독자상담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치료적 독자상담의 실천을 위해 사서가 수행하여야 하는 역할을 컬다우(Kuhlthau)가 제시한 중재역할(zone of intervention) 모델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Librarian Perception of Readers' Advisory in Korean University Libraries: A focus on Leisure Reading

  • Jeong, Dae-K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83-101
    • /
    • 2020
  •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the role of university libraries for leisure reading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y libraries about leisure reading, which is a part of the reading support service an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university library librarian's percep tion of the necessity of leisure reading.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 d on university librar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78% of university libraries were conducting leisure reading, and 72% of them provided separate space. Separate manpower was provided only in 30% of libraries, and book lists were provided mainly by best sellers. Regarding the need for leisure reading (4.28) and the role of university libraries (4.32), librarians responded that it was a necessary service for university libraries, and university library librarians that currently provide spaces and program s were more aware of the need.

비영어권 이용자를 위한 공공도서관 영어독서 프로그램 사례 연구 (English Reading Program of Public Libraries for Non-English Speakers)

  • 최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9-496
    • /
    • 2012
  • 영어는 국제적 환경에서 중요한 정보 활용의 도구로 인식되고 있어 영어독서능력도 점차 중요한 정보 활용능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공공도서관 독서 프로그램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고 있어 이 연구에서는 비영어권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어독서지도 프로그램의 운영 역사가 긴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의 50개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영어독서지도 프로그램의 현황과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도서관이 수용할 수 있는 주요 요소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중 주목할 만한 사항은 공공도서관이 평생교육측면에서 성인들의 영어독서활동을 지원하여야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과 가정 내에 영어독서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도서관 중심의 독서활동을 가정으로 확장하여 영어독서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모국어 독서습관이 외국어 독서활동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영어독서 프로그램의 선행과정으로 모국어 독서역량을 강화해야 하는 것도 중요한 시사점이다.

북미 공공도서관계 정신건강 지원서비스의 경향과 특성 (A Study on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ies of North America)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1-7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의 정신건강 관련 지원서비스의 경향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밴쿠버 공공도서관을 사례로 하는 관찰과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그 결과, 지역주민의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도움요청과 이에 대한 공공도서관의 지원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공공도서관은 국가적 비극이나 자연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겪게 되는 주민들의 충격과 불안,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시적 서비스를 비롯하여 독자상담과 정보서비스의 일환으로 지역주민의 정신건강문제를 일상적으로 지원하고 있었다. 특히 어린이청소년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입양, 이혼, 재혼, 별거가족, 친구, 장애, 죽음, 자아존중, 정서, 왕따, 폭력, 학대, 자살, 질병, 중독, 성문제, 청소년임신 등)와 관련한 지원이 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에서 사서들의 핵심적 역할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적합한 책을 선정하여 추천하며, 관련 전문기관을 안내하고 연결해주는 데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