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ability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2초

폭우재난 대응 사례를 통한 대응체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sponse System through the Case of Heavy Rain Disaster Response)

  • 심우섭;김상범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97-607
    • /
    • 2023
  • 연구목적:고용노동부는 근로자의 산업재해 및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는 주무부처로서 그간 자연재난 중 폭우로 인한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노력을 해 왔으나, 폭우로 인한 사업장 재난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였다.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에서 폭우재난을 대응했던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대응체계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부·지방관서·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재난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로 구성된 내부 전문가집단과 교수, 컨설팅 대표, 타부처 재난담당자로 구성된 외부 전문가집단과 함께 폭우재난을 대응하기 위해 실시한 비상대응체계, 업종별 자율점검, 사업장 점검, 중대사이렌 활용, 안전관리 및 복구작업 지도 등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우선, 상시 연락체계는 수시로 점검이 필요하며, 세부적인 업종별 자율점검표 마련·배포도 필요하다. 또한, 사업장 점검 시 자율점검 이행여부 확인을 해야 하며, 중대재해 사이렌으로 통해 알리는 정보의 가독성을 높일 방안도 필요 해 보인다. 아울러, 안전작업은 도급형태로 이뤄지기 때문에 구체적인 안전지침 마련도 필요해 보인다. 결론:계절적 유해·위험요인으로 인한 근로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과거처럼 수동적인 대처방법과 달리 이상기후는 돌발상황으로 여겨서는 안되고, 관행적인 틀에서 벗어나 적극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 교사의 2015 개정 과학과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분석 (Experience Analysis on the Selec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Authorized Textbook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채희인;노석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194-209
    • /
    • 2023
  • 본 연구는 과학과 검정 교과서를 선정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선정 주체인 교사의 인식 분석을 통해 과학과 검정 교과서 체제가 바르게 정착되고 발전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과 검정 교과서 선정 과정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 5명과 내러티브 면담을 진행하고, 3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제기된 교과서의 저자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들은 '의견수렴' 단계가 가장 중요하다고 이야기하였으며, 경력과 전공을 고려하여 과학 교과서 선정협의회를 구성하였고, 학교의 상황에 맞게 평가기준표를 재구성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의견수렴 과정에서 교사별로 과학 교과서 전체를 검토하는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내적 요소로 탐구 활동과 교과서 구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외적 요소로는 동영상과 같은 교수·학습자료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었다고 이야기하였으며, 교과서의 신뢰성과 전문성의 지표인 저자와 관련된 부분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셋째,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및 학교장 보고의 경우 선정 이후 진행하는 행정적인 마무리 단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3~4학년군 교과서와 5~6학년군 교과서를 임의로 통일하는 것 보다 학년군별로 가장 적합한 교과서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온라인 리뷰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격의 조절 효과 (Factors Affecting the Usefulness of Online Reviews: The Moderating Role of Price)

  • 윤지윤;노유나;권보람;장정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3-173
    • /
    • 2022
  • 본 연구는 yelp.com에서 2019년 작성된 온라인 음식점 리뷰를 분석하고, 음식점 소비 의사결정 과정에서 온라인 리뷰의 유용성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한다. 구체적으로 리뷰 유용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을 정교화 가능성 모델에 따라 분류하고, 레스토랑의 가격대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2020년 2월 yelp.com에서 제공한 데이터 중, 미국 네바다주에 위치한 Food and Restaurant 카테고리에 속하는 업체들의 온라인 리뷰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음이항회귀분석 결과, 리뷰 깊이, 가독성을 포함한 중심단서 및 리뷰 일관성, 리뷰어 인기, 리뷰어 노출을 포함한 주변 단서가 리뷰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음식점의 가격대가 높아질수록 리뷰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의 영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레스토랑 가격이 리뷰의 유용성에 대한 중심 및 주변 단서의 영향을 조절한다는 것을 밝혔으며, 또한 리뷰 플랫폼과 외식업에 가격에 따라 차별화된 리뷰 관리 전략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린 소비자를 위한 웰빙 라이프 스타일 채널 브랜드 제안 (Branding for TV Channel Focusing on Well-being Lifestyle of Green Consumers)

  • 김예지;백진경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17-131
    • /
    • 2016
  • 종합편성채널의 도입으로 인해 시청자들의 욕구는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채널 경쟁이 날로 과열되고 있다. 지속적인 웰빙(Well-being)과 그린소비 열풍으로 인해 웰빙 채널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국내·외 채널 브랜드 전략 사례 및 국내 웰빙 라이프 프로그램에 관하여 현황조사 결과 현재 우리나라는 의, 식, 주 전반에 관한 웰빙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은 존재하지 않으며 교양, 오락 등의 프로그램에서 단편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임을 파악하고 웰빙 라이프 채널 브랜드 전략을 제안하고 채널 브랜드 마크와 스테이션 ID(station Identification) 제작하였다. 채널 브랜드 전략과 디자인의 객관적 검증을 위해 환경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인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대체로 해당 채널의 필요성과 연구자가 제안한 컨텐츠에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그러나 브랜드마크와 관련된 가독성과 같은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를 개선하였으며 비교 검증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선된 브랜드마크에 대해 이전과는 달리 긍정적인 결과가 타나났다. 본 연구가 향후 그린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웰빙 라이프 스타일 채널 제작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A Survey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Implications for Growth and Development

  • Duk-Soo Moon;Jae Hyun Yoo;Jung-Woo Son;Geon Ho Bahn;Min-Hyeon Park;Bung-Nyun Kim;Hee Jeong Yoo;Editorial Board of JKACAP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4호
    • /
    • pp.229-235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status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JKACAP) and propose measures for its growth and development.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members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The six key elements analyzed were Access to the journal, Convenience following conversion to English, Recognition as an international journal and institutional achievements, Author perspectives on manuscript submission, Transition to an online-only journal, and Content and identity of the journal. Results: The survey revealed that email notification was highly effective for Journal Accessibility, with the website and search engines also frequently being used by members. Conversion to English in 2018 initially impacted readability and submission rates, but these concerns have decreased over time. However, the Recognition of JKACAP as a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was still not on par with SCIE journal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efforts towards SCIE inclusion. Despite these challenges and limited research opportunities, there was an active intention among members to submit manuscripts. Respondents showed a notable preference for the Transition to an online-only journal. Regarding content and identity of the JKACAP, members predominantly favored review articles and perceived the journal as a research and communication platform for Kor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JKACAP to enhance its digital accessibility, provide more support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authors, and actively seek SCIE indexing. Addressing the varied content preferences of its members, improving the submission process, and transitioning to an online-only format could further its growth and solidify its position as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academic journal in the field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ll}$방약합편(方藥合編)${\gg}$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ang-Yak-Hap-Py$\breve{u}$n)

  • 김형태;윤창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5권
    • /
    • pp.151-199
    • /
    • 1992
  • A study on Bang-Yak-Hap-Py$\breve{u}$n, one of the most widely-known Korean medicine books, has been conducted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t the end of Yi-dynasty amidst the inflow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aggression of foreign forces can be seen as a historical period of trial, when civilization and independence had to be preserved at the same time, during the period, the social trend was to pursue a rapid practical solution rather than a profound theory. Responding to this trend, simple and easy medical science became to prevailand the representative medicine book of this kind was Bang-Yak-Hap-Py$\breve{u}$n. 1. Bang-Yak-Hap-Py$\breve{u}$n was written comprising the characteristics of simple and easy medical science with a view to popularizing-collection of logics, easy readability, medical science in time, etc. 2. Bang Yak-Hap-Py$\breve{u}$n, rich and grand in content, came out of Dong-$\breve{U}$i-Bo-Gam at the right moment as a pragmatic guide book of Korea medical practice symbolizing Korean spirit. 3. Do-yun Whang whose pen name was Hye-Am was born in Changwon, Kyungnam-do as the 18th descendant of Changwon Whang family. He engaged in medical practice in Seoul and wrote and edited Boo-Bang-Py$\breve{u}$n-Ram. $\breve{U}$i-Jong-Son-Ik, $\breve{U}$i-J$\breve{u}$ng-Son-Ik-Bu-Yeo, $\breve{U}$i-Bang-Whan-Tu, ect. and made his son, Pil-Su follow him and let him edit Bang-Yak-Hap-Py$\breve{u}$n, which put $\breve{U}$i-Bang-Whal-Tu and Son-Ik-Bon-Cho together. 4. The construct of Bang-Yak-Hap-Py$\breve{u}$n can be subdivied into three parts: herbs of 34 classes and 514 kinds were arranged on the upper part and $\breve{U}$i-Bang-Whal-Tu was arranged on the middle end lower part. Such arrangement can be very effective in clinics. 5. Bang-Yak-Hap-Py$\breve{u}$n as a curative book of Korean medical science has been a necessary another ego for many Korean medical practioners. It also played a great role of enhancing Korean oriental medical science to be widely used by Koreans. On the other hand, it produced a side effect of emergence of employed medical practioner who lacked in scholastic aptitude. 6. Tens or newly edited Bang-Yak-Hap-Py$\breve{u}$n have been issued. Among them, Jung-Jeong, Bang-Yak-Hap-py$\breve{u}$n, J$\breve{u}$ng-Mak-Bang-Yak-Hap-Py$\breve{u}$n. By$\breve{u}$n-J$\breve{u}$ng-Bang-Yak-Hap-Py$\breve{u}$n, and By$\breve{u}$n-J$\breve{u}$ng-Bang-Yak-Jung-Jeon have been widely known. Lately, Bang-Yak-Hap-Py$\breve{u}$n which includes more symptoms and remedies or is translated into Korean came out in several kinds. 7. The number of korea classical medicinal books quoted in Bang-Yak-Hap-Py$\breve{u}$n is 68, among which Dong-$\breve{U}$i-Bo-Gam Occupies the top in the list enlisting 69 medicinal treatment. This Shows that Dong-$\breve{U}$i-Bo-Gam gave birth to Bang-Yak-Hap-Py$\breve{u}$n.

  • PDF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정답률 예측 및 주요 요인 분석 (Prediction of Correct Answer Rate and Identification of Significant Factors for CSAT English Test Based on Data Mining Techniques)

  • 박희진;장경애;이윤호;김우제;강필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11호
    • /
    • pp.509-520
    • /
    • 2015
  •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고등학교 3년간의 학업 성취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평가 도구로서 대한민국 대학 입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험이다. 응시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능의 난이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하나 지금까지는 수능 난이도의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 매 입시연도마다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한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지금까지 시행된 모의고사 및 실제 시험을 통해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영어영역 문제의 난이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하고 난이도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판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문항의 특성을 판별할 수 있는 여러 지표와 함께 지문, 문제, 답안 등에 나타난 단어들의 특징을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량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형회귀분석 및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하여 각 문항의 난이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예측 모델을 실제 문제에 적용한 결과 난이도의 상/하 구분에 대한 예측 정확도는 90%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정답률 대비 오차 비율은 약 16%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점 및 문제 유형이 문제의 난이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지문이 특정 주제에 관련된 경우에도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을 이용하여 영어영역 각 문제들에 대한 기대 정답률의 범위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종합하여 영어영역 전체 문제에 대한 정답률 예측을 통해 적절한 난이도의 문제를 출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문화재 안내판의 배치와 디자인에 대한 고찰 - 종로구 소재 서울 유형문화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rangement and Design of Cultural Property Signs - Focused on the Seoul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Located in Jongno-gu Area -)

  • 소현수;김해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6-75
    • /
    • 2012
  • 서울시는 2008년 현상공모를 거쳐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문화재 안내판 디자인을 선정하고, 서울시 소재 국가 시지정 및 등록문화재에 도입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모니터링 성격으로 종로구 소재 서울 유형문화재 안내판 26개소의 설치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문화재 안내판은 문화재 주변 경관까지 고려하여 설치 위치와 디자인을 선정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써 첫 번째, 안내판 배치에 있어서 관람자 동선뿐만 아니라 관람자 시선의 방향 고려, 타 시설물과 가설물 등으로 방해받지 않는 위치, 유사한 문화재 안내판의 통합이 요구되었다. 두 번째, 강화유리 마감의 서울 유형문화재 안내판은 내구성과 가독성이 떨어지고, 해당 문화재보다 안내판이 눈에 띄는 단점이 확인되었다. 세 번째, 한 가지 디자인의 안내판을 일괄 설치함으로써 안내판의 배경이 되는 녹지 바위와 같은 자연물 또는 인공적 담장 건물 벽체 등 다양한 양상이 고려되지 못한 결과, 안내판의 규모 형태 재질이 주변과 조화롭지 못한 사례가 많았다. 종로구 소재 서울 유형문화재와 같이 도심에 산발적으로 분포된 '나홀로문화재' 유형은 안내판을 하나로 통일시키는 것보다 배경이 되는 자연경관 또는 인공경관, 그리고 문화재의 형상을 고려한 복수의 안내판 유형이 디자인된 후, 그 중에서 개별 문화재에 어울리는 안내판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는 모범적 사례를 토대로 하여 안내판의 대안 모델을 선정하고 부정적으로 평가된 대상지별로 적절한 안내판을 제안하였다.

검사 안내문의 시각적 디자인화가 환자의 검사 이해도 및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a visual design of an examination guide on patient comprehension and testing accuracy)

  • 강영은;정우영;홍보름
    • 핵의학기술
    • /
    • 제23권1호
    • /
    • pp.29-34
    • /
    • 2019
  • 본 연구는 기존 안내문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어체의 글자와 배열, 형태 등을 시각적으로 디자인 및 재배치 함으로써 환자의 이해도 및 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 하였다.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영상검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Bone Scan과 $^{201}Thallium$ Myocardium Perfusion SPECT의 Rest Scan 안내문을 개선 대상으로 선정하고, 원내 이노베이션센터와 협의하여 새롭게 디자인 하였다. 2016년 11월부터 2017년 2월은 기존의 안내문을, 2017년 3월부터 5월은 개선된 안내문을 사용하였으며, 개선 전후의 비교를 위해 해당 시기에 Bone Scan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안내문에 제시된 전처치 준수 및 그에 따른 영상의 질, 검사 소요시간을 측정하였고, $^{201}Thallium$ Myocardium Perfusion SPECT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안내문의 내용 이해에 대한 설문조사와 안내 후 재질문 하는 환자 및 질문유형, 안내문의 내용을 이행하지 않은 환자수를 분석하였다. 개선 후에는 Bone Scan은 전 처치가 미흡한 환자와 그로 인해 추가 영상이 필요한 환자가 감소하였고 평균 검사 소요시간은 안내문 개선 후 추가 영상 획득 시간의 감소로 약 2분 감소하였다. $^{201}Thallium$ Myocardium Perfusion SPECT의 경우 안내문의 내용 이해에 대한 5가지 문항에서 모두 이해도가 증가한 결과를 얻었으며, 검사 관련 재질문 하는 환자와 안내문의 내용을 이행하지 않은 환자 모두 감소하였다. 검사 안내문은 일방적이고 단순한 정보 제공이 아니라 환자 및 보호자와의 원활한 소통으로 이어지며, 영상품질과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검사 소요시간의 관리로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궁중 악인(樂人)의 음악 연습과 『악장요람(樂章要覽)』 (Music practice by court musicians and Akjang yoram 『樂章要覽』)

  • 이정희
    • 공연문화연구
    • /
    • 제43호
    • /
    • pp.357-380
    • /
    • 2021
  • 『악장요람(樂章要覽)』은 악장의 요람, 즉 악장 중에서 중요한 내용만 뽑아 간추려 놓은 책이라는 의미이다. 전반부에는 악장(樂章)이, 후반부에는 악보(樂譜)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렇게 이원화된 체재는 정조대에 구축된 것이다. 필체와 수록된 가사의 작성된 시기를 통해 『악장요람』은 1809년 즈음에 작성된 후에도 세 차례에 걸쳐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 즉, 총 네 단계를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전해지게 된 것이라 하겠다. 다양한 필체와 수정한 흔적이 남아있다는 사실은 곧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쳤음을 의미하니, 『악장요람』의 표지 뒷면에 여러 자취가 남은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전반부의 악장은 제례 절차를 기준으로 그에 수반되는 악곡명과 가사를 제시하는 방식이며, 특히 노랫말을 한문과 한글음으로 병기함으로써 가독성을 높였다. 후반부의 악보는 제례 절차를 준수하되 중복되는 선율을 과감하게 생략하여 음악을 기준으로 구성하였고, 율명·한문가사·가야금과 거문고의 격도지법·점('∙', '·')과 같은 기호를 사용하여 궁중음악을 담아냈다. 이러한 구도는 제례의 구조 이해와 제례의 의미를 글로 담아 놓은 악장을 숙지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삼고, 한문과 병기된 한글음을 보면서 정확하게 노랫말을 익히게 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형태라고 하겠다. 의식 절차와 딕션을 선행한 후 전체적으로 음악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연습했던 방향성이 악장과 악보를 수록하는 방식에 투영된 셈이다. 이러한 수록 방식은 악인의 음악교육과 음악연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장치였다. 수록곡들의 특징은 우방(右坊)의 향악기 전공자로써 익혀야 할 필수악곡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아울러 『악장요람』의 표지 뒷면에서 김형식(金亨植)이라는 이름이 주목되니, 순조대에 효명세자가 기획한 궁중연향에서 무동(舞童)과 대금차비(大笒差備)로 활약했던 그의 이력을 통해 우방의 향악기 전공자였음을 알 수 있다. 즉 『악장요람』의 수록곡은 김형식과 같은 우방의 향악기 전공자들이 평소에 연습하고 현장에서 연주하던 핵심 레퍼토리로 이루어진 것이다. 『악장요람』은 궁중악인의 일상이 담긴 '음악 연습 책자'였던 셈이다. 요컨대 『악장요람』은 주요 의례에서 노랫말을 정확하게 발음하면서 가창할 수 있게 악인을 교습시키려는 목적으로 고안된 책자로, 정조의 아이디어로 '악장+가보(歌譜)'의 체계를 갖출 수 있었으며, 순조대에 효명세자가 창작한 정재를 공연했던 무동으로 맹활약한 김형식이 소장자였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우방의 향악기 전공자이기도 했던 악공 김형식의 이름이 남아있는 데에다 이후 여러 악인들이 시대의 변화를 투영하여 수정하면서 활용했다는 실용성에서, 궁중음악을 전승하기 위해 지난한 과정과 시간을 보냈던 궁중 악인의 노정이 담겨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