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employment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5초

중·노년층의 재취업 의지 및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re-employment will and re-employment of the elderly workers)

  • 박강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845-3857
    • /
    • 2015
  •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 패널조사(KLoSA)자료를 활용하여 중 노년층의 근로자의 재취업 의지와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은 독립변수를 개인적, 경제적 요인, 일자리의 세부분으로 나누어 로지스틱회귀분석에 의하였다. 분석결과 재취업의지는 대졸자보다는 고졸자가 더 높은데 비해 재취업 가능성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는 다른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인데 고학력의 베이비부머가 대거 은퇴한 영향으로 보인다. 연령에서도 50대가 60대보다 재취업의지가 낮았다. 배우자 취업, 주택보유는 취업의지를 약화시키고, 일자리의 경우 근무기간과 사업장의 규모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산업의 종류나, 근로유형, 직종 등은 별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 노년층의 재취업 유도를 위해서는 자영업진출 억제, 변화된 고령자 노동시장에 적합한 일자리 창출, 비정규직 제도 개선, 최저임금제 현실화, 맞춤형 고용서비스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장애인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n the Re-Employment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 김용탁;구인순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151-17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재취업 지원 정책에 대해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4차 장애인 고용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1차~4차 패널 중에서 재취업자와 미취업자이다. 분석은 인적 요인, 장애요인, 편의요인, 사회적 요인 그리고 이전 직장 요인을 변수로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전체 장애인과 남성 및 여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취업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학력, 만성 질병 여부, 일상생활에서의 타인의 도움 유무, 일자리 차별 경험 그리고 고용 형태 등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을 구분할 경우 남성은 정신적 일자리에서 재취업에 유리하지만, 여성은 배우자가 없는 경우(미혼이 아닌), 고용서비스를 받은 경우 재취업에 유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여성에 대한 취업 지원 정책의 구체화, 장애인의 취업과 의료 및 보건분야와의 연계, 일자리 차별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 그리고 괜찮은 일자리로의 진입을 도모할 수 있는 정책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준고령자의 재취업결정요인 분석-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Facters Influencing Re-employment of the Semi-Aged workers in Daegu Metropolitan Area)

  • 양혜진;김한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42-261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준고령자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고 이들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50~64세 준고령자 가운데, 현재 구직활동을 하고 있거나 재취업 상태에 있는 준고령자 375명을 대상으로 2016년 3월 18일부터 4월 10일까지 직접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한 분석결과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 근무연수, 정보제공 및 영향력 제공 등은 준고령자의 재취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단순노무직 및 구직기간은 준고령자의 재취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준고령자의 재취업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창업 및 재취업 교육이 재취업불안, 재취업스트레스,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Middle-Age' Entrepreneurship & Re-Employment Education Influences Re-Employment Anxiety, Re-Employment Stress, Entrepreneurial Intention)

  • 김서호;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6호
    • /
    • pp.71-81
    • /
    • 2016
  • 2000년에 접어들어 고령화 사회로 진임하게 된 대한민국은 2017년 고령사회로의 진입하게 됨에 따라 장기적으로 청년 노동력의 감소와 그로인한 숙련된 중장년 및 고령인구의 감소가 국가경제의 중요이수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은퇴 및 실직자들의 창업 및 재취업이 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년기를 위한 창업 및 재취업교육이 재취업불안, 재취업스트레스 그리고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K에 소재한 G교회에 출석중인 은퇴자 67명을 선정한 후 각각 실험집단 32명과 통제집단 35명으로 구분하였다. 매주 1회 총 13회기의 창업 및 재취업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 및 재취업 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재취업불안이 감소되었다. 둘째, 창업 및 재취업 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재취업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셋째, 창업 및 재취업 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창업의도가 향상되었다.

  • PDF

은퇴자를 위한 재취업교육의 효과분석 (Analysis of the Re-Employment Education For Retirees')

  • 김서호;변상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48-2555
    • /
    • 2015
  • 본 연구는 은퇴자를 위한 재취업교육이 취업불안, 취업스트레스 그리고 진로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K에 소재한 G교회에 출석중인 은퇴자 67명을 선정한 후 각각 실험집단 32명과 통제집단 35명으로 구분하였다. 매주 1회 총 14회기의 재취업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취업 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취업불안이 감소되었다. 둘째, 재취업 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취업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셋째, 재취업 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신념이 향상되었다.

중고령 실직자 재취업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for re-employment process for middle or old-age people the Unemployed)

  • 나혜숙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3-21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concrete and practical experience on a series of debates to reveal factors that could be exposed when middle or old-aged people are in the process of re-employment process when they were unemployed by exploring the phenomenon of experience on the courses for the unemployed focusing on middle or old-aged people for employment support program. Depth consulta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structure of this phenomenon was revealed and described by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y technical as a procedure for analyzing participants' statements by concentrating on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unemployed re-employment process structure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nature of re-employment experience on the basis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information stated through this study showed respectively such as , , , , , and "Reemployment Success Factors>. It is a significant meaning that middle and old-aged peopl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y experienced Dynamic pursuit of hopes and dreams and got the chance to participate in society Toward a new life By strengthening employ ability skills by undertaking vocational training, obtaining licenses, and regaining confidence and employment determination, and a lot of desire using the card for learning tomorrow, government support system.

공무원연금의 지급정지제도가 가입자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및 지급정지제도의 발전방향 모색 (Effect of the Civil Servant's Suspension of Pension Payments on the Labor Supply and Suggestions on Developmental Alternatives of Suspension of Pension Payments)

  • 지은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2호
    • /
    • pp.375-403
    • /
    • 2005
  • 본 연구는 퇴직소득심사제도가 고령자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분석결과를 미국중심으로 고찰하고, 2005년 1월 기준 퇴직연금 혹은 장해연금을 수급하고 있는 178,363명의 공무원에 대한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의 원자료를 통해 공무원연금의 지급정지제도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취업한 공무원은 총 8,086명으로 전체 분석대상의 4.5%였으며, 지급정지된 공무원의 중위생존기간은 3.3년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액정지자의 중위재취업기간은 반액 정지자에 비해 20개월 가량 짧고, 실제 회귀분석에서도 100% 지급정지자는 50% 지급정지자에 비해 재퇴직발생확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행 제도는 유급소득활동만으로도 지급정지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재취업노력조차 하지 않거나, 일시금수급을 선택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이를 분석에 포함한다면 그 영향은 더 클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연금 지급정지제도의 발전적 방향으로서, 지급정지제도를 연령과 소득에 따라 차등적용하되, 지연연금제도와 병행하거나 부분연금제도의 도입을 제안한다. 또한 효과적인 정책마련을 위해서는 심도 있는 실증분석이 뒷받침되어야 하므로 소득, 고용형태 등을 포함한 재취업특성에 대한 자료구축이 시급하며,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의 관리체계 또한 강화해야 한다.

  • PDF

경력단절여성의 개인특성에 따른 재취업욕구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Re-employment Ne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Career Interrupted Woman)

  • 신연하;이동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10-323
    • /
    • 2017
  •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개인특성에 따른 구직의사와 구직활동의 재취업욕구 차이를 분석하여 이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여성과 직업교육, 개인특성과 재취업욕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실증분석 하였다. 경력단절여성 중 직업교육경험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150부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여, 일원변량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SPSS 12.0v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특성에 따라 재취업욕구에 차이가 있으며, 구직의사와 구직활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의 개인특성에 따라 재취업 방안을 제시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의 개인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과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신중년 구직자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재취업욕구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the New-middle Aged Job Seekers on Life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 of Re-employment Desire)

  • 황주경;강순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45-154
    • /
    • 2021
  • 본 연구는 신중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재취업욕구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관계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신중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둘째, 재취업욕구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위 욕구, 자기실현 욕구, 여가선용 욕구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일을 통해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실현 욕구가 충족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자기실현, 사회적 지위, 여가선용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신중년의 삶의 만족도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취업을 위한 경력설계 외에 지속적으로 정서적 지지를 위한 사회적 관계망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연령 및 학력별 취업률이 높은 교육직종 빅 데이터 시각화 분석 (Big Data Visualization Analysis of Education Occupations with High Employment Rates by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for Career-Interrupted Women)

  • 이정원;이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019-1025
    • /
    • 2021
  •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을 위한 교육 훈련 등의 지원정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효과적으로 취업과 연계되지 않고 있다. 또한,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경우에는 재취업을 위하여 이전 경력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경력을 계획해야 하는 등 재진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기존 선행연구들에서는 취업기회가 높은 유망 직종 등 재취업을 위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경력단절여성들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시 교육 대상자의 연령 및 학력별로 취업에 도움이 되는 교육직종을 선별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들의 직업훈련 교육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령 및 학력별로 취업률이 높은 교육직종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