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b3

검색결과 933건 처리시간 0.033초

친환경 무기 형광 안료 A3V5O14 (A = K and Rb) and Cs2V4O11 개발: 결정구조, 광학적 특성 및 착색 특성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inorganic fluorescent pigments, A3V5O14 (A = K and Rb) and Cs2V4O11: Crystal structure, optical and color properties)

  • 정규진;김진호;이윤기;황종희;;배병서;김선욱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7-5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밝고 화사한 적색 및 황색의 착색 특성을 가지며, 우수한 발광특을 가진 새로운 무기 형광 안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A3V5O14 (A = K and Rb) 및 Cs2V4O11를 water assisted solid state reaction(WASSR) 방법과 고상법을 혼합하여 합성을 하였다. 합성한 A3V5O14 (A = K and Rb ) 및 Cs2V4O11 샘플은 AVO3 및 AV3O8 (A = K, Rb and Cs)가 불순물로 다소 확인되었으나, trigonal 구조의 A3V5O14 (A = K and Rb)와 orthorhombic 구조의 Cs2V4O11가 주상으로 확인되었다. A3V5O14 (A = K and Rb)와 Cs2V4O11는 자외선 영역에서 강한 광흡수를 나타내었으며, 각각 적색광 및 녹색광 발광을 나타내었다. 또한, 합성된 A3V5O14 (A = K and Rb)는 a* 값 (+ : 적색도, -: 녹색도)은 각각 + 35.5와 + 45.9를, Cs2V4O11는 b* 값(+: 황색도, -: 청색도)는 + 50.3을 나타내었으며, 45 이상의 L* 값(명도)을 가지고 있어, 밝고 화사한 느낌을 구현하기위한 황색안료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려인삼의 마이크로파 처리 효과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Korean Ginseng)

  • 이재학;금준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05-410
    • /
    • 2010
  • 인삼의 저장 가공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단독처리로 수삼을 처리한 후 일반 성분, 색도, 밀도, 사포닌의 조성 및 미세구조 등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출력을 100 Watt와 200 Watt에서 각각 1시간과 3시간 동안 수삼을 처리하고 $60^{\circ}C$ 열풍건조기에서 96시간 건조한 후 성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수삼의 초기 수분 함량인 76.26%에서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 조건에 따라 13.12~10.77%까지 건조되었다. 마이크로파로 처리한 수삼의 회분 함량은 처리 과정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지방의 경우 마이크로파 출력과는 상관없이 처리 시간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마이크로파 가열 후 건조하기 전 수삼의 단백질 함량과 비교하여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마이크로파로 처리한 수삼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대조군보다 증가함을 보이고 있으나, 처리 시간이나 출력과의 유의성은 보이지 않는다. 처리군의 색도는 대조군에 비해 더 어두운 색을 나타내었다.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 후 인삼의 색도의 변화는 출력보다 가열 처리 시간에 따라 변하는 양상을 보였다.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 후 수삼의 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가열 시간이나 출력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찾을 수 없었다. 사포닌 ginsenoside-$Rb_1$$Rb_2+Rb_3$, Rc, Rd, Re, Rf, $Rg_1$, $Rg_2+Rh_1$, $Rg_3$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100 Watt에서 가열한 처리구들보다 200 Watt에서 가열한 처리구들의 함량이 높은 값을 나타냈다. 예외적으로 200 Watt에서 가열했을 때, ginsenoside-$Rb_2+Rb_3$와 ginsenoside-Rc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미세구조는 마이크로파 건조 후 더 치밀한 조직이 관찰되었다.

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Rb2 from Korean red ginseng on the lethal infection of haemagglutinating virus of Japan in mice

  • Yoo, Yung Choon;Lee, Junglim;Park, Seok Rae;Nam, Ki Yeul;Cho, Young Ho;Choi, Jae Eu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1호
    • /
    • pp.80-86
    • /
    • 2013
  • Korean red ginseng has been shown to possess a variety of biological activiti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antiviral activity of ginsenosides of Korean red ginseng. Here,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by oral administration of various ginsenosides on the lethal infection of haemagglutinating virus of Japan (HVJ) in mice. In a lethal infection model in which almost all mice infected with HVJ died within 15 days, the mice were administered orally (per os) with 1 mg/mouse of dammarane-type (ginsenoside-Rb1, -Rb2, -Rd, -Re, and -Rg2) or oleanolic acid-type (ginsenoside-Ro) ginsenosides 3, 2, and 1 d before virus infection. Ginsenoside-Rb2 showed the highest protective activity, although other dammarane-type and oleanolic acid-type ginsenosides also induced a significant protection against HVJ. However, neither the consecutive administration with a lower dosage (300 ${\mu}g$/mouse) nor the single administration of ginsenoside-Rb2 (1 mg/mouse) was active. In comparison of the protective activity between ginsenoside-Rb2 and its two hydrolytic products [20(S)- and 20(R)-ginsenoside-Rg3], 20(S)-ginsenoside-Rg3, but not 20(R)-ginsenoside-Rg3, elicited a partial protection against HVJ. The 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Rb2 and 20(S)-ginsenoside-Rg3 on HVJ infection was confirmed by the reduction of virus titers in the lungs of HVJ-infected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oside-Rb2 is the most effective among ginsenosides from red ginseng to prevent the lethal infection of HVJ, so that this ginsenoside is a promising candidate as a mucosal immunoadjuvant to enhance antiviral activity.

Busulfan Inhibits PCNA Expression but Induces The Expression of pRB

  • 천영신;주학진;권득남;김진희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1-21
    • /
    • 2001
  • 일반적으로 세포는 방사능이나 항암제 등의 자극에 의해 DNA가 손상받았을 때 DNA를 합성하기 전, DNA변이를 복구하기 위해 cell cycle을 정지시키게 된다. pRB(retinoblatoma protein)는 이러한 cell cycle의 조절기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1기에서 S기로 진행하는 것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pRB 은 E2F(cell cycle transcription factor)와 상호작용하여 cell cycle 진행에 필요한 전사활성을 억제, PCNA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의 합성을 저해한다. 또한, E2F와 결합된 pRB는 apoptosis를 제어하는 유전자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ell cycle에 영향을 미치는 항암제의 일종인 busulfan을 처리하면, 정소 내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생식세포들은 사멸되고 spermatogonia만 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기작에 대해서는 자세히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busulfan처리시 spermatogonial stem cell이 어떤 기작에 의해 손상받지 않고 유지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Busulfan을 처리한 마우스 (항암제 투여 후 5주)와 정상적인 13주령의 마우스의 정소로부터 각각 세포를 분리하였다. LSC (laser scanning cytometry)를 이용하여 처리군(busulfan treated mice)과 대조군(normal mature mice)에 대해 각각 DNA함량을 비교ㆍ분석한 결과 G0/G1(2N)에 머물러 있는 세포비율이 처리군에서 현저하게 증가했다 (79.3$\pm$5.5%:8.1$\pm$1.3%). Cell cycle의 G1/S check point인 pRB와 PCNA 발현을 Western blot과 면역조직학적인 방법(immunohisto-chemistry)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PCNA는 대조군과 비교해, 처리군에서 매우 낮은 수준으로 발현되었다. 면역염색된 정소단면을 살펴보면, 대조군에서는 모든 세정관에서 PCNA를 발현하는 세포가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고, 처리군에서는 소수의 세정관에서 세포들이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반면에, pRB의 경우 PCNA와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어, 대조군에서는 거의 발현이 되지 않는 반면, 처리군에서는 대부분의 세정관내, 기저막을 따라 위치한 세포들에서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busulfan에 의해 pRB의 인산화가 억제, pRB 와 결합된 E2F는 전사 활성이 억제되어, PCNA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설명되어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인산화가 억제된 pRB (underphosphorylated RB protein)이 quiescent spermatogonial stem cell에서만 특이하게 발현하는 단백질이며, 이러한 pRB의 발현은 apoptosis를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해 busulfan처리에 의해 손상받지 않고 남아있는 것으로 시사된다.

  • PDF

평해지역 온정화강암 중 미량원소와 광화작용의 관계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A Geochemical Study on Trace Elements of the Onjong Granite in Relation to Mineralization, Pyeonghae Area)

  • 이재영;이진국
    • 자원환경지질
    • /
    • 제25권3호
    • /
    • pp.245-258
    • /
    • 1992
  • The variations of certain major and trace elements of the Onjong granite mass was studied on the basis of petro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Eonyang-Yucheon granite mass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ochemical differences of the granitic rocks in relation to mineralization between Pb-Zn ore district and Pb-Zn-Mo-W ore district in Kyeongsang basin. The Onjong granite mass is classified into granodiorite and monzo-granite, and the Eonyang-Yucheon granite masses into monzo-granite by the Streckeisen's diagram. Between both granite masses there are clear differences in contents of certain major elements and lithophile trace elements. The former have high contents of Ca (2.94%), Mg (1.66%) and Sr (365 ppm), and low contents of K (3.52%), Na (3.51%), Rb (116 ppm), Ba (640 ppm) and Li (18.9 ppm), whereas the latter have high contents of K (4.02%), Na (4.28%), Rb (145 ppm), Ba (695 ppm) and Li (19.3 ppm), and low contents of Ca (1.42%), Mg (0.43%) and Sr (161 ppm). Except for Mo, there are not clear differences in chalcophile trace elements between two granite masses: the Onjong granite mass has higher Mo content (7.1 ppm) lnan that (1.7 ppm) of the Eonyang-Yucheon granite masses, but Pb and Zn contents are similar between the Onjong granite mass (Pb=8.7 ppm, Zn=37.1 ppm) and the Eonyang-Yucheon granite masses (Pb=7.8 ppm, Zn=39.8 ppm). Ca and Sr contents of the Onjong granite mass (Ca> 1.5%, Sr> 270 ppm)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Eonyang- Yucheon granite masses (Ca<1.5%, Sr<270ppm), and Rb/Sr, Rb-Rb/Sr and K-Rb/Sr ratios are clearly distinguishable between the Onjong granite mass(Rb/Sr<0.51, Rb-Rb/Sr>250 and K-Rb/Sr>5.2) and the Eonyang- Yucheon granite masses (Rb/Sr>0.51, Rb-Rb/Sr<250 and K-Rb/Sr<5.0). Thus, variations of certain major and trace elements and ratios are applicable as geochemical index to distinguish the types of mineralization of the ore districts related to the Cretaceous granitic rocks in the Kyeongsang basin.

  • PDF

가토 기흉에서 본 $^{86}Rb$의 분포 ($^{86}Rb$ Distribution in the Lung of the Rabbit with Pneumothorax)

  • 허갑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1-59
    • /
    • 1972
  • $^{86}Rb$ uptake of some organs and tissues, ego both lungs, both renal cortices. small intestine, liver and skeletal muscle were studied in the control and the rabbit subjected to pneumothorax. $^{86}Rb$ in the form of chloride mixed with physiological saline was intravenously. injected. The doses were $100{\mu}c$ for a rabbit. The rabbits were sacrificed at intervals of 10, 20, 40, and 60 seconds after the injection of $^{86}Rb$, by the injection of saturated KCI solution. After sacrification, the organ and tissue sample were quickly removed. $^{86}Rb$ uptake in gm of the organs and tissues were measured. On the basis of uptake value, administered doses and body weight, % dose/gm tissues per 200 gm body weight was calculated. Followings were the results; 1. Pneumothorax resulted in a marked elevation in $^{86}Rb$ uptake value of collapsed lung and returned to normal level lately. 2. Contralateral lung of pnemothorax also showed marked elevation in $^{86}Rb$ uptake value and recovered to normal level. 3. Initial $^{86}Rb$ uptake value of liver, small intestine of the rabbit with pneumothorax showed some elevation as compared to control, but that of late stage were similar with control. 4. Local blood flow determination by means of $^{86}Rb$ uptake were inadequate in the collapsed lung of pneumothorax. 5. It was suggested that the mechanism for the initial elevation of $^{86}Rb$ uptake value in each organs and tissue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PDF

LED 광원과 광도에 따른 참외의 묘소질 및 정식 후 생육 변화 (Effect of Seedling Quality and Growth after Transplanting of Korean Melon Nursed under LED light Sources and Intensity)

  • 이지은;신용습;도한우;정종도;강영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4-301
    • /
    • 2016
  • 참외 육묘 시설 내에서 우수한 품질의 모종을 생산하기 위한 LED 광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접목 활착 후 20일 동안 광원과 광도를 달리하여 묘소질과 정식 후 생육을 비교하였다. 광원은 청색광(B), 적청색 혼합광원(RB3, RB7)을 이용하였고, 광도(PPFD)는 50, 100, $200{\mu}mol{\cdot}m^{-2}{\cdot}s^{-1}$로 처리하였다. 조명시간은 일출(7:30) 전 2시간과 일몰(17:30) 후 2시간씩 하루에 총 4시간을 처리하는 일장연장법을 이용하였다. 참외 지상부의 생장지표인 접수 길이와 줄기직경은 청색광의 비율이 높을수록 길어지고 굵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적청색혼합광원(RB3)이 다른 광원들에 비해 건물률과 조직의 충실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광합성률은 적색광의 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RB7 $200{\mu}mol{\cdot}m^{-2}{\cdot}s^{-1}$ 처리구에서 $5.44{\mu}molCO_2{\cdot}m^{-2}{\cdot}s^{-1}$로 가장 높았다. 정식 후 RB3 $200{\mu}mol{\cdot}m^{-2}{\cdot}s^{-1}$ 처리구의 초장이 132.3cm로 가장 길었고, 마디수가 22.7개로 가장 많았으며 개화율도 75%로 가장높았다. 청색광(B) 단독으로 처리한 것보다는 적청색 혼합광원(RB3)으로 처리한 것이 묘소질을 양호하게 하였고, 광도를 $200{\mu}mol{\cdot}m^{-2}{\cdot}s^{-1}$로 높이는 것이 우량묘 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Pharmacokinetics of ginsenoside Rb1 and its metabolite compound K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 Kim, Hyung-K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4호
    • /
    • pp.451-456
    • /
    • 2013
  • Compound K is a major metabolite of ginsenoside Rb1, which has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 vivo and in vitro.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harmacokinetics of a single metabolite or the parent compound and have not described the pharmacokinetics of both compounds in humans. To investigate the pharmacokinetics of ginsenoside Rb1 and compound K, we performed an open-label, single-oral dose pharmacokinetic study using Korean Red Ginseng extract. We enrolled 10 healthy Korean male volunteers in this study. Seri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36 h after Korean Red Ginseng extract administration to determine plasma concentrations of ginsenoside Rb1 and compound K. The mean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of compound K was $8.35{\pm}3.19$ ng/mL,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insenoside Rb1 ($3.94{\pm}1.97$ ng/mL). The half-life of compound K was 7 times shorter than that of ginsenoside Rb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harmacokinetics, especially absorption, of compound K are not influenced by the pharmacokinetics of its parent compound, except the time to reach th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The delayed absorption of compound K support the evidence that the intestinal microflora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b1 to compound K.

Ginsenoside Rb2 suppresses the glutamate-mediated oxidative stress and neuronal cell death in HT22 cells

  • Kim, Dong Hoi;Kim, Dae Won;Jung, Bo Hyun;Lee, Jong Hun;Lee, Heesu;Hwang, Gwi Seo;Kang, Ki Sung;Lee, Jae Woo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326-334
    • /
    • 2019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analyze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ginsenoside derivatives Rb1, Rb2, Rc, Rd, Rg1, and Rg3 against glutamate-mediated neurotoxicity in HT22 hippocampal mouse neuron cells. Methods: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cell viability. Protein expression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Bcl2, Bax, and apoptosis-inducing factor (AIF)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occurrence of apoptotic and death cells was determined by flow cytometry. Cellular level of $Ca^{2+}$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were evaluated by image analysis using the fluorescent probes Fluor-3 and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respectively. In vivo efficacy of neuroprotection was evaluated using the Mongolian gerbil of ischemic brain injury model. Result: Reduction of cell viability by glutamate (5 mM)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treatment with ginsenoside Rb2. Phosphorylation of MAPKs, Bax, and nuclear AIF was gradually increased by treatment with 5 mM of glutamate and decreased by co-treatment with Rb2. The occurrence of apoptotic cells was decreased by treatment with Rb2 ($25.7{\mu}M$). Cellular $Ca^{2+}$ and ROS levels were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Rb2, and in vivo data indicated that Rb2 treatment (10 mg/kg) significantly diminished the number of degenerated neuron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Rb2 possesses neuroprotective properties that suppress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The molecular mechanism of Rb2 is by suppressing the MAPKs activity and AIF translocation.

피부각질세포 HaCaT에서 진세노사이드 Rb1에 의한 유전자 발현 양상 (Gene Expression Profiling by Ginsenoside Rb1 in Keratinocyte HaCaT Cells)

  • 이동우;김정민;방인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14-523
    • /
    • 2019
  •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사포닌 진세노사이드 Rb1이 처리된 인간 피부각질세포 HaCaT에서 microarray 분석 및 발현이 증가된 세포사멸 반응에 대한 작용기전을 연구하였다. HaCaT 세포에 진세노사이드 Rb1의 처리로 세포사멸, 유사분열 세포주기의 G2/M 전이, 세포분열, 핵분열, 그리고 단백질 수송 등의 작용기전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2 배 이상 발현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DNA 수선, 감수 핵분열, 그리고 세포외기질 체계 등의 작용기전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은 2 배 이상 발현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포사멸 신호전달은 FAS와 PLA2G4A를 경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유전자의 상위 조절자로 STAT3가 예측되었다. 세포사멸 반응 경유 유전자 FAS와 PLA2G4A의 활성을 qPCR로 확인한 결과, FAS 유전자는 $10{\mu}g/ml$의 진세노사이드 Rb1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경우 약 2 배의 발현 증가와, PLA2G4A 유전자는 6시간 처리부터 약 2 배로 증가되어 24시간 동안 처리시 2 배 이상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다. 한편 STAT3-siRNA를 이용한 knock-down 실험에서 FAS의 발현 감소와 PLA2G4A의 발현 증가로 상위 조절자 STAT3로부터 FAS 만을 경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진세노사이드 Rb1의 처리에 의해 상위 조절자인 STAT3는 FAS를 경유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