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tus rattu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4초

제주도에서 채집된 Rattus norvegicus와 R. tanezumi의 서식지 유형과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abitat Types of Rattus norvegicus and R. tanezumi Collected in Jeju Island)

  • 김태욱;주상민;오아름;박소진;한상현;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50-560
    • /
    • 2013
  • 한국산 집쥐속(Rattus)에 속하는 동물들을 2005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제주도의 각처에서 채집하여 형태학적, 유전학적 종 동정과 형태적 특성, 2차 성적이형, 서식지 유형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제주도에서 포획된 Rattus 속 야생쥐들은 Rattus norvegicus와 R. tanezumi로 확인되었고, R. rattus는 확인되지 않았다. R. norvegicus는 제주도 내 각처에서 특히, 주택 밀집지역의 인가 내-외부에서 채집되었고, 일부는 자연환경인 해안이나 경작지, 산림에서 관찰되기도 하였다. R. tanezumi는 동물 사육 농장의 내외부에서만 확인되었다. 형태적 특성으로 R. norvegicus는 꼬리길이(TL)와 귀의 길이(EL)가 R. tanezumi에 비해 짧고, 이들 형질의 머리-몸통 길이의 비율인 T_HR, E_HR 등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인구밀집 지역인 도심과 농촌 지역의 R. norvegicus와 개체군 사이에서는 도심지역 개체군의 체중이 더 무거운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R. norvegicus에서는 2차 성적이형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R. tanezumi는 암컷이 수컷에 비해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결과와는 다소 다른 종의 분포와 서식환경을 보여주고 있는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추가연구를 통해 제주도와 한반도 포유류상의 재검토와 함께 서식지 분포 양상과 생태적 특성 등을 명확하게 구명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국내 야생 집쥐(Rattus norvigicus)의 유행성 출혈열바이러스 감염증의 역학조사 (Epidemiological survey on Hantaan-related virus infection of wild rats(Rattus norvigicus) in Korea)

  • 김희선;;이준학;강문일;고홍범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21-326
    • /
    • 1993
  • Sixty eight wild rats were caught from Seoul, Kyonggi, Kangwon, Cholla, and Kyongsang provinces in Korea. All of them were confirmed in the same species, Rattus norvigicus. All of sera from wild rats were examined by indirect immunofluorescent test against Hantaan-related virus. Detection of anti-body to Hantaan-related virus were 4 out of 68 rats(5.9%), including 2 of 8(25.0%) rats in Kangwon and 2 of 20 rats(10.0%) in Kyongsang province. No difference of the sero-positive rates between sex of rats tested to Hantaan-related virus was recognized. According to age, four rats with antibodies(1:320~640) to Hantaan-related virus belonged one subadult, one young adult, one middle aged adult, and one old adult, respectively.

  • PDF

한국산 야생집쥐(Rattus nowegicus) 집단의 단백질 다형과 유전적 변이 (Protein Polvmorphisms and llariations of Wild House Rat (Rattus norueRicus) Population in Korea)

  • 김남근;이하규이정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3-199
    • /
    • 1993
  • The protein po;vmorphisms and allele frequencies of wild house rat (Rattus norvegicus) population in Korea were studied. The studied proteins and enzymes were transferrin (Tf), albumin (Alb), fumarate hvdratase (FH), phospho!loucomutase (PGM), lactate dehvdrogenase A (LDHA) and lactate dehvdrogenase B (LDHB). There were two transferrin alleles, TP and Tf in Korean wild house rat popu1ation. The Tf2 allele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by a starch gel, and confirmed by a polvacrvlamide gel isoelectric focusing and immunoblotting. The allele frequencies of TP and TF were 0.985 and 0.015, respectively. Two common alleles fumarate hydratase, FHa and FHb were found, and frequencies of FHa and FPP were calculated to be 0.714 and 0.286, respectively. The kequenw of FH in Korean wild house rat was higher than that of Finnish and Czechoslovakian population. Alb, PGM, LDHA and LDHB are only one phenotype each and all. Therefore, these proteins seem to be monomorphic in Korean wild house rat population.

  • PDF

G-and C-Banding Pattern Analyses of Korean Rodents: I. Chromosome Banding Patterns of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oreae) and Black Rats (R. rattus rufescens)

  • Koh, Hung-Su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1-92
    • /
    • 1982
  • 한국내 4개 지역에서 채집된 17마리의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e)의 G-와 C-banding patter을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염색체쌍의 다형현상 (차단부 및 단부)은 동원체 주위의 이질염색질이 어떤 때는 short arm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한국내 2개 지역에서 채집된 곰쥐 (R. rattus rufescens)의 G-와 C-banding pattern을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염색체쌍의 다형현상 (차단부 및 단부)은 pericentric inversion에 기인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 PDF

전라북도 지역 집쥐의 체내 기생충 감염 조사 (Endoparasites of Rats Caught at Jeollabuk-do in Korea)

  • 박현;김석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2호
    • /
    • pp.67-73
    • /
    • 2002
  • 집쥐가 인체 기생충 전파에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하는지 그 양상을 밝히고자 전라북도 남원, 익산지역에서 포획한 집쥐의 체내 기생충 감염상을 조사하였다. 섬진강 상류 남원지역에서 32마리, 만경강 중류 익산지역에서 53마리를 채집하여 총 85마리였고, 종별로는 곰쥐(Rattus rattus) 28마리, 시궁쥐(Rattus norvegicus) 57마리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원, 익산지역의 집쥐 85마리 중 71마리(83.5%)에서 체내 기생충이 검출되었다. 2. 폐장이 회수되었던 집쥐 74마리 중 35마리(47.3%)에서 폐장에 기생하는 조직 기생충인 폐포자충(Pneumocystis carinii)이 검출되었다. 3. 전체 85마리의 가로막에서 선모충(Trichinella spiralis)을 조사하였고, 폐심장 혈관계에서 광동주혈선충(Angiostrongylus cantonensis)을 조사하였으나 한 예도 검출하지 못하였다. 4. 간을 조사한 바 85마리 중 간모세선충(Capillaria hepatica) 22례(25.9%), Taenia taeniaeformis의 유충(Cysticercus fasciolaris) 9례(10.6%),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1례(1.2%)가 검출되었다. 5. 장내용물을 조사 한 바 85 마리 중 50례(58.9%)에서 윤충 및 원충이 검출되었다. 윤충은 쥐조충(Hymenolepis diminuta), 극구흡충류(Echinostoma sp.), 쥐요충류(Syphacia sp.), 분신충류(Strongyloides sp.) 등이었고 원충은 대장아메바(Entamoeba coli) 등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수공통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폐포자충, 쥐조충, 간흡충 등이 집쥐에 감염되어 있어 철저한 집쥐 관리가 요망된다.

  • PDF

청주에 서식하는집쥐[Rattus norvegicus caraco Pallas(설치목, 포유강)]의 미토콘드리아 DNA 절단단편의 변이 (Variation of Mitochondrial DNA Restriction Fragments of Common Rats, Rattus norvegicus caraco Pallas (Mammalia , Redentia) , from Cheongju , Korea)

  • Hung Sun Koh;Yong Seok Roh;Sang Bok Kim;Byung Sun Y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4호
    • /
    • pp.409-416
    • /
    • 1995
  • 한국의 청주에서 채집한 집쥐(Rattus norvegicus caraco) 40마리를 사용하여, 8개 제한효소로 절단한 미토콘드리아 DNA(mtDNA)의 단편들을 분석하였다 총 36개의 절단단편들이 나타났고, 6개 mtDNA의 clone이 밝혀졌다. 여섯 mtDNA clone간의 nucleotide-sequence divergence(p)는 0.35-2.73%였으며 , 이들 6개 clone은 3개 소군으로 나뒤어졌다. 한 소군은 3개 clone의 29마리였고, 다른 한 소 군은 2개 clone의 열마리였으며, 나머지 소군은 한 clone의 한마리였다. 둘째와 셋 째 소군은 첫째 소군과 Pvu II의 genotype이 달랐으며, 셋째 소군은 나머지 두 소 군과 Dra I에 있어서 뚜렸한 차이를 보였다. 뿐만아니라, 한국산 집쥐를 사용한 본 연구의 결과로 밝혀진 최대 divergence는 Brown과 Simpson(1981)의 미국과 일 본의 집쥐를 사용해서 연구한 최대값보다 컸다 이들 뚜렷한 mtDNA 소군의 분류 학적 위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내 다른 지역의 더 많은 표본들을 사용한 계속적 인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 PDF

무인도에서 집쥐 개체군의 포획과 제어 - 제주 사수도의 사례 - (Control of Rattus norvegicus on Uninhabitable Islands - Case of Sasudo Island -)

  • 이준원;김가람;박선미;최성환;정영훈;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75-581
    • /
    • 2022
  • 본 집쥐 퇴치 계획은 대한민국 최대 슴새 번식지 및 흑비둘기 서식처로 천연기념물 제333호로 지정되어있는 제주특별자치도 소재(33°55'13.04"N, 126°38'19.98"E) 무인도서인 사수도 내 집쥐 퇴치를 위해 이루어졌다. 구제 연구는 2015년 11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총 12차례 진행되었고, 조사는 섬 전역을 천천히 배회하며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을 동일하게 하여 조사하는 선조사법을 이용하였다. 이 때 확인된 배설물, 터널 등 Rattus norvegicus 흔적 주변에 포획트랩을 설치하였다. 그 결과 매 차시 최소 2개체 ~ 최대 6개체가 포획되던 개체가 마지막에는 포획되지 않았다. 집쥐가 사수도에 유입된 경로는 과거 레저 및 어업을 위해 출입하는 배를 통하여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06년 집쥐로 인한 슴새의 피해가 확인된 후 철저한 경비를 통하여 사수도 출입을 엄격히 금하고 2013년 해양정화 사업과 2015년부터 지속된 포획을 통하여 구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상태 유지 및 관리를 위해서 앞으로 새로운 집쥐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하여 지속적이고 철저한 출입관리를 이어가 출입자를 엄격히 통제하는 등의 보존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한국 야생 랫드의 Capillaria hepatica 자연 감염 (Spontaneous infection of Capillaria hepatica in wild rats(Rattus norvegicus) of Korea)

  • 성제경;윤영민;한정희;이준섭;오양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600-605
    • /
    • 1998
  • 춘천지역에서 포획한 한국 야생랫드(시궁쥐)에서 Capillaria hepatica에 자연감염된 예를 보고한다. Capillaria hepatica의 충란이 포획된 68마리의 랫드중 17마리에서 발견되었다. Capillaria에 감염된 랫드의 간장은 충란과 함께 림프구, 단핵구, 호산구의 침윤이 관찰되었고 심한 괴사소견을 보였다. 또한 섬유화, 출혈 hemosiderin의 침착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최근 국내에서 자연에서 채집된 랫드의 Capillaria hepatica의 감염을 보고한 자료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Capillaria hepatica의 숙주감염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