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e of referral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9초

Sevoflurane with opioid or dexmedetomidine infusions in dogs undergoing intracranial surgery: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Marquez-Grados, Felipe;Vettorato, Enzo;Corletto, Federico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8.1-8.11
    • /
    • 2020
  • This study reports the clinical use of two sevoflurane-based anesthetic techniques in dogs undergoing craniectomy. Twenty-one animals undergoing elective rostrotentorial or transfrontal craniectomy for brain tumor excision, anesthetized with sevoflurane,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nesthetic records were allocated to two groups: Sevo-Op (sevoflurane and short acting opioid infusion): 8 dogs and Sevo-Dex (sevoflurane and dexmedetomidine infusion): 13 dogs. Average mean arterial pressure (MAP), heart rate, end-tidal carbon dioxide, end-tidal sevoflurane and intraoperative infusion rates during surgery were calculated. Presence of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bradycardia, tachycardia, hypotension, hypertension, hypothermia, hyperthermia was recorded. Time to endotracheal extubation, intraoperative occurrence of atrioventricular block, postoperative presence of agitation, seizures, use of labetalol and dexmedetomidine infusion were also recorded. Data from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with Fisher's exact test and unpaired t tests with Welch's correction.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for categorical variables. Intra-operatively, MAP was lower in Sevo-Op [85 (± 6.54) vs. 97.69 (± 7.8) mmHg, p = 0.0009]. Time to extubation was longer in Sevo-Dex [37.69 (10-70) vs. 19.63 (10-25), p = 0.0033]. No differences were found for the other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variables investigated. Post-operative hypertension and agitation were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11 and 12 out of 21 animal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fusion of dexmedetomidine provides similar intra-operative conditions and post-operative course to a short acting opioid infusion during sevoflurane anesthesia in dogs undergoing elective rostrotentorial or transfrontal intracranial surgery.

내원경로 분석을 통한 전문과목으로서의 구강내과의 역할 (The Analysis of Patients in Oral Medicine and the Evaluation of Oral Medicine as a Special Field)

  • 정태용;유지원;강진규;안형준;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4호
    • /
    • pp.391-400
    • /
    • 2005
  • 전문의는 일반의(General Practitioner)와는 차별된 전문성을 가지고 증상의 난이도가 높은 환자를 처리하는 능력이 요구되는 진료과목의 필요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문의제도는 국민의료적인 측면에서 임상 각 분야에 있어 단일과목을 전공하는 의사를 양성하여 그들로 하여금 의료 전 과목에 관한 기본적 이론과 실기를 교육받은 일반의사의 능력에서 벗어나는 진료기능을 의료전달체계에서 담당하도록 하여 국민의료의 향상을 기하는 데 있다. 한편, 구강내과는 악안면 통증, 연조직 질환, 법의치과분야, 구강진단분야를 다루는 전문과목으로서 그 전문성이 매우 중요한데, 구강내과학적 측면에서 비추어 볼 때, 현대화 사회로 갈수록 현대인들은 대도시 중심의 생활환경의 변화와 함께 일상적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측두하악장애, 구강내 연조직 질환, 삼차신경통과 같은 신경병변 등의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환자들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4년 8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 외래에 내원한 초진환자 3,707명을 대상으로 하여, 의뢰율 및 내원경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내과에 의뢰된 전문 진료분야로는 구강안면통증, 구강 연조직 질환, 법의치과분야, 구강진단분야로 나타났다. 2. 구강내과에 의뢰된 환자의 비율은 58.51%로 과반수를 넘는 환자들이 의뢰되었다. 3. 의뢰환자 중 의뢰기관의 영역분석을 시행한 결과, 치과에서 의뢰된 경우가 83.23%로 가장 많았고 의과 및 한의과 영역에서 의뢰된 경우는 16.78%를 보였다. 4. 자의내원한 환자 중 인터넷 및 매스미디어에서 구강내과 전문분야에 대한 사전 검색 및 주변의 권유에 의해 내원한 환자들이 응답자의 30.52%를 차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구강내과는 대부분 의뢰된 환자를 진료하고 있으며, 치과영역 뿐 아니라 의과영역에서의 의뢰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치과영역에서는 일반의들이 치료할 수 없는 수준의 진료영역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의과학 분야에서는 구강내과학적 전문성을 요하는 질환을 구강내과와 협진하에 해결하려는 것으로 사료되어 전문과목으로서 구강내과학의 역할과 비중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향후 전문치의제도 인력수급 및 이의 기반이 되는 전공의의 정원책정에서 시장적 접근 및 규범적 접근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3년간 전북대학교 치과병원의 소아청소년환자 의뢰경향 (Referral Trends of Children i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or Last 3 years)

  • 배철현;이대우;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62-368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외부 의료기관에서 전북대학교 치과병원으로 의뢰된 환자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근 3년간 전북대학교 치과병원에 의뢰되어 내원한 16세 미만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조사하였고, 환자의 분포 및 진료 내용을 분석하였다. 평균나이 7.4세의 환자가 의뢰되었으며, 남아가 여아보다 1.5배 더 많았다. 장애비율은 3.2%로, 지적장애의 비율이 가장 많았다. 의뢰기관은 주로 개인치과의원이었고, 의뢰이유로는 치료의 어려움이 가장 많았다. 의뢰환자는 주로 치료 전 단계에서 의뢰되었으며, 장애를 가지거나 의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 치료 전 의뢰되는 비율이 더 높았다. 의뢰환자의 주소별 비율은 소수술, 수복치료, 교정치료, 치수치료 순이었다. 소아치과에서 이루어지는 2차 의뢰는, 1차 의뢰에 비하여 소수술과 치수치료로 의뢰되는 비율이 높았으며, 치료 전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비율은 더 낮고, 치료 도중에 의뢰되는 비율은 더 높았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소아치과의사가 의뢰된 환자를 진단 및 치료하는데 있어, 합리적인 기준에 근거한 증례선택 및 재의뢰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응급실 내원 뇌 손상 환자의 진료과정과 결과 (Treatment Process and Outcomes of Brain Injuried ER Patients)

  • 홍혜련;진기남;이동우;김재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3호
    • /
    • pp.481-489
    • /
    • 1998
  • Injuries and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the most important public health problems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life. Injuries result in death of about 30,000 people each year in South Korea. In terms of years of life lost, injuries are considerably more costly than either heart disease or cancer. In terms of cost - both the direct costs of care and the indirect costs to individuals, families, and societies of a diminished life-injuries are among the most expensive of all social problems.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describe the outcomes as well as treatment process of brain injured patients and (2) to identify the factors impacting on length of stay during hospitalization and hospital fee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medical records of five hundreds brain injured cases using systemic random sampling.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administered to identify the factors impacting on the outcomes. The results are as follow : (1) the consultation .ate was found to be 72.9% while referral rate was 11.2%; (2) nearly 30% of the respondents were hospitalized over 30 days; (3)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LOS were number of consultations, number of lab tests, and surgery; (4) the determinants of hospital fee were severity of brain injury, gender of patients, number of consultations, number of lab tests, and surgery.

  • PDF

노인대상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의 운영실태 (An Analysis of the Elderly Care and Management in Hospital-Based Home Care Agencies)

  • 송종례;강임옥;김윤옥;조혜숙;황문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60-672
    • /
    • 2008
  • Purpose: To analyze the home care services provided to the elderly aged 65 and older by a hospital-based home care agenci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Method: The subjects were the home care service recipients aged 65 and older in 172 hospital-based, home care agencies registered i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in January, 2007.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March 16 to April 15, 2007. The questionnaire return rate was 43.8%. Result: The hospital-based home care agencies were able to visit 66.5% of the national administrative districts. Of the home care service recipients, over 50% were 65 years old and older. About 43% of the agencies reported that over 50% of their patients would be subject to the long-term care insurance. They expressed concern that home care services would be withdrawn once the insurance system is initiated.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hospital-based home care agencies need to manage home care services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It also recommends developing guidelines for the use of services and referrals.

  • PDF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에 대한 의사, 간호사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n Home Health Care Program between Physicians and Nurses in a Hospital, Pusan)

  • 김정순;고영희;김대숙;김정화;신재신;이길자;정인숙;황선경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8-158
    • /
    • 2001
  •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n the Home Health Care among the physicians and nurses in P University. Method: Data were gathered from 71 physicians and 264 nurses. working at P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1 to May 15, 2001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Fisher exact test. Results: 1) As to the previous information about home health care program, those who have been familiar to it were 100% of physicians, and 99.6% of nurses, and 39% of the physicians and 66.1% of the nurses. were found to have responded with right answers, 2) As to the acceptance of the home health care program, 87% of physicians and 98.5% of nurses were found to be positive and the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 .019), 3) The main reasons for accepting the system were: the alleviation of the family burden of time, the maintenance of continuity of care, and the reasons for opposing the system were incomplete legal assurance.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illegal medical services. 4) The physician's intention rate of patient referrals to home care program reveled 49.2%. 5) According to the services related to Home Health Care. the orders of acceptance rates were medical tests related services (77.8%, 92%); therapeutic nursing interventions(69.0%, 88.2%): and services for medication(68.3%, 82.5%) among physicians and nurses. respectively. Conclusion: For the stabilization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home health care system. it should be accompanied with education for physicians about home care. setting specific laws and regulations for home care. legal assurance of home care business. outcome research for home care recipients. and support systems of hospital administration.

  • PDF

일 종합병원에서의 자문 현황과 5년 추이에 대한 고찰 (The Current Status and Changing Pattern for 5 Years of Psychiatric Consultation in a General Hospital)

  • 설장우;이상철;김현철;홍상의;이태병;이상규;김도훈;손봉기
    • 정신신체의학
    • /
    • 제13권2호
    • /
    • pp.75-84
    • /
    • 2005
  • 연구목적 : 종합병원 정신과 자문 실태와 변화양상(1997년과 2002년)을 조사하여 정신과 자문의 추이와 문제점에 대해 파악하고 대책과 발전 방향을 수립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1997년과 2002년에 입원하여 정신과로 자문 의뢰된 환자 347명, 317명에 대해서 자문결과지와 병록기록지를 참고하여 정신과 자문 현황을 조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 자문 환자의 평균 연령이 45.9세(1997)에서 53.2세(2002)로 증가하였다. 40세 이하 집단이 감소한 반면 60세 이상의 환자군이 증가하였고, 특히 60세 이상 여성이 전체 여성환자 중 22.6%에서 48.5%로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2) 전체 자문 의뢰율은 1997년 2.2%, 2002년 2.29%였다. 자문의뢰 건수는 내과가 각각 57.1%, 44.2%로 가장 많았고, 각 과별 자문율은 재활의학과가 두 해 모두 가장 높았다. 3) 정신과적 진단은 1997년에는 물질관련 장애가 17.3%로 가장 많았으나, 2002년에는 기분장애가 21.1%로 가장 많았다. 4) 자문의의 권고 사항은 약물사용 및 용량 조정에 관한 권유가 1997년 및 2002년 각 59.7%와 68.0%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자문의가 제안한 약물의 종류는 1997년과 2002년 모두 항불안제가 가장 많았다. 2002년에는 Serotonin-specific reuptake inhibitors와 비전형적 항정신병 약물의 처방은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전형적 항정신병 약물의 사용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1997년에 비해 2002년도의 자문현황은 자문환자의 연령이 증가하였고, 진단별로는 기분장애와 인지장애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약물권유는 잘 받아들여졌으나, 진단적 검사에 대한 관심은 떨어지는 편이었다.

  • PDF

영양집중지원팀 자문 의뢰 및 순응 여부에 따른 중환자실 환자의 영양상태 비교 (Nutritional Statu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ccording to the Referral to the Nutrition Support Team and Compliance with the Recommendations)

  • 손윤진;현태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1-13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충북대학교병원 NST의 중재활동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환자실에 7일 이상 입원하여 EN/PN을 공급 받은 성인 환자 176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NST 자문 의뢰 여부에 따라 NST 의뢰군과 미의뢰군으로 분류하였고, NST 의뢰군은 자문순응 여부에 따라 자문순응군과 비순응군으로 분류하였다. NST 의뢰율은 56.8%, NST 자문 회신에 대한 순응율은 47.0%이었으며, 신경과의 NST 의뢰율이 93.8%로 가장 높았고, 자문순응 비율도 60%로 높았다. 진료과 및 주진단명에 따라 NST 의뢰율과 자문순응 비율에 큰 차이를 나타냈다. NST 의뢰군은 미의뢰군에 비해, 자문순응군은 비순응군에 비해 열량 및 단백질 공급률이 높았으며, 목표열량 도달 비율이 높았다. 또한 자문순응군은 비순응군에 비해 목표열량에 도달하는 기간도 유의적으로 짧았다. 중환자실 입실 시 보다 퇴실 시 영양상태가 전반적으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집단에서 혈청 알부민과 헤모글로 빈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나, 자문순응군의 감소폭은 자문비순응군의 감소폭보다 적었다. 또한 퇴실 시 NST 의뢰군, 비의뢰군, 자문비순응군의 심한 영양불량은 입실 시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자문순응군은 입실 시와 퇴실 시에 차이가 없었다. 중환자실 재원기간은 NST 의뢰군이 미의뢰군보다 더 길었으나 자문순응군은 비순응군보다 유의적으로 짧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NST 자문에 순응하여 제공된 영양지원은 중환자의 생화학적 지표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재원기간 중 발생할 수 있는 영양불량을 지연시키고, 중환자실 재원 기간 또한 유의하게 단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NST 자문에 대한 순응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환자실 의료진과 NST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중환자실 입실 초기부터 NST에 의한 중재활동이 진행될 수 있도록 자문 의뢰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적절한 영양공급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의료진 대상의 교육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영양공급 및 지원절차에 대한 프로토콜이 정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불면증으로 의뢰된 입원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협진 유형 분석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sychiatric Consultation for Insomnia Symptom in Hospitalized Patients)

  • 전한솔;유승호;하지현;전홍준;박두흠
    • 수면정신생리
    • /
    • 제25권2호
    • /
    • pp.68-73
    • /
    • 2018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 환자들 중 불면증으로 정신건강의학과로 자문을 요청하게 되는 환자들의 인구학적 특성과 협진을 의뢰하는 형태를 알아보고, 또한 비 재협진군과 재협진군의 인구학적 특성과 협진 유형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불면증의 특징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 법 : 2005년 8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약 6년 6개월 간 입원한 환자들 중 정신건강의학과로 자문 의뢰된 4,96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중 불면증으로 의뢰된 236명의 환자들의 협진 결과를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인구학적 특성 및 협진 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전체 대상자를 재협진군과 비 재협진군으로 구분하여 두 군의 인구학적 특성과 협진 유형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 과 : 6년 6개월 간, 병원에 입원한 전체 환자 중 정신건강의학과에 불면증으로 의뢰된 환자는 총 236명으로 전체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중 4.8%에 해당하였다. 불면증으로 의뢰된 환자의 평균 연령은 $62.0{\pm}14.3$세로 전체 정신건강의학과에 협진 의뢰된 환자 군의 평균 $56.7{\pm}18.7$세 보다 높았다. 이중 재협진 의뢰 되었던 환자는 65명으로 전체의 27.5%를 차지 하였고 이는 전체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의뢰 환자 중 평균 재협진 환자 비율(41.5%)에 비해 낮았다. 불면증으로 의뢰된 환자 군의 협진 의뢰 형태는 3형 의뢰 형태가(입원 후 생긴 정신건강의학과적 합병증 치료를 위한 협진 의뢰) 가장 많았고(51.3%) 2형 의뢰(입원 상의 문제와 정신건강의학과적 증상과의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경우)가 2번째로 많았다(36.0%). 결 론 : 대학 병원에서 불면증으로 의뢰된 환자 군은 전체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의뢰 환자 군에 비해 고령, 남성의 비율이 높았고, 재협진률이 낮으며 2차적으로 발생한 경우가 많았다. 각 과 주치의들은 입원 환자들의 불면증에 발생 가능성에 유의하고, 필요시 적극적인 평가와 자문 의뢰를 시행하여야 하며, 자문 의뢰를 받은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은 초진 시 진단과 치료와 함께 재협진 시기 권고와 같은 적극적인 개입을 할 필요가 있다.

응급실을 내원한 약물중독 환자에 대한 다학제 응급협진체계의 효과 검증 (Effect of Multidisciplinary Emergency Consultation System for Drug Intoxicated Patients)

  • 강진오;김혜리;민경준;김나령;허윤경;김선미
    • 정신신체의학
    • /
    • 제27권2호
    • /
    • pp.130-137
    • /
    • 2019
  • 연구목적 자살시도로 음독을 시도한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했을 때, 응급의학과, 내과, 정신건강의학과가 서로 의사소통을 하고 우선순위에 따른 처치를 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약물중독 환자에 대한 다학제 응급협진체계(이하 약물중독 응급협진체계)의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약물중독 응급협진체계 구축을 위해 정신건강의학과, 응급의학과, 내과의 전문의가 협의체를 구성하여, 응급실 내원 당시 복용 약물의 종류와 의식 수준에 따른 담당 진료과 및 협진의뢰과 배정, 각 과별 약물중독 환자 전담 교수 배정, 정기회의, 협진 응답 소요시간 제한, 원내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 및 지역사회 자원 연계 등을 모두 프로토콜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약물중독 응급협진체계가 시행되기 전인 2017년 7월부터 2018년 5월까지의 기간과, 시행 이후인 2018년 7월부터 2019년 5월까지의 의무기록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통계분석하여, 약물 중독 응급협진체계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 과 약물중독 응급협진체계 시행 후, 시행 전에 비해 중환자실보다 개방병동으로의 입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χ2=8.567, p=0.014). 또한 타과로 입원한 환자 중 정신건강의학과로의 협진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χ2=4.202, p=0.053), 협진 응답 소요시간은 감소하였다(Z=-2.031, p=0.042). 한편, 협진 결과 전과된 환자의 비율이 증가였하고(χ2=4.692, p=0.043), 전과까지 소요된 시간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Z=-1.941, p=0.052). 결 론 약물중독 응급협진체계 시행 후 불필요한 중환자실 입원, 협진 응답 소요시간, 전과 소요시간이 감소하였으며, 협진 의뢰 비율 및 전과 비율은 증가하였다. 이는 다학제 협진체계가 환자에게 필수적인 의료서비스를 보다 적은 의료비용으로 신속하게 제공하였음을 의미한다. 향후 약물중독 이외의 자살시도에 대해서도 응급협진체계를 구축하여, 각 과 간 명확하고 책임있는 의학적 권고를 신속하게 공유한다면, 환자의 치료 및 의료비용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