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 pituitary cell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8초

Signal Transduction of Eel Luteinizing Hormone Receptor (eelLHR)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eelFSHR) by Recombinant Equine Chorionic Gonadotropin (rec-eCG) and Native eCG

  • Byambaragchaa, Munkhzaya;Lee, So-Yun;Kim, Dae-Jung;Kang, Myung-Hwa;Min, Kwan-Si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1호
    • /
    • pp.55-64
    • /
    • 2018
  •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recombinant equine chorionic gonadotropin ($rec-eCG{\beta}/{\alpha}$) exhibits both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and luteinizing hormone (LH)-like activities in rat LHR- and FSHR-expressing cells. In this study, we analyzed signal transduction by eelFSHR and eelLHR upon stimulation with $rec-eCG{\beta}/{\alpha}$ and native eCG. The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 stimulation in CHO-K1 cells expressing eelLHR was determined upon exposure to different doses (0-1,450 ng/mL) of $rec-eCG{\beta}/{\alpha}$ and native eCG. The $EC_{50$ values of $rec-eCG{\beta}/{\alpha}$ and native eCG were 172.4 and 786.6 ng/mL, respectively. The activity of $rec-eCG{\beta}/{\alpha}$ was higher than that of native eCG. However, signal transduction in the CHO PathHunter Parental cells expressing eelFSHR was not enhanced by stimulation with both agonist $rec-eCG{\beta}/{\alpha}$ and native eCG. We concluded that $rec-eCG{\beta}/{\alpha}$ and native eCG were completely active in cells expressing eelLHR, similar to the activity in the mammalian cells expressing LHRs. However, $rec-eCG{\beta}/{\alpha}$ and native eCG did not invoke any signaling response in the cells expressing eelFSHR. These results suggest that eCG has a potent activity in cells expressing eelLHR. Thus, we also suggest that $rec-eCG{\beta}/{\alpha}$ can induce eel maturation by administering gonadotropic reagents (LH), such as salmon pituitary extract.

흰쥐 난소내 Leptin 및 Leptin 수용체의 발현 (Expression of Leptin and Its Receptor in Rat Ovary)

  • 김명신;양현원;권혁찬;황경주;윤현숙;박금자;김세광;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2호
    • /
    • pp.173-178
    • /
    • 1998
  • 비만유전자 산물인 leptin은 지방 조직에서 생성되어 혈액으로 분비되며, 신진대사, 식욕, 체열 등을 조절하여 비만의 억제 조절 물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leptin은 비만 뿐만 아니라 생식 생리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leptin의 작용이 난소에 직접적인지 혹은 시상하부나 뇌하수체를 매개로 하는지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난소에서의 leptin 및 leptin 수용체의 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 또한 미진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후 3주령과 8주령의 흰쥐 난소에서 leptin과 leptin 수용체의 발현 양상을 면역조직화학방법과 RT-PCR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면역조직화학방법 결과 3주령과 8주령 흰쥐 모두에서 leptin은 협막세포와 폐쇄 난포의 일부 과립세포에 염색되었고, leptin수용체는 협막세포, 간질세포와 난포강이 형성되지 않은 난포의 난자에 염색되었다 RT-PCR 결과 3주 및 8주 흰쥐 난소에서 leptin mRNA는 모두 발현되지 않은 반면, leptin 수용체 mRNA는 모두 발현되었다. 결론적으로 leptin mRNA가 난소에서 발현되지는 않지만,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leptin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leptin 수용체는 난소에서 RT-PCR 방법과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혈액에서 난소 내로 유입된 leptin이 협막세포, 간질세포와 난자의 leptin 수용체에 결합하여 난소의 생리적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