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id disappearanc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4초

실외조건(室外條件)의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fenitrothion, IBP, butachlor의 소실(消失) (Dissipation of Fenitrothion, IBP, and Butachlor in Flooded Soil Under Outdoor Conditions)

  • 문영희;양환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13
    • /
    • 1990
  • 수도(水稻)를 재배(栽培)한 실외(室外) 풋트조건(條件)의 담수토양(湛水土壤)에 살충제(殺蟲劑) fenitrothion, 살균제(殺菌劑) IBP, 제초제(除草劑) butachlor 유제(乳劑)를 각각(各各) 100g, 98g, 352.8g ai/10a수준(水準)으로 수면처리(水面處理)하고 답면수(畓面水)(담수액(湛水液)) 및 토양중(土壤中) 3농약(農藥)의 잔류성(殘留性)을 조사하였다. 답면수(畓面水) 중 fenitrothion, IBP, butachlor의 농도(濃度)는 처리(處理) 1시간후에 각각(各各) 3.7, 3.2, 9.1ppm이었다. 그러나 fenitrothion의 농도(濃度)는 처리(處理) 5일(日)후에 0.01ppm이하(以下)였고 IBP와 butachlor의 농도(濃度)는 처리(處理) 20일(日)후에 각각(各各) 0.025와 0.004ppm이었다. Fenitrothion, butachlor, IBP의 답면수(畓面水)중 반감기(半減期)는 각각(各各) 1일(日)이내, 1.7일(日), 3.6일(日)이었다. 답면수(畓面水)로부터 흡착(吸着)된 토양중(土壤中) fenitrothion, IBP, butachlor 농도(濃度)는 토양(土壤) 0-3cm 층위(層位)에서 처리(處理) 후 3일(日)에 각각(各各) 0.05ppm이하(以下), 0.18ppm, 0.39ppm이었다. 그러나 처리(處理) 27일(日)후에 IBP와 butachlor의 검출(檢出) 농도(濃度)가 0-5cm 층위(層位)에서 각각(各各) 0.04, 0.05ppm으로 동일토양(同一土壤)의 실내조건(室內條件)에서보다 월등히 빨리 분해(分解)되었다. 답면수(畓面水) 및 토양중(土壤中) 소실속도(消失速度)는fenitrothion>butachlor>IBP순이었다. 토양층위별(土壤層位別) butachlor의 잔존량(殘存量)은 2cm 이하(以下)에서보다 0-2cm 층위(層位)에서가 현저(顯著)히 많았는데 비(比)하여, IBP의 토양층위별(土壤層位別) 농도(濃度)는 큰 차이(差異)가 없이 5㎝이하(以下)까지 이동(移動)되었다.

  • PDF

The importance of NIR spectroscopy in the estimation of nutritional quality of grains for ruminants

  • Flinn, Peter C.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612-1612
    • /
    • 2001
  • The production of grain for export and domestic use is one of Australia's most important agricultural industries, and the NIR technique has been used extensively over many years for the routine monitoring of grain quality, particularly moisture and protein content. Because most Australian grain is intended for human food production, the determinants of grain quality for livestock feed, apart from protein, have been largely ignored. However the increasing use of grain for feeding to pigs, poultry, beef cattle and dairy cows has led to an important national research project entitled “Premium Grains for Livestock”. Two of the objectives of this project are to determine the composit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grains which influence their nutritional quality for the various classes of livestock, and to adopt rapid and objective analytical tests for these quality criteria. NIR has been used in this project firstly to identify a set of grain samples from a large population of breeders' lines which showed a wide spectral variation, and hence a potentially wide variation in nutritional value. The selected samples were not only subjected to an extensive array of chemical, physical and in vitro analyses, but also were grown out to produce sufficient quantities of grain to feed to animals in vivo studies. Additional grains were also strategically selected from farms in order to include the effect of weather damage, such as rain, drought and frost. In this study to date, NIR calibrations have been derived or attempted, on both ground and whole grains, for in vivo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pepsin-cellulase dry matter disappearance, protein, fat, acid detergent fibre, neutral detergent fibre, starch, in sacco DMD and in vitro assays to simulate starch digestion in the lumen and small intestine. Results so far indicate high calibration accuracy for chemical components (SECV 0.3 to 2.6%) and very promising statistics for in vivo DMD (SECV 1.8, $R^2$ 0.93, SD 7.0, range 61.9 to 92.3, n=60). There appears to be some potential for NIR to estimate some in vitro properties, depending upon the accuracy of reference methods and appropriate sample populations. Current work is in progress to extend the range of grains with in vivo DMD values (a very laborious and expensive process) and to increase the robustness of the various NIR calibrations, with the aim of implementing uniform testing procedures for nutritional value of grains throughout Australia.

  • PDF

Matter dynamics with respect to influences of C3 and C4 plants in four subtropical grasslands of Nilgiri Biosphere Reserve, the Western Ghats, India

  • Paulsamy, Subramanium;Kil, Bong-Soup;Sivashanmugam, Munusamy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4호
    • /
    • pp.259-267
    • /
    • 2012
  • Biomass changes, net primary production and transfer dynamics of dry matter in four subtropical humid montane grasslands at Ebbenadu, Korakundah, Thiashola and Wenlockdown in Nilgiri Biosphere Reserve (NBR), the Western Ghats, India, were investigated. Despite the early report of a higher density and dominance of $C_4$ species over $C_3$ species in these grasslands, no functional study of matter production had previously been carried out. 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the roles played by these two groups of species,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he study revealed that the dry matter and net primary production contributed by $C_4$ species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of its $C_3$ counterpart in all the grasslands. The turnover rate of aboveground dry matter for both $C_3$ and $C_4$ species was generally rapid, whereas it was slow for belowground parts, and litter components of $C_3$ and $C_4$ species together. In all grasslands, generally about 60% and 10% of the input were channeled to aboveground and belowground parts, respectively, by the $C_4$ species, whereas the $C_3$ species transferred only about 22% and 8% of dry matter to aboveground and belowground parts, respectively. The total disappearance of dry matter was 2.73, 2.10, 3.19, and $1.96\;g\;m^{-2}\;day^{-1}$ in Ebbenadu, Korakundah, Thiashola and Wenlockdown grasslands, which was 48.83%, 44.30%, 54.81%, and 41.09% of the total input, respectively, in these grasslands. This resulted in a considerable surplus dry matter production in all the grasslands studied. This balance sheet of dry matter in community function indicates that all the four studied grasslands were supporting the existing wild animals adequately in terms of pasture supply. The study further revealed that the stronger establishment of $C_4$ species rather than their $C_3$ counterparts, in terms of higher density and dominance, has driven them to play major roles in matter dynamics and system transfer functions in all the four grasslands studied. This fact evidenced that pasture from $C_4$ species for wild animals was determined to be higher in comparison to that of $C_3$ species.

열내성이 유도된 세포에서 HSP70 단백질 증가에 의한 단백질 변성 감소 (Reduced Protein Denaturation in Thermotolerant Cells by Elevated Levels of HSP70)

  • 한미영;박영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33-444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열충격에 의한 세포내 단백질 변성을 정량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Thiol compound인 diamide [azodicarboxylic acid bis (dimethylamide)]는 단백질변성시 노출된 sulfyhydryl기를 cross-link 시킨다. 정상 상태에서는 노출되지 않는 sulfyhydryl group이 변성된 단백질에서는 노출되기 때문에 diamide에 의한 cross-linking이 선택적으로 일어날 것이다. 그러므로 diamide는 변성된 단백질을 "trap"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진은 세포내 열충격후 고분자 단백질 응집물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 aggregate, HAA)이 나타남을 비환원 (non reducing) SDS-PAGE에서 관찰하였고 이를 gas flow counter로 scanning하여 정량하였다. 실험 결과 세포에 열충격을 가한후 diamide를 처리하면 HMA가 열충격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이는 HMA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열충격에 의하여 변성된 단백질을 정량할 수 있음을 반증한다. 열내성이 유도된 세포와 그렇지 않은 세포를 비교하였을 때 열내성이 유도된 세포에서는 열충격에 의한 HMA의 형성이 억제됨을 관찰하였다. 열충격후 정상온도에서 회복기를 주면서 시간대별로 diamide를 첨가하고 이때 형성된 HMA양을 측정하여, 단백질 원형복구의 역동성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HMA는 열내성의 유도 여부와 상관없이 빠르게 없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열내성이 유도된 세포에서 HSP70 단항체를 electroporation에 의하여 투여하였을 때 HMA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이는 열내성이 유도된 세포에서는 HSP70의 증가에 의하여 HMA생성이 억제되었음을 나타낸다. HSP70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침전을 시행한 결과 변성된 세포내 단백질이 HSP70과 같이 침전됨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HSP70 단백질이 변성된 단백질과 일시적으로 결합하여 정상 상태로 돌아가거나 복구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TREC기법을 이용한 초단기 레이더 강우예측의 도시유출 모의 적용 (Application of Very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to Urban Water Simulation using TREC Method)

  • 김종필;윤선권;김광섭;문영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5호
    • /
    • pp.409-42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상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도시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초단기 강우예측 및 홍수예측을 실시하였다. 초단기 강우예측 결과 선행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관측 자료와의 상관계수가 감소하며, 평균제곱근오차는 증가하여 정확도가 감소하였으나, 선행시간 60분까지 상관계수가 0.5이상 유지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강우예측 자료 적용에 의한 도시유출 분석결과, 선행시간 증가에 따른 첨두유량과 유출체적의 감소가 발생하였으나, 첨두시간은 비교적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레이더 예측 강우 적용을 통한 도시유출 분석결과, 관측 자료와의 오차가 발생하나 이는 여러 가지 외부적인 요인으로 판단되며, 추후 강수 에코의 급격한 생성과 소멸현상 모의, 국지성 강우 예측 성능 향상 등 지속적인 알고리즘 개선과 강우-유출 모형 매개변수 검 보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하천 유역뿐만 아니라 관측이 어려운 미계측 지역의 수문자료 확보 및 실시간 홍수 예 경보시스템 구축에 확장이 가능하며, 다양한 관측자료 기반 Multi-Sensor 초단기 강우예측 기반기술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식염 및 지방을 함유한 분쇄돈육의 이화학적 성상 및 최종가열온도 측정을 위한 근장단백질의 이용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Utilization of Sarcoplasmic Proteins for the Determination of End-point Cooking Temperatures of Ground Pork Hams Containing Salt and Fat)

  • 강상미;진구복;조수현;이종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83-90
    • /
    • 2004
  • 본 연구는 식염과 지방 그리고 여러 가열조건에 의한 pH 및 일반성분, 가열감량 및 단백질 용해성의 변화에 따른 단백질 분획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처리구에 따른 가열감량 (CL, %)은 지방의 첨가에 상관없이 식염을 2%첨가한 경우 식염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약 1/2배 정도 낮은 가열감량을 보였다. 한편, 식염 무첨가구의 경우 지방을 첨가한 경우 가열감량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식염 2%첨가구는 지방 첨가에 따른 가열감량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가열온도에 따른 가열감량은 $66^{\circ}C$까지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68^{\circ}C$ 보다 높은 가열온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염 무첨가구와 식염 2% 첨가구 사이에서는 단백질 용해성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이 첨가된 경우 상대적인 단백질 함량의 감소로 단백질 용해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가열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용해성의 감소가 현저히 나타났으나 $68^{\circ}C$ 이상의 가열온도에서는 단백질 용해성이 유의적 차이 없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추출한 근장 단백질이 각 처리구별 가열온도에 따른 단백질 분획을 분석하기 위해 전기영동을 실시한 결과 식염, 지방 그리고 가열에 따라 특이적으로 반응한 것은 36 과 66 kDa의 분자량을 가진 근장 단백질 분획이었다. 이러한 단백질 분획은 최종가열온도가 66 ${\sim} 70^{\circ}C$에서 급격히 thtlfehladmfhTJ 돈육의 최종 가열온도 측정을 위한 지시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니피그 위 평활근의 자발적 수축과 전기적 활동에 대한 $Ca^{2+}$$Ca^{2+}$-길항제 영향 (Effect of $Ca^{2+}$ and $Ca^{2+}-antagonists$ on the Spontaneous Contractions and Electrical Activities of Guinea-pig Stomach)

  • 이상호;김기환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1권2호
    • /
    • pp.241-257
    • /
    • 1987
  • The effects of external $Ca^{2+}$ and $Ca^{2+}-antagonists$ on the spontaneous contractions and electric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in guinea-pig stomach in order to clarify the mechanism for the generation of slow waves. Electrical responses of circular smooth muscle cells were recorded using glass capillary microelectrodes filled with 3 M KCl.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ris-buffered Tyrode solution which was aerated with 100% $O_2$ and kept at $35^{\circ}C$.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amplitude of spontaneous contractions was maximal at around 2-4 mM $Ca^{2+}$, whereas their frequency was inversely related with external $Ca^{2+}$ within the range of 0.5 to 16 mM $Ca^{2+}$. 2) Verapamil suppressed the amplitude of spontaneous contra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le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contractions was almost not changed over the whole concentration of verapamil $(0.01{\sim}5\;mg/l)$. 3) Manganese increased both the amplitude and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contractions dose-dependently in low $Mn^{2+}$ (below 0.05 mM $Mn^{2+}$), while their amplitude and frequency were decreased in high $Mn^{2+}$ (above 0.1 mM $Mn^{2+}$). 4) The ampltude and maximum rate of rise of slow waves were incrased in high $Ca^{2+}$ solution. In $Ca^{2+}-free$ solution, the spontaneous contractions recorded simultaneously with slow waves ceased and tonic contraction ($Ca^{2+}-free$ contracture) was developed in parallel with membrane depolarization and the disappearance of slow waves. 5) Verapamil (1 mg/1) decreased the amplitude and maximum rate of rise of slow waves and it depolarized the membrane by about 6 mV, whereas the frequency of slow waves was not affected by verapamil. 6) Manganese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 effects between low and high $Mn^{2+}$ on the slow waves: In low $Mn^{2+}$ (0.05 mM $Mn^{2+}$), the initial rapid increases and the subsequent gradual decreases in three parameters of slow waves (amplitude, rate of rise, and frequency of slow waves) till a new steady state were observed. However, in high $Mn^{2+}$ (0.5 mM $Mn^{2+}$) slow waves disappeared and membrane was depolarized. From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1) $Ca^{2+}$ is necessary for a generation of the slow waves, even though it is small amount. 2) Verapamil suppresses the spontaneous contractions of gastric antral strip by the decreases in amplitude and maximum rate of rise of slow waves, while this drug does not block the $Ca^{2+}-channel$ involved in the generation of slow waves. 3) Manganese has dual actions on the $Ca^{2+}-channels$; the $Ca^{2+}-channel$ involved in the generation of slow waves (or Na-Ca exchange system) or the channel for the generation of spike potentials are stimulated by a low concentration of $Mn^{2+}$, while both the $Ca^{2+}$. Channels are blocked by high concentration of $Mn^{2+}$.

  • PDF

급성기 홍역 환자의 정주용 인면역글로부린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Intravenous-gammaglobulin Therapy in Acute phase of Measles)

  • 김민식;차윤화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8권1호
    • /
    • pp.101-106
    • /
    • 2001
  • 목 적 : 홍역은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강한 전염성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홍역이 대유행을 하고 있으나, 대증 요법만으로는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없어 강력한 항 염증작용과 면역 조절 기능을 가진 정주용 인면역글로부린(intravenous-gammaglobulin)을 투여하여, 현저하고 신속한 임상 증상의 호전과 급성기 염증 반응의 소실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안양 메트로병원에 홍역으로 입원한 112명 중 치료군으로 선정된 68명에게 정주용 인면역글로부린(400~500 mg/kg)을 한번에 투여하였고, 대조군 44명은 대증요법과 수액제제 등으로 치료하여 두 군간의 발열 기간, 홍반성 구진의 소실 시기, 입원 기간 그리고 CRP의 출현 시기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7.9{\pm}3.6$세였고, 남녀 비는 1.0 : 1.6으로 여아가 많았으며, 입원 중 발열 기간은 치료군에서 평균 $2.4{\pm}1.2$일, 대조군은 $5.7{\pm}2.4$일, 홍반성 구진의 소실 시기는 치료군에서는 평균 $4.5{\pm}1.3$일, 대조군은 $6.9{\pm}2.4$일, 평균 입원 기간은 치료군에서 $3.5{\pm}1.3$일, 대조군은 $7.8{\pm}3.2$일로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신속한 임상 증상의 호전을 보였고, 입원기간도 현저하게 짧았다(P<0.05). CRP(정상 <5 mg/L)는 치료 전에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치료 후 5일째에 측정한 수치가 치료군에서는 평균 $6.2{\pm}1.4mg/L$로 대부분 정상이 되었지만 대조군은 $12.4{\pm}4.2mg/L$로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다(P<0.05). 결 론 : 중증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는 정주용 인면역글로부린은 비교적 안전하며 부작용이 거의 없고 현저하고 급속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급성기 홍역 환자를 치료하는데 대단히 유용하다고 생각되었다.

  • PDF

연부 조직에 발생한 사구종 (Glomus Tumor in Soft Tissue)

  • 김도연;이수현;김민주;신규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4-43
    • /
    • 2009
  • 목적: 사구종은 사지의 피하지방층에 발생하는 드문 양성 종양이다. 조갑하에 30~50% 가 발생하며 정상적인 사구체가 없거나 드물게 존재하는 조직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연부조직에 발생한 사구체 종양에 대해 임상적, 조직학적, 영상의학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부터 2008년까지 본원에서 종양 절제술을 시행 받고 사구체 종양으로 진단 받은 51명의 환자 중, 수지 말단과 위, 기관, 고실정맥구에서 발생한 경우를 제외한 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진료 기록, 환자와의 면담, 진찰 소견, 영상 소견, 조직학적 양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8명의 환자 중 남자 환자가 4명, 여자 환자가 4명이었으며, 수술 당시 평균 나이는 47세였다. 유병 기간은 평균 8.9년이었다. 사구종의 세 가지 주 증상인 통증, 압통, 냉온 민감성에서는 통증과 압통은 8명의 환자 모두 호소하였으나, 냉온 민감성은 8명 중 2명만이 호소하였다. 8명 중 2명이 피부 색 변화가 있었다. 종양 절제술을 받은 후, 2명은 각각 시각상 사통증 9에서 8로, 8에서 5로 증상 호전이 있었고, 나머지 6명은 수술 이후 수술 전 증상의 완전 소멸을 보였다. 증상 호전이 시각상사통증 9에서 8로 있었던 1명은 2차례 재발/잔존 사구종으로 1차 수술 이후 2회의 수술을 더 받았다. 종양의 크기는 가장 큰 직경을 기준으로 했을 때 평균 13.9mm이였다. 조직병리학적으로 사구체의 아형 분류에서는 총 8예 중 6예가 '고형 사구종', 1예가 '고형사구종' 과 '사구맥관종' 의 혼합, 1예가 '악성 사구체 종양' 소견을 보였다. 자기공명영상 분석 결과 모두 T1 강조 영상에서는 근육과 유사한 중신호 강도, T2 강조 영상에서는 고신호 강도, T2 조영증강 영상에서는 고신호 강도를 보이면서 좀 더 명확한 병변을 보였다. 결론: 연부 조직 사구종은 재발과 악성화가 낮지만 진단이 늦어 임상적으로 환자에게 고통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수술적 처치가 중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