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e residu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s of Rape Residue on Nitrogen Fertilizer Reduction in Paddy Soil under Double Cropping System

  • Cho, Hyun-Jun;Hyun, Byung-Keun;Sonn, Yeon-Kyu;Shin, Kook Si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7-11
    • /
    • 2016
  • Winter crops have been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to soil management for fertility and crop productivity in paddy soil. Recently, rape has been produced at winter season and there is little research results on reduction of N fertilizer by adding rape residues for rice cultiv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rice by applying with 0, 27, 63, $90kg\;ha^{-1}$ of N fertilizer after input of rape residues into soil for two years. The highest yield of rice was average $4.68Mg\;ha^{-1}$ at the treatment applied with the $90kg\;N\;ha^{-1}$ with rape residue. It was reduced to N rate from 31.6 to $43.2kg\;N\;ha^{-1}$ in comparison to $4.53Mg\;ha^{-1}$ of maximum yield in treatment added $90kg\;N\;ha^{-1}$ with rape. Amylose content in rice was similar among treatments with/without rape residue, but protein content was lower in treatment with rape residue than in those without rape residue. In conclusion, input of rape residue in rice cultivation could be alternative to reduction of N fertilization and improvement of quality by adjusting rice productivity in paddy soil under cropping system.

유채 잔유물의 녹비 이용에 따른 벼 생육특성 및 잡초발생 억제효과 (Effects of Rape Residue as Green Manure on Rice Growth and Weed Suppression)

  • 최봉수;성좌경;이상수;남재작;홍승길;김록영;양재의;옥용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9-114
    • /
    • 2010
  • 수확기 벼의 간장은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하게 생육하였으나 수장은 녹비환원구의 70% 시비구(17.5 cm)에서 관행재배구(16.4 cm)보다 촉진시켰다. 수확기 벼의 지상부 잎과 줄기의 생체중은 유채 잔유물 녹비환원구의 30% 시비구에서 관행재배구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벼의 건물중에서도 생체중과 비슷하였으며, 녹비환원구의 70% 시비구에서는 이삭중을 19% 증가시켰다. 또한 유채 잔유물의 환원에 따른 벼의 주당수수와 1수영화수는 관행재배구에 비해 녹비환원구의 70% 시비구에서 비슷하거나 오히려 증가하였다. 한편 벼의 등숙율은 관행재배구의 91%와 비교하여 유채 잔유물 환원구에서 낮아지는 것(79-85%)으로 나타났으나, 정조수량은 유채 잔유물 환원구의 70% 시비구에서 496.4 g/pot으로 가장 높았다. 각 처리구별 벼의 수량으로부터 산출한 수량지수는 녹비환원구의 70% 시비구에서 125.4로 관행재배구보다 수량이 증가하였다. 잡초발생량은 관행재배구에서 37본으로 가장 많았으며, 유채 잔유물 환원구에서는 11.7-15.7본으로 관행재배구보다 현저히 감소시켰다. 잡초의 건물중은 관행재배구의 25.1 g/pot에 비해 유채 잔유물 환원구의 시비량이 많은 처리구부터 각각 11.8, 12.2 및 6.0 g/pot으로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벌꿀 중 동물용의약품 잔류량 모니터링 (Monitoring of Veterinary Medicine Residues in Honey)

  • 강은귀;정용현;정지혜;김미란;이경진;정진주;박종석;반경녀;장영미;강찬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43-647
    • /
    • 2010
  • 기준 설정 전인 2006년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실시한 연구과제의 결과보고서에 의하면 200건 벌꿀 중 네오마이신은 검출되지 않았고, 스트렙토마이신의 경우 23건이 검출되었으며, 아미트라즈(그 대사산물 포함), 코마포스의 경우 각각 10건, 9건의 검출되었다(8). 그러나 기준 설정 후인 본 연구의 모니터링 결과 해당 동물용의약품의 검출율이 현저하게 떨어진 것으로 미루어 볼때 07년 기준 설정 후 설정된 잔류허용기준에 맞춰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