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a dybowskii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46초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n the Murine Macrophages of Methanol Extracts of Amphibians

  • Kim, Sang-Bum;Chang, Min-Ho;Han, Sang-Hyun;Oh, Hong-Shik
    • 환경생물
    • /
    • 제30권3호
    • /
    • pp.157-163
    • /
    • 2012
  • Oxidative stress has been reported to be one of causes of neuritis. This study examine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of six amphibian species known to be medicinal animals (Rana catesbeiana, R. coreana, R. rugosa, R. dybowskii, R. nigromaculata, and Hyla japonica) and investigated their effects of inhibiting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cytotoxicity on the murine macrophage RAW264.7 cells. As inflamm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reactive oxygen species, assay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O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of the six spec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All extracts showed antioxidative activity, and the activity of R. dybowskii was the highest in comparison among thos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tracts were also examined, the five extracts except that of R. rugosa did not show cytotoxicity for RAW264.7 cells at the maximal concentration ($1,000{\mu}g\;mL^{-1}$). Selectivity index, meaning NO scavenging activity compared to cytotoxicity, showed the highest level in the extract of R. dybowskii. These results will be very useful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o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diseases to understand the biological roles of amphibian extracts throughout the antioxidative or anti-inflammatory pathways.

중금속 이온이 산개구리 난자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Heavy Metal Ions on the Oocyte Maturation of Frog, Rana dybowskii in vitro)

  • 고선근;이두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0-315
    • /
    • 1997
  • 중금속 이온이(Cd$^{2+}$, Hg$^{2+}$, Cu$^{2+}$, Pb$^{2+}$) 산개구리 여포난자의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배양액에 일정 농도의 이온들을 첨가한 후 여포난자들을 일정시간 배양하였다. 여포난자의 성숙을 유도하기 위하여 FPH(Frog pituitary homogenate: 0.1p.e./ml)를 사용하였으며 여포난자의 성숙율은 난자의 핵막 붕괴율로부터 구하였다. 실험결과 Cd$^{2+}$은 0.1ppm의 농도부터 여포난자의 성숙을 억제하였으며 Hg$^{2+}$과 Cu$^{2+}$는 1ppm부터, Pb$^{2+}$는 5ppm에서 현저히 억제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이들 중금속 이온 작용의 가역성을 조사하기 위해 3시간 동안 여포난자들을 중금속 이온에 노출시킨 후 보통 배양액으로 옮겨 계속 배양을 해 본 결과 Cd$^{2+}$은 1ppm에서 가역성을 나타내었으나 2.5ppm에서는 비가역적인 손상을 주었다. Hg$^{2+}$, Cu$^{2+}$, Pb$^{2+}$의 효과는 2.5ppm에서는 비가역성을 나타냈다. 위 결과로부터 개구리 여포난자의 배양계는 환경오염물질의 독성 검정에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자외선이 산개구리 (Rana dybowskii) embryo의 시원생식세포 수에 미치는 영향 (UV Effect on the Number of Primordial Germ Cells in the Embryo of Rana dybowskii)

  • 정해문;김원숙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24
    • /
    • 1984
  • 산개구리의 germ plasm 및 축결정 세포질에 미치는 자외선의 영향을 수량적, 시간적으로 조사하였다. 산개구리 난의 식물극을 수정 후 60분경에 1,600 $ergs/mm^2$이상의 자외선을 조사하였을때 40%이상의 시원생식세포의 수가 감소하였으나, 그 이하의 양에서는 전혀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1,600 $ergs/mm^2$부터는 시원생식세포 수의 감소 정도는 자외선의 양에 비례하였다. 또 신경관 형성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시원생식세포의 형성을 완전히 억제시키는 자외선의 양은 4,800 $ergs/mm^2$이었다. 이에 4,800 $ergs/mm^2$의 자외선을 수정 후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조사하여 germ plasm에 미치는 자외선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이 조사된 시기가 이를수록 시원생식세포수의 감소가 크며, 수정후 60분부터 차츰 감소율이 줄어 들다가 3분열 이후에는 자외선의 효과가 거의 없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시원생식세포와 축형성에 미치는 자외선의 영향을 시기적으로 비교한 결과 산개구리난의 축결정이 다른 무미양서류에서와 같이 수정에서 제1분열 사이의 $0.7\\sim0.8$시기 이전에 이루어지므로 그 이후에는 자외선의 감응도가 급격히 저하되었다. 그러나 germ plasm의 자외선에 대한 감응도는 훨씬 늦게까지 지속되어 8구기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이 나타났다.

  • PDF

무미 양서류의 치사종간 핵치환 개체의 염색체 이상과 발생 능력에 관한 연구

  • 이자경;정해문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5-32
    • /
    • 1990
  • 포배단계의 북미산 표범개구리 Rana pipiens의 핵을 국내종 북방산개구리 Rana dybowskii의 무핵난에 이식하여 형성되는 nucleocytoplasmic hybrid 개체는 초기 낭배시기를 전후하여 치사하는 조합임이 핵치환 실험에 의하여 밝혀졌다. 이들의 치사원인이 이질세포질의 존재에 의한 일시적 현상인지 또는 발생도중 핵내에 일어난 영구적 변화에 의한 것인지를 조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치사직전 개체의 염색체를 분석한 결과, 염색체의 수와 염색체의 일부분에 구조적 이상이 다양하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질세포질에서 DNA의 이상복제가 진행되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결과 비정상적 염색체를 가진 할구의 형성과 부분 난할등이 유발되어 결국 치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nuclocytoplasmic 개체의 lethality 는 정상개체와의 접촉에 의해 교정되지 않는 조직의 내적 특성임이 hybrid의 조직을 정상 embryo로 이식시킨 실험을 통해 명확히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