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a catesbeiana in Korea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자생종 포식자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의 생태적 제어에 관한 연구 (Ecological Control of Invasive Alien Species, American Bullfrog (Rana catesbeiana) Using Native Predatory Species)

  • 노선호;정진석;유영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4-61
    • /
    • 2017
  • 습지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의 생태적 제어를 목적으로 효과적인 생물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6종의 토종 포식성 어류와 6종의 조류를 이용하여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대상으로 포식률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어류 중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 메기(Silurus asotus), 가물치(Channa argus) 3종은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모두 포식하였고, 그 중 전자를 더 선호하였다. 그러나 끄리(Opsariichthys uncirostris), 드렁허리(Monopterus albus), 뱀장어(Anguilla japonica) 3종은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전혀 섭식하지 않았다. 그리고 고니(Cygnus columbianus), 큰고니(Cygnus cygnus), 쇠오리(Anas crecca), 원앙(Aix galericulata), 홍머리오리(Anas penelope), 가창오리(Anas formosa) 등 실험에 사용한 6종의 조류 또한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전혀 먹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국내 습지생태계에서 토종 물고기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의 제어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지역의 양서.파충류상 (Herpetofauna of Kojedo in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1-388
    • /
    • 1999
  • 1998년 5월 3일부터 11월 8일까지 한려해상국립공원 중 거제도 일대에서 양서류 및 파충류상을 조사한 결과 양서류는 총 2목 5과 9종, 파충류는 1목 3과 9종이 관찰되어 덕유산 주왕산 설악산 국립공원 등, 타 국립공원의 생물상보다 상대적으로 풍부한 결과로 나타났다. 특정야생동물로 도롱뇽, 두꺼비, 산개구리, 아무르산개구리, 무자치, 능구렁이, 실뱀, 살모사와 까치살모사 등 9종의 양서류 및 파충류를 관찰 및 탐문으로 조사할 수 있었다. 또한 외래종인 황소개구리가 1개 지역에 집중 분포하였는데 국립공원구역에 더 이상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특별한 관리가 요구되었다.

  • PDF

Estimating Detection Probabilities and Site Occupancy Rates of Three Anuran Species Using Call Surveys in Haenam Gun, Korea

  • Sung, Ha-Cheol;Kim, Su-Kyung;Cheong, Seok-Wan;Park, Shi-Ryong;Roh, Dong-Chan;Baek, Kyung-Whan;Lee, Jung-Hyun;Park, Dae-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4호
    • /
    • pp.331-335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three anuran species, Three-striped pond frogs (Rana nigromaculata), Bullfrogs (Rana catesbeiana), and Narrow-mouthed toads (Kaloula borealis), in an administrative district, Haenam Gun, Junnam Province, Korea using volunteer call surveys. Twenty-eight volunteer call surveyors were assigned to each $2{\times}2km^2$ survey plot. Call surveys on whether the species are present or not were conducted for 5 minutes between 30 minutes after sunset and the midnight on rice fields and ponds from 10 April to 28 August in 2005. Depending on species, call surveys were carried out at seven to 28 plots with average 8.4 to 10.7 visits per the plot. We calculated the detection probabilities and occupancy rates of the three species using four models with three covariates: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amount of water at the habitat. The model average detection probabilities of three anuran species of R. nigromaculata, R. catesbeiana, and K. borealis were 0.53, 0.74, and 0.41 respectively, and the site occupancy rates of them were 0.93, 0.94, and 0.86 respectively. Our results indicate that R. nigromaculata, R. catesbeiana, and K. borealis are common in Haenam Gun.

미토콘드리아 ND1/tRNA 유전자 서열 비교를 통한 국내 서식 황소개구리의 유전적 다양성 조사 (Genetic Diversity of Rana catesbeiana in Korea based on Mitochondrial ND1/tRNA Sequence Analysis)

  • 이지영;심재한;정인실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6호
    • /
    • pp.375-382
    • /
    • 2005
  • 1970년 대 식용을 위한 양식을 목적으로 일본에서 도입된 황소개구리는 1990년대 초반까지 국내 하천과 호소 생태계에 큰 피해를 주었으나 최근 급속히 그 개체수가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황소개구리의 개체군 동태에 미치는 유전적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내에 서식하는 황소개구리의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황소개구리 출현이 많은 전라남도 5개 지역에서 지역별로 채집한 개체의 미토콘드리아 ND1/tRNA 유전자 1,215 bp의 염기 서열을 결정하고 이를 기존에 발표된 황소개구리의 염기서열과 비교, 분석한 결과 모든 개체의 1개 위치에서 염기 변화가 발견되었다. 또한 조사한 개체 일부에서 유전자 염기 서열의 6개 위치에서의 변이가 발견되었으나 이는 1,215bp에서 극히 일부분이 변화된 것으로 유전적 변이가 일어 났다고 판단하기 어렵다. Kimura-2-parameter distance 분석에서 국내 서식 황소개구리는 $98.7%\sim100%$의 높은 유사도를 보여 종내 유전적 거리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유전적으로 유사한 개체들이 cluster를 형성하는 Neighbor-Joining 분석 결과에서 원산지 황소개구리가 국내 서식 황소개구리의 일부와 함께 같은 cluster에 속하므로 원산지와 국내 서식 황소개구리는 유전적 차이가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국내에 서식하는 황소개구리는 종내 유전적 유사도가 매우 높으며 국내에 도입된 후 지역 특이적으로 유전적 분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Inability of Mate and Species Recognition by Male Asian Toads, Bufo gargarizans

  • Cheong, Seok-Wan;Sung, Ha-Cheol;Park, Shi-Ryo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2호
    • /
    • pp.93-96
    • /
    • 2008
  • In recent years, we frequently observed missmatched pairs between male Asian toads, Bufo gargarizans, and bullfrogs, Rana catesbeiana, at the toad breeding ponds, where scramble competition for mating occurred among the male toads. Thus, we performed two-choice experiments to investigate recognition ability of mates and species in male toads. The test males did not discriminate sexes, but the clasped stimulus males immediately produced release calls and stopped it while the clasped stimulus female did not. In addition, the test male toads did not discriminate reproductive state of females and even species. However, male toads chose larger individuals.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main reason of missmatched amplexus by the male toads is due to 1) the lack of recognition cues of conspecifics, 2) the lack of communication tools like release calls, and 3) the larger size of bullfrogs than male toads themselves.

Genetic Relationships among Six Korean Rana Species (Amphibia; Ranidae) Based o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 Lee, Jung-Eun;Yang, Suh-Yung;Lee, Hei-Y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2호
    • /
    • pp.117-121
    • /
    • 2000
  • Genetic relationships among six species of the genus Rana from Korea were investigated by complete nucleotide sequence analyses of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1143 bp). Based on Kimura-2-parameter distance, the interspecific sequence differences of cytochrome b gene within the genus Rana were ranged from 7.83% to 25.00%. The genetic distances were 7.83% between R. nigromaculata and R. plancyi, 8.47% between two types of R. rugosa (type A and B), 10.42% between the brown frogs (R. amurensis and R. dybowskii), 16.11% between R. dybowskii types 1 and 2 and 12.36% between pond frogs (R. nigromaculata and R. plancyi) and R. catesbeiana. In the neighbor-joining and parsimony trees, R. catesbeiana was more closely related to pond frogs than brown frogs. R. dybowskii types 1 and 2 were considered to be at a distinct and specific level of differentiation (16.11%), while two types of R. rugosa were suspected to be at a subspecific level (8.47%).

  • PDF

황소개구리에서 추출한 지방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pids Extracted from Bullfrogs)

  • 황금택;홍진선;강성국;정순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51-35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 Shaw)가 불포화지방산의 주요 공급원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국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황소개구리에서 지방을 추출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황소개구리의 다리와 몸통에는 1%(w/w)이하의 지방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계절에 따른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황소개구리 다리에서 분리한 지방에는 26~31%(w/w) 포화지방산, 16~24% 모노엔산, 30~40% 고도불포화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몸통에서 분리한 지방에는 23~28% 포화지방산, 29~44% 모노엔산, 16~30% 고도불포화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황소개구리에서 추출한 지방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이었다. 다리에서 분리한 지방에는 3~8% eicosapentaenoic acid(EPA)와 6~10% docosahexaenoic acid(DHA)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몸통에서 분리한 지방에는 1~3% EPA 와 DHA가 각각 함유되어 있었다.

내분비계 장애물질 검색을 위한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한 황소개구리 비텔로제닌 정량법 개발 (Development of Quantitative Vitellogenin ELISAs for Bullfrog (Rana catesbeiana) used in Endocrine Disrupter Screening)

  • 이상훈;강윤주;이춘일;김안드레;김춘봉;정규혁;김동규;박남규;박광식;강신원;박장수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2호
    • /
    • pp.147-151
    • /
    • 2006
  • 난생 생물의 알 생성유도 단백질인 비텔로제닌(viteILogenin, VTG)을 성숙한 암컷 황소개구리 (Rana catesbeiana)혈청으로부터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 하였으며 정제한 비텔로제닌을 BALB/c mice에 주사하여 폴리크로날 항체를 생산하였고 이것은 protein A column으로 정제 하였다. 이렇게 정제된 폴리크로날 항체를 이용하여 황소개구리 비탈로제닌 측정용 효소면역측정법을 개발하였으며 그 측정 범위는 $12{\sim}1,560ng/mL$였다. 또한 이 효소면역측정법을 평가하기 위해 성숙한 수컷 황소개구리를 청정지역과 폐수처리장 하류 하천에서 서식하는 황소개구리 혈액 속의 비텔로제닌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폐수처리장 하류 하천에 서식하는 수컷 황소개구리 비텔로제닌이 청정지역보다 현저하게 높게 유도됨을 알 수 있었다.

Detection of Infectious Fungal Diseases of Frogs Inhabiting in Korea

  • Kim, Suk;Eom, Ahn-Heum;Park, Dae-Sik;Ra, Nam-Yong
    • Mycobiology
    • /
    • 제36권1호
    • /
    • pp.10-12
    • /
    • 2008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rapid decrease in amphibian populations worldwide, and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associated with this decline. Diseased frogs inhabiting Korea were collected from fields, and the diseases were identified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Two fungal diseases-saprolegniasis and chromomycosis-were detected in the frogs. Saprolegniasis caused by Saprolegnia spp. was found in Rana plancyi chosenica from Gangwon-do and Rana huanrenensis from Chungbuk. Chromomycosis, which is caused by infection with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was detected in Rana catesbeiana from Busan.

한국산 개구리류에 기생하는 Haematoloechus속 (Digenea: Plagiorchiidae) 흡충류 (Trematodes of the genus Haematoloechus (Digenea: Plagiorchiidae) from frogs in Korea)

  • 김기홍;임한종;윤일병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245-254
    • /
    • 1992
  • 1989년 2월부터 1991년 7일에 걸쳐 전국 각지에서 채집한 Rana nigromaculata 242개체, Rana catesbeiana 9 개체의 폐로부터 Haemntologthus속 흡충류 5종을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들은 Haematozoechus sibiricus iaponitus (Yamaguti, 1936), H. nanchangensis Hsiung, 19열, H. varifgntus (nudoIPhi, 1819), Jf. lebatus (Seno, 1907), n lobatus koreanus new subspecies이며, 이중 H. lobalus koreanus는 H. lobatus와 유사하나 고환의 형태, 맹관 따같족에 분포하는 자궁의 형태, 충란의 크기 등에 뚜렷한 차이가 있어 신아종으로 분류하였으며, H. variegatus와 H. Icbatus는 국내 미기록종이다. 또한 기록종인 H. nanchangensis majcr (Yamaguti, 1936)는 H. nanchangensis Hsiung, 1934와 몸의 크기 외에는 아종으로 구분될 만큼 명확한 형질이 없기 때문에 H. nanchangensis의 동종이명으로 처리하여 분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