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amjet Inlet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8초

초음속 흡입구 개념 설계와 운영조건 내의 블리딩(bleeding) 유동제어 연구 (Study on Concept Design of Supersonic Inlet and Flow Control of Bleeding under Operating Condition)

  • 최재환;천소민;최요한;홍우람;김종암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025-103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압축성 유체이론에 기초하여 렘젯 엔진의 초음속 흡입구를 개념 설계하고 보다 넓은 범위의 운영조건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내도록 블리딩 유동제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음속 흡입구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충격파 안정성, 충격파-경계층 상호작용 및 유동 박리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비점성 해석을 통해 얻어진 1차 기초설계 형상으로부터 점성을 고려하여 충격파의 강도와 경계층 및 박리의 효과가 반영된 2차 수정설계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설계조건에서 충격파가 안정화되고 목표 흡입 유량을 만족하는 형상을 얻었다. 흡입구가 탈 설계조건 내에서도 성능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블리딩을 적용하였다. 질량유량 경계조건을 이용하여 블리딩 효과를 모델링 하였으며 위치와 개수를 조절해가며 성능변화를 관찰하였다.

고체 램제트 추진기관 연소실에서의 연소 현상 (Combustion Behavior in a Solid Fuel Ramjet Combustor)

  • Lee, T. H.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5-30
    • /
    • 1999
  • 본 연구는 보론 카바이드를 함유한 고체 연료를 사용하여 고체 램제트에서 공기 유속량에 따른 연소효율과 입자 크기의 분포를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입자 분포는 그레인 끝 부분과 노즐 입구에서 MALVERN 2600 HS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소 효율은 공기 유속량이 적을수록 연소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입자 분포는 대략적으로 4, 15와 25$\mu\textrm{m}$, 경우에 따라 2$\mu\textrm{m}$ 보다 적은 크기에서 한 곳을 포함하여 3곳의 피크치 또는 4 곳의 피크치를 나타내는 분포를 보였다. 큰 입자는 주로 재순환 영역에서 표면에서의 입자들의 뭉침의 결과이다. 흡입 공기의 온도가 높으면 연소 효율이 좋았는데 이는 확산 영역에서 연소하는 큰 보론 카바이드 입자의 연소 촉진 결과로 보인다.

  • PDF

추진체계 개념설계단계에서 불확실성 고려방법에 대한 연구 (Uncertainty Quantification of Propulsion System on Early Stage of Design)

  • 안중기;엄기인;이호일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3-80
    • /
    • 2018
  • 고속 추진체계의 개발 초기는 자료의 부족, 비용 제약, 지상에서 실제 비행환경 모사의 어려움 등으로 불확실 요소들을 확률분포의 형태로 모델링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이중연소 램제트를 대상으로 전문가들의 경험에 의한 연소효율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에비던스 이론으로 모델링하여 불확실성을 정량화 하였다. 정량화한 불확실성 정보를 이용하여 흡입구와 연소기의 출구면적에 대하여 추력여유와 열질식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신뢰성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한정된 불확실 정보를 가지고 엔진의 개념설계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사 1차원 솔버를 이용한 이중모드 램제트 연소실 해석 (Numerical Investigation of Dual Mode Ramjet Combustor Using Quasi 1-Dimensional Solver)

  • 양재훈;남재현;강상훈;여재익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11호
    • /
    • pp.909-91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스크램제트 제어모델 정립을 위한 1차원 연소기 해석 솔버가 구축되었다. 유체에 대한 지배방정식 및 아레니우스 식 기반의 연소모델, 연료분사모델이 솔버 내에 구현되었으며, 해석이 수행되었다. 솔버의 검증을 위하여 0차원 점화지연 문제 및 1차원 스크램제트 연소해석 문제가 도입되었으며, 현 솔버가 선행 문헌의 결과들을 성공적으로 재현해 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아음속 조건에서의 해석을 위한 램제트 해석 알고리즘이 구축되었으며, 열질식 위치를 통해 램제트 조건에서 연소기 입구 마하수를 확정하는 해석이 수행되었다. 램조건에서 PCST (precombustion shock train) 해석을 위한 모델이 도입되었으며, 천이구간 해석을 위한 알고리즘이 도입되었다. 또한 코드 내 램모드 해석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해 격리부 내 의사충격파 길이를 통해 불시동 발생 여부가 분석되었다.

마하 2.5 초음속 공기흡입구의 버즈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uzz Characteristics of Supersonic Air Intake at Mach 2.5)

  • 이형진;박태형;최정열;정인석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26-437
    • /
    • 2007
  • 초음속 흡입구는 설계점에서 안정된 작동을 보이지만 탈설계점에서는 흔히 버즈라고 불리는 공력 불안정성에 직면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현저한 엔진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버즈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단 꺽임각을 갖는 외부 압축식 축대칭 흡입구를 이용하여 실험적, 수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흡입구 목에서 박리에 의한 흡입구 질식이 버즈의 주요 원인임을 밝힘으로써 버즈 현상의 메커니즘을 파악하였다. 여러 면적비율에 따라 간헐적 버즈와 연속적 버즈가 관찰되었고 그 천이과정이 파악되었다. 면적비율이 감소할수록 버즈 주파수가 증가하였으나, 각 면적비율에서 흡입구 내 모든 위치의 압력 진동 주파수는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Mach2.2 램제트엔진 항공흡입구 모형의 공기역학적 특성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ir Inlet Model for Ramjet Engine Mach Number of 2.2)

  • 박종호;신완순;신필권;박용철;김윤곤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8년도 제11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12-12
    • /
    • 1998
  • 무기체계의 추진체로서 고체 로켓트 추진기관이 제작의 용이성, 구조의 간단성, 이에 따른 저렴한 제작비, 그리고 고 신뢰도 확보가능 등의 여러 장점으로 대부분의 현존 전술 유도무기에 채택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대응, 방어 무기체계의 빠른 발전으로 이에 따른 새로운 추진기관의 유도무기체제가 요구되고 있다. 램제트 기관은 공기흡입추진기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추력(1000-2000s)과 추력 중량비(∼20)을 가지며, 이로 인해 기존의 로켓 엔진에 비해 4-5배의 성능을 낼 수 있으며, 초음속 장거리 비행에 적합하다며, 또한 높은 속도영역까지 운용가능하고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다.

  • PDF

초음속 흡입구 형상 설계 및 Bleeding을 활용한 유동제어 연구 (Supersonic Intake Design & Flow Control Analysis using Bleeding Condition)

  • 최재환;천소민;김종암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1회(2012년)
    • /
    • pp.77-80
    • /
    • 2012
  • 초음속 흡입구는 설계점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지만 설계점 밖에서는 엔진성능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층 격파 불안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초음속 흡입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단 꺾임각을 갖는 외부 압축식 2차원 흡입구를 설계하고 EDISON_열유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설계 마하수 2.5에서 작동하는 형상을 얻었다. 그러나 설계 마하수 이하의 영역에서는 충격파-경계층, 충격파간 상호작용으로 인해 유동에서 박리가 발생하고 최종적으로 흡입구 목을 질식시켜 아임계 상태로 천이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동 제어 방법 중 하나인 bleeding을 이용하여 경계층을 제거하거나 유동의 박리를 방지하여 충격파를 cowl lip 전방에 안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목적하였던 마하수 2.0에서 2.5에 이르는 작동 영역에서 강건하게 운용될 수 있는 초음속 흡입구를 설계하였다.

  • PDF

Study on the Fundamental Technologies of ATREX Engine

  • Sato, Tetsuya;Kobayashi, Hiroaki;Tanatsugu, Nobuhiro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4년도 제22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65-670
    • /
    • 2004
  • This paper reviews the latest studies of the expander cycle Air Turbo Ramjet engine (ATREX) conducted in JAXA. First, a system analysis including the vehicle and trajectory was conducted to optimize the engine cycle and turbo-machine configuration. We selected the precooled turbo-jet cycle for a prototype engine using the near term technologies. Second, a system ground-firing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a defrosting system for the precooler. Methanol injection with its particles atomization could compensate 80 % of pressure loss caused by the frost. Thirdly, a feasibility of carbon/carbon composites for the engine components was investigated by making complex shapes such as a heat exchanger and a plug nozzle. Basic technologies on the gas leakage, the junction and bonding were also studied. The end of the paper, some basic studies such as wind tunnel tests of a new type air inlet and a plug nozzle are described.

  • PDF

최신 애프터버너의 기술경향 분석 (The technological trend of advanced afterburners)

  • 황용석;윤현걸;임진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5-399
    • /
    • 2009
  • 최신 엔진에 사용되는 애프터버너는 늘어난 엔진의 출력밀도(Power Density)를 감당하기 위해 기존 애프터버너와는 다른 설계 패러다임을 가지게 되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로는 애프터버너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연료분사장치/화염안정화장치가 통합되는 설계 방식이다. 또한, 운용성을 좋게 하기 위해 Radial 형태의 형상을 사용한다. 최신예 엔진인 F414 및 F110-GE-132 엔진에는 이와같은 형태의 장치에 추가로 CMC(Ceramic Matric Composite)가 사용된 가변노즐과 ejector 노즐을 적용한 능동 냉각 개념의 가변노즐등으로 엔진 부품의 수명을 늘려서 경제성을 제고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기술 경향은 차세대 램제트 엔진이나, TBCC와 같은 복합싸이클 엔진에도 적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스크램제트 엔진에서의 모드 천이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n Mode Transition in a Scramjet Engine)

  • 하정호;;;김태호;김희동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1-3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모드 천이가 발생하는 동안 상세한 유동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이론분석과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론분석은 기존의 기체역학과 종래 보고된 이론식들 재정립하였으며, 수치해석은 2차원 비정상 압축성 Navier-Stokes 방정식을 풀기 위해 fully implicit finite volume scheme을 사용해 수행하였다. 해석의 검증을 위하여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격리부 입구 전온도와 수소 연료의 당량비를 변화시키면서 모드 천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해석과 실험 결과는 정성적으로 잘 일치하였다. 당량비가 증가하면 스크램제트 모드에서 램제트 모드로 천이가 발생하였다. 이 때, 천이는 당량비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나타나며, Non-allowable region이 존재하였다. 한편 격리부 입구에서 전온도의 증가는 모드 천이 경계를 변화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