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nfall erosivity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5초

충격 입자 분포 탐지기를 이용한 침식도 추정 (Estimation of Erositivity Using an Impact Disdrometer in East of Alagoas)

  • 히까르도 테노리오;권병혁;마르시아 모라에스;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71-378
    • /
    • 2020
  • 강우는 토양 침식을 일으키는 가장 능동적인 힘 중 하나이다. 다양한 속도와 운동에너지를 가지고 낙하하는 우적은 토양에 충격을 주는 침식력으로 작용한다. 우적의 변동 속도와 운동에너지는 우적의 직경에 직접적으로 의존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브라질 Alagoas주 Maceió 지역에서 강우에 의한 토양 침식을 산정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분 간격의 강우 분포를 지속적으로 자동 측정하는 RD-69 디즈드로미터를 사용하여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침식성 강우 자료를 수집하였다. 독립 변수가 강수량인 지수 관계식과 독립 변수가 지속 시간과 최대 강도인 지수 관계식 형태로 최적화된 알고리즘이 결정되었다.

평양 지역의 강우침식인자에 대한 연구 (Rainfall Erosivity for Pyongyang in North Korea)

  • 이준학;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8-461
    • /
    • 2015
  • 연구는 북한지역의 표토침식량 산정을 위하여 토양침식을 유발하는 강우침식인자를 산정하고 장기간에 걸친 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로서, 대상지역은 평양 관측소 지점의 1981~2014년의 강우자료를 이용하였다. 가용한 북한지역의 강수량은 월강수량이기 때문에, 강우침식인자의 산정은 수정 IAS 지수를 이용한 추정방법과 연강수량을 이용한 추정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강우침식인자에 대한 경향성 분석결과 평양지점의 장기간에 걸친 연강우침식인자 값에 대한 뚜렷한 경향성은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서울 지점의 강우운동에너지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Rainfall Kinetic Energy in Seoul)

  • 이준학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1호
    • /
    • pp.111-118
    • /
    • 2020
  • 한국은 강우로 인해 발생되는 토양침식량을 정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해서 미국에서 유도된 강우운동에너지식을 지난 40년 동안 사용해왔다. 강우의 특성은 기후, 지역 및 시간에 의존하기 때문에 연구 지역에서 측정된 호우사상으로부터, 토양 침식을 일으키는 강우운동에너지의 특성을 분석해서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지역의 강우운동에너지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울에서 3년 동안 측정 한 파시벨 강우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파시벨로 측정한 자료 중 강우강도에 따른 강우운동에너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새로운 강우운동에너지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존에 국내 및 국외에서 개발된 강우운동에너지식과 본 연구에서 도출한 서울 지점에서의 강우운동에너지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산림소유역에서 MUSLE 유출에너지인자 계수값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n MUSLE Runoff Energy Coefficient in Small Forest Watershed)

  • 김재훈;최형태;임홍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91-200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oefficient and exponent of runoff energy in MUSLE for small forest watershed, Hwachoen watershed in Gangwon-do. For 15 rainfall events, runoff volume, peak discharge and sediment yield were measured and these data were used to calculate coefficient and exponent of runoff energ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S{\bullet}K{\bullet}C{\bullet}P$ factors of MUSLE were affected by slope steepness. The coefficient and exponent of runoff energy were validated with coefficient of efficiency of 0.92 and these values were suggested to 0.002 and 0.81 respectively. The comparison of the coefficients and exponents between Hwacheon and other forest watersheds showed that these values would reflect the effect of forest management within watershed.

서울지역의 강우침식인자에 대한 연구 (Rainfall Erosivity in Seoul using Various Rainfall Kinematic Equations)

  • 이준학;신주영;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4-128
    • /
    • 2011
  • 토양유실 모델링의 중요한 입력자료인 강우침식인자는 분석자료, 호우사상의 분류, 강우 운동에너지식의 적용, 30분 최대 강우강도의 산정방법 등에 따라 연구자별로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강우 운동에너지식에 따른 (R)USLE의 강우침식인자(R factor) 값의 차이와 정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기상청으로부터 서울 지점에 대한 1960∼1999년 기간의 1분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5가지 강우 운동에너지식에 따른 강우침식인자를 각각 계산하였으며, 그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Wischmeier와 Smith(1978)의 강우 운동에너지식을 적용한 강우침식인자 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Brown과 Foster(1987)의 식을 적용한 값이 이에 비해 약 10%, 노재경과 권순국(1984)의 식을 적용한 값이 약 20% 작게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개발된 유일한 강우 운동에너 지식인 노재경과 권순국(1984)의 강우 운동에너지식을 적용한 서울 지점의 강우침식인자는 6988.9MJmm/ha/hr/yr이었다.

  • PDF

Suspended Solids Export by the Outflowing Water from Irrigation Paddy Field during Rice Growing Season of Korea

  • Zhang, Yongseon;Jung, Kangho;Cho, Hye-Rae;Han, Kyeong-Hwa;Kim, Min-Kyeong;Sonn, Yeon-Kyu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18-225
    • /
    • 201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Suwon and Iksan city from 2012 to 2014 to evaluate soil erosion and nutrient loss from irrigated paddy fields during cropping period. Rainfall amount and rainfall erosivity of $EI_{30}$ were, on average, 1,026 mm and $3,922mm\;ha^{-1}yr^{-1}hr^{-1}$ for the cropping period, respectively, and the rainfall event with maximum $EI_{30}$ occurred in July. Annual average of runoff was $2,508MT\;ha^{-1}yr^{-1}$ in Suwon and $3,375MT\;ha^{-1}yr^{-1}$ in Iksan, accounting for 36% of rainfall of the cropping period. Nutrient loss by runoff, on average, was $7.0kg\;N\;ha^{-1}yr^{-1}$, $1.3kg\;P\;ha^{-1}yr^{-1}$, and $16.6kg\;K\;ha^{-1}yr^{-1}$; N, P, and K loss were 5.0, 0.6, and $8.3kg\;ha^{-1}yr^{-1}$, respectively, in Suwon and 8.9, 1.9, and $16.7kg\;ha^{-1}yr^{-1}$ in Iksan. Soil loss in Korean paddy rice was evaluated as $0.33MT\;ha^{-1}yr^{-1}$ ranging from $0.05MT\;ha^{-1}yr^{-1}$ to $0.88MT\;ha^{-1}yr^{-1}$. Amount of soil loss, however, depended on areas and year influenced by variation of rainfall amount and intensity. Interestingly, soil erosion in Iksan in 2012 was remarkably greater than those in other periods due to heavy rainfall between late May and June with soil flake dispersion right after the rice-planting season.

만경강 봉동 수위관측소 유역에 대한 USLE 인자특성 분석 - 강우침식인자를 중심으로 - (Factor Analysis of USLE about Bongdong station in the Mankyoung river basin - Focused on Rainfall Erosivity(R) -)

  • 이재혁;심은증;이연길;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11-511
    • /
    • 2012
  • 강우침식인자는 강우사상(rainfall event)으로 인한 토양침식량을 산정하는 지표(index)로서 일정기간 토양침식의 정도를 산정할 수 있는 범용토양유식공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을 구성하고 있는 인자 중 가장 값의 변동성이 크고 동일한 조건에서 토양유실량 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다. 강우침식인자의 산정은 유량탐사 센서나 강우게이지 자료(pluviograph)로부터 12.7mm이상, 최소 15분간 6.35mm이상의 호우사상을 추출하여 해당하는 호우사상에 대한 강우에너지식에 30분 최대강우강도를 곱한 값의 연평균값을 계산한 것이다(Wischmeier and Smith, 1978). 본 연구에서는 범용토양유실공식(USLE)의 강우침식인 자(R)를 산정하고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하여 공간적 분포를 나타낼 수 있는 만경강 유역 상류부에 위치한 봉동 수위관측소 유역의 토양침식도를 연도별로 도시하였으며, 2001~2010년까지의 10개년 강우량을 바탕으로 토양침삭량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는 강우량이 많을수록 침식인자가 크게 산정되는 일반적인 결과를 기대 할 수 있지만, 2001~2010년까지 10개년 강우침식인자를 분석한 결과 강우량이 많다하여 침식인자의 변화 값이 크게 반응하는 값보다 강우강도에 의해 침식인자가 크게 반응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강우침식인자는 강우량보다는 강우강도에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토양유실공식의 강우침식도 산정을 위한 30분 최대강우강도 추정 (Estimation of 30 Minutes Maximum Rainfall Intenstiy for Rainfall Erosivity in USLE)

  • 신상훈;백경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59-259
    • /
    • 2012
  • 범용토양유실공식(USLE)의 강우침식인자의 적절한 산정을 위해서는 각 독립강우사상의 30분 최대강우강도의 산정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조밀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강우자료가 필요하나 자료습득의 용이성 문제 및 자료의 비연속성 문제 등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박정환 등(2000)은 1시간 단위 자료로부터 기존에 개발된 Talbot형, Sherman형, Japanese형 강우강도경험식을 이용하여 30분 최대강우강도를 추정했다. 이후 이준학 등(2010)은 강우의 스케일 성질을 이용하여 속초지점의 2007년의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1시간 최대강우강도로부터 30분 최대강우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했으며, 이준학 등(2011)은 대구지점의 1960년~1999년간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고정시간 1시간 최대강우강도로부터 30분 최대강우강도를 추정할 수 있는 변환계수를 제안했다. 선행연구는 경험식을 이용했거나 연구대상을 특정지점에 국한 또는 1시간과 30분 최대강우강도의 일대일 변환관계에만 집중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2010년의 AWS 분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했고 도시, 내륙, 산간, 해안, 섬을 대표할 수 있는 전국 5개 지점에 대해 임의시간 최대강우강도로부터 30분 최대강우강도를 추정하는 관계곡선을 산정했다.

  • PDF

RS와 GIS-AGNPS 모형을 이용한 소유역에서의 비점원오염부하량 추정 (Estimating Pollutant Loading Using Remote Sensing and GIS-AGNPS model)

  • 강문성;박승우;전종안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02-114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e paper are to evaluate cell based pollutant loadings for different storm events, to monitor the hydrology and water quality of the Baran HP#6 watershed, and to validate AGNPS with the field data. Simplification was made to AGNPS in estimating storm erosivity factors from a triangular rainfall distribution. GIS-AGNPS interface model consists of three subsystems; the input data processor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models. and the post processor Land use patten at the tested watershed was classified from the Landsat TM data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that adopts an error back propagation algorithm. AGNPS model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GIS databases, and additional parameters calibrated with field data. It was then tested with ungauged conditions. The simulated runoff was reasonably in good agreement 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And simulated water quality parameters appear to be reasonably comparable to the field data.

세계의 강우침식인자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Rainfall Erosivity in the World)

  • 이준학;정진석;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294-294
    • /
    • 2016
  • 세계 각국에서는 국가별, 지역별 전역적인 강우침식인자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몇 차례에 걸쳐 남한 전역에 대한 강우침식인자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물로서 등강우침식도가 제작된 바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강우침식인자가 세계 각국에 비해서 어느 정도의 토양침식에 대한 잠재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제 및 국내 학계에 보고된 자료를 토대로, 세계 각국의 강우침식인자를 수집하고, 우리나라의 강우침식인자와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강우에 의한 토양침식 잠재위험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현재 실무에 활용중인 강우침식인자 값에 대한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