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sh yellow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효율적인 무 시들음병 저항성 검정법 개발 및 무 품종들의 병 저항성 평가 (Development of Effective Scree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Radish Cultivars for Resistance to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

  • 백송이;김진철;장경수;최용호;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16권2호
    • /
    • pp.148-152
    • /
    • 2010
  • 무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접종 방법, 침지 시간, 접종원 농도 등의 발병 조건에 따른 '송백무'(감수성)와 '토광무'(중도저항성)의 무 시들음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이병토 접종법, 관주 접종법과 뿌리 침지법 등의 접종 방법에 따른 무 시들음병 발생을 실험한 결과, 이병토 접종법과 관주 접종법에 의해서는 무시들음병이 발생하지 않았다. 뿌리 침지법의 경우, 뿌리 상처 처리구는 무상처 처리구보다 무 시들음병이 더 많이 발생하였으며, 무상처 처리구에서 두 품종의 무 시들음병 발생은 차이를 나타냈다. 뿌리를 포자현탁액에 침지하는 시간(1시간~24시간)에 따른 무 시들음병 발생은 모든 처리구에서 높은 병 발생을 보였으며, 접종 시간이 증가하여도 무 시들음병 발생은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포자현탁액의 포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 시들음병 발생은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를 이용하여 시판 무 41종 품종의 시들음병 저항성 정도를 검정하였다. 온실에서 14일 재배한 무의 뿌리를 $1.0{\times}10^7$ conidia/ml의 포자현탁액에 2시간 동안 침지하여 실험한 결과, 6종 품종(15%)은 저항성, 22종 품종(53%)은 중도저항성 그리고 13종 품종(32%)은 감수성을 보였다.

Phytophthora Root Rot of Chinese Cabbage and Spinach Caused by P. drechsleri in Korea

  • Jee, Hyeong-Jin;Kim, Wan-Gyn;Cho, Weon-D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28-33
    • /
    • 1999
  • Phytophthora root rot of Chniese cabbage and spinach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diseases ocurred at Yangju, Seosan and Yeocheon in Korea from 1995 through 1998, mainly in lowland and submerged areas. Symptoms consisted of stunt, yellows, wilt and eventual death due to root rot. Fourteen isolates collected from naturally infected plants were all identified as P. drechsleri based on mycological characteristics. PCR-RFLP analysis of rDNA of the isolates confirmed the above result, since the restriction band patterns of the small subunit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were identical to P. drechsleri and P. cryptogea, but distinct from closely related species of P. erythroseptica, P. cambivora, P. sojae and P. megasperma. The pathogen showed strong pathogenicity to Chinese cabbage, moderate to spinach, radish, cabbage and tomato, and weak or none to brown mustard, kale, chicory and pepper in pathogenicity tests.

  • PDF

발병조건에 따른 무 품종들의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차이 (Resistance Degree of Radish Cultivars to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 according to Several Conditions)

  • 백송이;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1호
    • /
    • pp.48-52
    • /
    • 2011
  • 본 연구는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에 대한 저항성 무의 효율적인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반응에 차이를 보이는 무 5품종(명산무, 청두무, 장생무, 한농여름무 및 청수궁중무)을 선발하여, 뿌리 상처, 침지 시간, 접종원 농도 및 재배 온도 등의 발병 조건에 따른 무 품종들의 시들음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무 품종들의 저항성 정도를 조사하는 데는 뿌리를 자르고 접종하는 것보다 뿌리를 자르지 않고 접종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이들 품종의 뿌리를 시들음병균 포자현탁액에 침지하는 시간과 접종원의 포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시들음병 발생은 증가하였으며, $1{\times}10^7\;conidia{\cdot}mL^{-1}$의 포자현탁액에 0.5시간 침지하였을 때에 저항성 품종과 감수성 품종의 시들음병 발생은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시들음병균을 접종한 후에 무를 재배하는 온도에 따라 품종들의 시들음병 발생은 차이를 보였으며, $25^{\circ}C$에서 재배하였을 때 감수성 품종들은 더 높은 발병도를, 저항성 품종은 더 낮은 발병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무 품종들의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뿌리 자르기와 같은 상처를 내지 않은, 파종 후 14일된 무의 뿌리를 $1{\times}10^7\;conidia{\cdot}mL^{-1}$의 시들음병균 포자현탁액에 0.5시간 동안 침지한 후 새로운 폿트에 이식하여 $25^{\circ}C$에서 재배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2007-2011 우리나라 농업현장 임상진단 요청 작물의 바이러스 감염 특성 (2007-2011 Characteristics of Plant Virus Infections on Crop Samples Submitted from Agricultural Places)

  • 김정수;이수헌;최홍수;김미경;곽해련;김정선;남문;조점덕;조인숙;최국선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277-289
    • /
    • 2012
  • 농업인 등 농업현장에서 임상진단을 요청한 시료 수는 2007년부터 5년간 총 2,992건이었으며, 바이러스를 검정한 샘플 수는 13,325개이었다. 연도별 검출된 바이러스 종류는 2007년 21종, 2008년 15종, 2009년 23종, 2010년 21종, 2011년 17종이었다. 5년 동안에 우리나라에서 처음 검정된 바이러스는 2007년에는 TbLCV, 2008년에는 TYLCV, 2009년에는 INSV, RaMV, 2010년에는 BWYV이었다. 2007년부터 5년간 총 발생한 바이러스 종류는 알파파모자이크바이러스(Alfalfa mosaic virus, AMV) 등 총 40종이었다. 임상진단 요청 시료에서 가장 감염율이 높은 상위 10종의 바이러스는 CMV, TSWV, TYLCV, CGMMV, BBWV2, ZYMV, MNSV, PMMoV, WMV, PepMoV이었다. 농업현장에서 임상진단 요청한 작물의 종류는 총 53종이었으며, 상위 10위의 작물 종류는 고추, 토마토, 파프리카, 수박, 멜론, 벼, 오이, 옥수수, 무, 박이었으며, 상위 10개 작물과 20개 작물의 전체 임상진단 요청률은 각각 81.6%와 94.2%이었다. 고추에 감염된 바이러스는 BBWV2 등 8종이었으며, 검정한 샘플 가운데 바이러스가 검출된 비율은 CMV 24.6%, PMMoV 18.9%, TSWV 14.7%이었다. 2종 바이러스 복합감염 형태는 평균 감염률 14.7%의 BBWV2+CMV 등 7가지, 3종 바이러스 복합감염 형태는 평균 감염률 0.9%의 BBWV2+CMV+PepMoV 등 4가지이었다. 토마토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종류는 CMV 등 6종이었으며 검정한 샘플 중 바이러스가 검출된 비율은 TYLCV 50.6%, TSWV 14.5%, TbLCV 10.9%이었다. 복합감염형태와 감염률은 CMV+TSWV 3.9%, ToMV+TYLCV 0.4%이었다. 수박에 감염된 바이러스는 CMV 등 5종이었으며 평균 검출 비율은 MNSV 37.0%, CGMMV 20.4%, ZYMV 18.1%, WMV 17.8%이었다. 수박 바이러스의 복합감염 형태와 검출비율은 CMV+MNSV 0.7%, WMV+ZYMV 5.0%이었다. 멜론에서 검출된 감염된 바이러스는 CMV 등 3종이었고 평균 검출비율은 MNSV 77.6%, CMV 5.6%, WMV 3.3%이었다. 복합감염은 CMV+ MNSV로 평균 검출비율은 13.5%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