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logical Effects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6초

Ginsenoside Rg3-enriched red ginseng extract inhibits platelet activation and in vivo thrombus formation

  • Jeong, Dahye;Irfan, Muhammad;Kim, Sung-Dae;Kim, Suk;Oh, Jun-Hwan;Park, Chae-Kyu;Kim, Hyun-Kyoung;Rhee, Man He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4호
    • /
    • pp.548-555
    • /
    • 2017
  • Background: Korean Red Ginseng has been used for several decades to treat many diseases, enhancing both immunity and physical strength. Previous studies have documented the therapeutic effects of ginseng, including its anticancer, antiag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ese activities are mediated by ginsenosides present in the ginseng plant. Ginsenoside Rg3, an effective compound from red ginseng, has been shown to have antiplatelet activity in addition to its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Platelets are important for both primary hemostasis and the repair of the vessels after injury; however, they also play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acute coronary diseases. We prepared ginsenoside Rg3-enriched red ginseng extract (Rg3-RGE) to examine its role in platelet physiology. Methods: To examine the effect of Rg3-RGE on platelet activation in vitro, platelet aggregation, granule secretion, intracellular calcium ($[Ca^{2+}]_i$) mobilization, flow cytometry, and immunoblot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rat platelets. To examine the effect of Rg3-RGE on platelet activation in vivo, a collagen plus epinephrine-induced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mouse model was used. Results: We found that Rg3-RGE significantly inhibited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and $[Ca^{2+}]_i$ mobiliz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o reducing ATP release from collagen-stimulated platelets. Furthermore, using immunoblot analysis, we found that Rg3-RGE markedly suppresse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hosphorylation (i.e., extracellular stimuli-responsive kinase, Jun N-terminal kinase, p38) as well as the PI3K (phosphatidylinositol 3 kinase)/Akt pathway. Moreover, Rg3-RGE effectively reduced collagen plus epinephrine-induced mortality in mice.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ginsenoside Rg3-RGE could be potentially be used as an antiplatelet therapeutic agent against platelet-mediated cardiovascular disorders.

광자선과 전자선의 인접조사에서 선속 퍼짐현상이 고려된 전자선 차폐물을 이용한 접합 조사면의 선량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Dose Distribution at Junctional Area Using the Divergency Cutout Block in the Abutted Field of Photon and Electron Beams)

  • 임인철;이재승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168-173
    • /
    • 2011
  • 본 연구는 조사통(electron cone)에 삽입되는 전자선 차폐물의 제작방법에 따른 X-선과 전자선의 인접 조사면의 선량분포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차폐물의 제작은 전자선속 퍼짐현상을 고려한 차폐물(divergency block)과 고려하지 않은 차폐물(straight block)을 구분하여 제작하였다. 6 MV X-선과 10 MeV 전자선을 대상으로 표면에서 X-선과 전자선의 조사면을 인접시키고 측정 깊이 0, 1, 2, 3 cm에서 빔 측면도(beam profile)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인접 조사면의 선량분포는 straight block의 경우, 기준 투여선량의 5%를 초과하는 고선량 영역과 인접 조사면에서 급격한 선량분포를 형성하였으나 divergency block의 경우, 측방산란효과가 감소함으로서 고선량 영역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인접 조사면에서 균일한 선량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전자선속 퍼짐을 고려한 경우 선량학적 이점을 제공하였고 이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하여 전자선의 차폐물 제작방법에 따른 선량측정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광자극발광선량계와 이온함을 이용한 두경부 원발종양 및 림프절 전이성 종양의 선량 측정: 산란판과 볼루스의 비교 (Measurement of Tumor Dose Using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etectors (OSLDs) and Ionization Chambers for Primary and Metastatic Lymph Node Cancers with Head and Neck: Comparison of Beam Spoiler and Bolus)

  • 이정옥;이재승;정동혁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160-167
    • /
    • 2011
  • 본 연구는 두경부 방사선치료에서 산란판(beam spoiler)과 볼루스(bolus)를 사용함에 따라 깊이가 다른 원발종양과 림프절 전이성 종양의 선량 변화를 이온함과 광자극발광선량계(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etectors. OSLDs)를 이용하여 치료계획검증 방법으로 교차 비교하였다. 치료계획검증은 치료계획시스템에서 얻은 동일 조사 조건을 검출기가 삽입 가능한 고체 팬텀에 모사하는 방법으로 산란판과 0.5, 1 cm 볼루스를 비교하였으며 두 선량계의 교차비교는 측정 오차가 ${\pm}$2% 미만일 때 신뢰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0.5 cm 두께의 산란판과 피부간 거리가 10 cm 일 때 최적의 선량분포를 얻을 수 있었으며 볼루스에 비하여 피부선량이 작고 중심부 원발종양 선량의 감소가 작았다. 또한 두 선량계의 교차 비교는 ${\pm}$1% 이내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두경부 종양의 방사선치료시 산란판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부작용을 줄이면서 종양에 최적의 선량분포를 달성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으며 향후 임상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프로폴리스 섭식이 X-선에 의해 손상된 랫드의 여러 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polis Feeding on Rat Tissues Damaged by X-ray Irradiation)

  • 이지훈;지태정;서을원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51-57
    • /
    • 2007
  • 본 연구는 프로폴리스가 방사선에 조사된 랫드의 여러 조직에 미치는 방사선 방어 효과를 조사하였다. 혈장성분 중 백혈구의 수는 방사선 조사 20일 경과 후에 방사선만 조사한 실험군보다 프로폴리스 섭식 실험군에서 높은 증가를 나타냈으며, 혈장 성분 중 GOT의 활성도는 GPT에 비해 낮아지고 있다. 간 조직 내 미량원소 중 Mg, Fe, Ca, Mn, Cu, Mo, Ni, As의 함량은 대조 군에 비해서는 증가하였으나 방사선만 조사한 실험군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즉 프로폴리스는 백혈구 수의 회복에 효과적이며 방사선으로 인한 간세포의 손상을 보호해 줌으로서 미량원소의 방출을 억제하고 GOT의 활성을 낮춰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조직학적으로 방사선조사 전에 프로폴리스를 섭식하면 정소에서는 훼손된 미분화 세포의 수가 감소하였고, 소장에서도 손상된 배상세포와 점막근판 조직의 형태가 부분적으로 정상적인 형태를 갖추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프로폴리스의 섭식은 방사선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조직을 보호하거나 훼손된 세포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Doxorubicin에 의한 치밀결합 강화 및 MMPs의 활성 억제를 통한 LNCap 전립선 암세포의 이동성 및 침윤성의 억제 (Inhibition of Migration and Invasion of LNCap Human Prostate Carcinoma Cells by Doxorubicin through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Activity and Tightening of Tight Junctions)

  • 최영현;신동역;김원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00-70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anthracycline 계열 항암항생제인 doxorubicin의 암세포 전이 억제 여부를 LNCap 전립선 암세포를 이용하여 이동성 및 침윤성 억제 효능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doxorubicin은 LNCap 세포의 이동성과 침윤성을 현저하게 억제시켰으며,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및 -9의 발현과 활성을 저해함과 동시에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IMP)-1 및 -2의 발현은 증가시켰다. Doxorubicin은 또한 tight junctions (TJs)의 전기적 저항성을 증대시켰으며, 이는 TJs의 주요 구성인자인 claudin family 인자들의 발현 억제와 연관성이 있었다. 따라서 LNCap 세포에서 doxorubicin에 의한 전이의 억제에는 최소한 TJ의 견고성 증대와 MMPs의 활성 억제가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광양 제철소 주변지역 거주자들의 폐기능과 영향 요인 (Pulmonary Function and Influence Factors among Residents around Gwangyang Steel Mill)

  • 홍은주;안기섭;정은경;최재호;;손부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82-192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pulmonary function of targeted general residents in the areas surrounding Gwangyang Steel Mill. Methods: An PFT (Pulmonary Function Test) was conducted from May 2007 to November 2007 on 974 target residents (438 male, 536 female), including an exposed group (674 people) who resided within a radius of 5 km from Gwangyang Steel Mill in Gwangyang-si, Jeollanam-do and a control group (300 people) who resided outside a radius of 15 km. A survey related to personal characteristics, life habits, respiratory diseases and allergic symptoms, medical histories and living environments of the residents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influential factors on pulmonary function. Results: As %$FEV_1$ and %FVC of the exposed group are 99.17% and 96.98%,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 control group are 105.47% and 101.91%, respectively, with the PFT values of the exposed group being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01), it turns out that the pollution in the industrial complex is likely to trigger a reduction in the pulmonary function of local residents. The odds ratio analysis result for asthma diagnosis history indicates that the odds ratios tend to be higher among surveyed residents who are living near above-average traffic volumes and are using beds, where it is statistically meaningful that especially the odds ratios are higher if the residences are closer to roads (p<0.01, CI=1.12-4.52). The factors that affect the FEV1 are identified as smoking, passive smoking, asthma diagnosis history, nasal congestion symptoms and allergic eye disease ($R^2$=0.154, p<0.001). The factors that affect the FVC are identified as smoking, passive smoking, asthma diagnosis history and allergic coryza ($R^2$=0.158, p<0.001).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 for the relevance of air pollution levels to pulmonary function ($FEV_1$, FVC) shows that FEV1 and FVC tend to decrease as the concentration of $O_3$ increases. Conclusions: We believe that this study may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measures for health effects on the residents and environmental health control measures for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industrial complex area.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반인의 방사선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염폐기물 임시저장시설 이격거리 평가 (Evaluation of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Temporary Storage Facility for Decontamination Waste to Ensure Public Radiological Safety after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 김민준;고아라;김광표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1-209
    • /
    • 2016
  •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광역의 방사성 오염부지가 발생되었으며, 이에 대한 제염작업으로 인하여 다량의 제염폐기물이 발생하였다. 일본에서는 이를 보관하기 위하여 각 지역에 임시저장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들 시설들은 피난지시해제가 이루어진 지역의 일반인에 대하여 방사선학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임시저장시설 인근에 거주하는 일반인의 방사선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임시저장시설 특성에 따른 거리별 공간 방사선량률 및 선량제한치를 만족하는 임시저장시설로부터의 이격거리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임시저장시설의 형태 및 크기, 복토 두께 등을 고려하였으며, MCNPX를 이용하여 방사선량률을 평가하였다. 복토에 의한 차폐효과는 두께가 10 cm일 때 68.9%, 30 cm일 때 96.9%, 50 cm 일 때 99.7%로 나타났다. 임시저장시설 형태에 따른 공간 방사선량률은 지상 보관형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반지하 보관형, 지하 보관형일 순으로 나타났다. 임시저장시설 크기에 따른 공간 방사선량률은 $5{\times}5{\times}2m$ 시설을 제외한 시설에 대하여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임시저장시설 내 적재된 제염폐기물에 의하여 자기차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크기가 $50{\times}50{\times}2m$이고, 복토가 없는 임시저장시설의 경우, 지상 보관형의 평가된 이격거리는 14 m(최소농도), 33 m(최빈농도), 57 m(최대농도)이며, 반지하 보관형의 이격거리는 9 m(최소농도), 24 m(최빈농도), 45 m(최대농도), 지하보관형의 이격거리는 6 m(최소농도), 16 m(최빈농도), 31 m(최대농도)로 나타났다.

인산석고 취급공정에서의 라돈농도 및 유효선량 수준 평가 (Evaluation of Effective Dose and Exposure Level of Radon in Process Handling NORM)

  • 정은교;장재길;김종규;김준범;권지운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3-291
    • /
    • 2018
  • Objectives: To monitor the radon concentration level in plants that handle phosphorus rock and produce gypsum board and cement, and evaluate the effective dose considering the effect of radon exposure on the human body. Methods: Airborne rad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alpha-track radon detectors (${\alpha}$-track, Rn-tech Co., Korea) and continuous monitors (Radon Sentinel 1030, Sun Nuclear Co., USA). Radon concentrations in the air were converted to radon doses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to evaluate the human effects due to radon. H (mSv/yr) = Radon gas concentration x Equilibrium factor x Occupancy factor x Dose conversion factor.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used $8nSv/(Bq{\cdot}hr/m^3)$ as the dose conversion factor in 2010, but raised it by a factor of four to $33nSv/(Bq{\cdot}hr/m^3)$ in 2017. Results: Radon concentrations and effective doses in fertilizer manufacturing process averaged $14.3(2.7)Bq/m^3$ ($2.0-551.3Bq/m^3$), 0.11-0.54 m㏜/yr depending on the advisory authority and recommendation year, respectively. Radon concentrations in the gypsum-board manufacturing process averaged $14.9Bq/m^3$ at material storage, $11.4Bq/m^3$ at burnability, $8.1Bq/m^3$ at mixing, $10.0Bq/m^3$ at forming, $8.9Bq/m^3$ at drying, $14.7Bq/m^3$ at cutting, and $10.5Bq/m^3$ at shipment. It was low because it did not use phosphate gypsum. Radon concentrations and effective doses in the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were $23.2Bq/m^3$ in the stowage area, $20.2Bq/m^3$ in the hopper, $16.8Bq/m^3$ in the feeder and $11.9Bq/m^3$ in the cement mill, marking 0.12-0.63 m㏜/yr, respectively. Conclusions: Workers handling phosphorous gypsum directly or indirectly can be assessed as exposed to an annual average radon dose of 0.16 to 2.04 mSv or 0.010 to 0.102 WLM (Working Level Month).

MV X선의 방사선 선량 증강 현상에서 물리적 특성과 이차입자의 발생 (Characterization of Physical Processes and Secondary Particle Generation in Radiation Dose Enhancement for Megavoltage X-rays)

  • 황철환;김정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791-799
    • /
    • 2019
  • 선량 증강 현상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특성과 증강 물질과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차입자 생성을 평가하였다. Geant 4, MIRD 두부 팬텀을 이용한 몬테카를로 전산 모사를 진행하였으며, 선형가속기에서 발생되는 4, 6, 10, 15, 18, 25 MV X선을 선원으로 적용하였다. 10, 20, 30 mg/g의 금(aurum), 가돌리늄(gadolinium) 증강 물질을 팬텀 내부 종양에 모사하였으며, 물리적 상호작용의 변화와 이차입자 발생에 따른 입자플루언스와 초기 에너지로부터 방사선가중인자를 고려하여 등가선량을 평가하였다. 방사선 선량 증강 물질에 의한 상호작용은 고 원자번호에서 기인하여 광전효과에 의한 에너지 흡수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 MV 이상의 에너지에서는 광핵반응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로 인해, 팬텀 내부에서 양성자, 중성자와 같은 이차입자 발생의 증가를 보였으며, 중성자에 의한 등가선량이 최대 424.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량 증강 현상에서의 에너지 전달, 흡수의 물리적 과정을 모사하여, 증강 현상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in-vivo, in-vitro 선량 증강 실험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ercutaneous Vertebroplasty versus Conservative Treatment Using a Transdermal Fentanyl Patch fo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 Oh, Younggyu;Lee, Byungjou;Lee, Subum;Kim, Junghwan;Park, Jin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2권5호
    • /
    • pp.594-602
    • /
    • 2019
  • Objective : Although surgical intervention, such as percutaneous vertebroplasty (PVP), is the standard treatment fo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OVCFs), its effectiveness and safety are unclear.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conservative treatment with that of PVP for acute OVCFs. Methods : Patients with single-level OVCFs who were treated conservatively with a transdermal fentanyl patch (TFP) or with PVP between March 2013 and December 2017 and followed-up for more than 1 year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Patients with pathologic fractures, fractures of more than two columns, or a history of PVP were excluded. Clinical outcomes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s) and radiographic factors were evaluated, including changes in the compression rate of the corresponding vertebral body at onset and after 12 months, sagittal Cobb angle at onset and after 6 and 12 months, and the incidence of adjacent compression fractures. Results : Of the 131 patients evaluated, 75 were treated conservatively using TFPs and 56 underwent PVP.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FP and PVP groups. Their baseline characteristics (including sex, level of fracture, and bone mineral density T-scores) were similar, but the TFP group was significantly younger. The overall VAS score for pain showed a greater decrease during the first month (1 week after PVP) in the PVP group but remained similar in the two groups thereafter. The compression rate after 12 months increased in the TFP group but decreased in the PVP group. Five patients in the PVP group, but none in the TFP group, experienced adjacent compression fractures within 12 months. Conclusion : We compared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between the TFP and PVP groups. The immediate pain reduction effect was superior in the PVP group, but the final clinical outcome was similar. Although the PVP group had a better-preserved compression rate than the TFP group for 1 year, the development of adjacent fractures was significantly higher. Although TFPs seemed to be beneficial in reducing the failure rate of conservative treatment, the possibility of side effects (22.6%, 17 out of 75 patients, in this study) should be carefully monito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