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ation-induced IL-6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Polysaccharide Ginsan from Panax ginseng on Liver Function

  • Song, Jie-Young;Medea-Akhalaia;Alexander-Platonov;Kim, Hyung-Doo;Jung, In-Sung;Han, Young-Soo;Yun, Yeon-So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5호
    • /
    • pp.531-538
    • /
    • 2004
  • Ginsan, a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Panax ginseng, has been shown to be a potent immunomodulator, producing a variety of cytokines such as TNF-a, IL-1$\beta$, IL-2, IL-6, IL-12, IFN-${\gamma}$ and GM-CSF, and stimulating lymphoid cells to proliferate.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some immune functions 1$^{st}$-5$^{th}$ days after ginsan i.p. injection, including the level of non-protein thiols (NPSH) as antioxidants, heme oxygenase (HO) activity as a marker of oxidative stress, zoxazolamine-induced paralysis time and level of hepatic cytochrome P-450 (CYP450) as indices of drug metabolism system, and activities of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lkaline phosphatase (ALP), total bilirubin, and albumin level as indicators of hepatotoxicity. Ginsan in the dose of 100 mg/kg caused marked elevation (1.7-2 fold) of HO activity, decrease of total CYP450 level (by 20-34%), and prolongation of zoxazolamine-induced paralysis time (by 65-70%), and showed som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mice. Ginsan treatment did not seem to cause hepatic injury, since serum AST, ALT, and ALP activities and levels of total bilirubin and albumin were not changed.d.

감태(Ecklonia cava)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 필름의 UV-B 조사에 의한 광손상으로부터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Ecklonia cava Film on UV-B-induced Photodamages)

  • 이효근;원유선;고은별;김윤아;김정은;김윤정;한채원;최민우;김재일;전유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714-720
    • /
    • 2017
  • Exposure to ultraviolet (UV) radiation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adverse effects in skin. Among the three types of UV rays, UV-B causes the most damaging effects, inducing sunburn and penetrating the outer skin, resulting in DNA mutations and skin canc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ormulate a UV-protective film by incorporating Ecklonia cava extracts. Cells covered with the film were exposed to UV-B (50, 80, and $100mJ/cm^2$).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film, we evaluated cell viability, intracellular ROS generation, and apoptosis. We found that all E. cava extracts absorbed UV light and exhibited protective effects against UV-B-induced photodamage. Among the protective films examined in this study, that incorporating an E. cava 70% ethanol extract (70EX) formed the most effective protection against UV-B in HaCaT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pplication of film containing E. cava extract could prevent UV-B-induced photodamage, and offer protection against the detrimental effects of UV radiation, thus maintaining physiological condition.

Induction of Oral Tolerance by Gamma-Irradiated Ovalbumin Administration

  • Yang, Hui;Lee, Junglim;Seo, Ji Hyun;Oh, Kwang Hoon;Cho, Young Ho;Yoo, Yung Ch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4-18
    • /
    • 2016
  • Oral administration of soluble antigen can induce peripheral tolerance to the antig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gamma-irradiated ovalbumin (OVA) can induce oral tolerance. To investigate this, we administrated intact or irradiated OVA to mice, induced allergic response using intact OVA and alum, then compared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Mice treated with gammairradiated OVA had less OVA-specific IgE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administered intact OVA. There was no difference in levels of OVA-specific IgG+A+M, IgG1, and IgG2a. Splenocytes of mice administered irradiated OVA showed similar OVA-specific T cell proliferation and secretion of IFN-γ and IL-4. However, there was an increase in IL-2 and a decrease of IL-6 secretion in mice treated with irradiated OV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amma-irradiated OVA have similar effects to intact OVA on antigen tolerance.

Effects of EGb 761 and Korean Red Ginseng on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and Protection Against UVB Irradiation in Murine Skin

  • Han, Seon-Kyu;Choi, Wook-Hee;Ann, Hyoung-Soo;Ahn, Ryoung-Me;Yi, Seh-Yoo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4권1호
    • /
    • pp.85-91
    • /
    • 2008
  • These days there is a constant possibility of exposure to UV radiation which can cause abnormal production of melanin and result in skin disease such as hyperpigmentation and melanoma. Many materials were investigated for skin whitening and protection against UV radiation.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melanogenesis inhibitory activities of Korean Red Ginseng (KRG, Ginseng Radix Rubra) and Ginkgo (EGb 761 Ginkgo Biloba) in an attempt to develop a new skin whitening agent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B16F10 melanoma cells were treated for 48 hr with KRG and EGb 761. The inhibitory effect on melanogenesis was measured and related cytokines and proteins expression were also investigated by RT-PCR and Western blotting. In addition, we also assessed the effects of these substances on the skin of C57BL/6 mice. Cell growth,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were inhibited effectively in B16F10 melanoma cells treated with KRG and EGb 761. Moreover, tyrosinase mRNA expression was inhibited clearly and melanogenesis related proteins (MRPs) containing tyrosinase, TRP1 and TRP2 were also reduced by KRG and EGb761, while cytokines such as IL-$1{\beta}$ and IL-6 were induced. In the case of UV irradiated mice, we observed induction of cytokine mRNA levels and reduction of MRPs mRNA expression. In addition, a decrease in pigmentation from treatment with KRG and EGb 761 on the skin of mice was observ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RG and EGb 761 inhibit melanogenesis in B16F10 cells and have display 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UVB. Therefore, we suggest that KRG and EGb 761 are good candidates to be used as whitening agents and UVB protectors for the skin.

이차원전기영동법을 이용한 길항세균 Bacillus licheniformis DM3와 이의 항진균 활성 결여 돌연변이균주간 단백질 비교 분석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Proteins between Bacillus licheniformis DM3 and Its Antifungal Activity Deficient Mutant)

  • 이영근;김재성;정혜영;장유신;장병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3-209
    • /
    • 2003
  • 항진균 활성균주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DM3 균주를 대천 바닷가에서 수집된 진흙 시료로부터 분리하였으며 API 50CHB kit를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licheniformis로 동정되었다. 이 균주는 12종의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감마선($^{60}Co$)을 조사하여 항진균 활성 결핍 돌연변이체(mDMB)를 유도한 후, 이차원전기영동으로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DM3와 mDM3에만 존재하는 각각 4종과 3종의 단 단백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2-DE 결과 B. licheniformis DM3에서 spot 1은 serine hydroxymethyltransferase(45.0kDa), spot 2는 hypothetical protein(40.7 kDa), spot 3는 NifU protein homolog(15.4 kDa), 그리고 spot 4는 resolvase(12.5 kDa)와 상동성을 지닌 단백질로 동정되었고 B. licheniformis mDM3에서만 발현된 spot 5는 lysozyme(18.1 kDa)과 spot 6, 7은 alkyl hydroperoxide reductase(15.6 kDa)으로 동정되었다. B. licheniformis DM3에서 이들 단백질들의 항진균 활성 관련 여부를 규명하기 위해서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릅순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유래 피부각질형성세포와 피부섬유아세포에서의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Aralia elata ethanol extract against skin damage in UVB-exposed human keratinocytes and human dermal fibroblasts)

  • 양지원;곽충실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6호
    • /
    • pp.429-43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피부의 표피와 진피에 분포하는 HaCaT 세포와 HDF 세포를 이용하여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두릅순 추출물의 처리가 UVB에 의한 피부광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피부 염증반응과 관련한 사이토카인과 피부의 주요 구성 단백질인 collagen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MMP-1, type-I procollagen, TRPV-1 등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HaCaT에 두릅순 추출물을 24시간 전처리한 경우 UVB ($55 mJ/cm^2$) 노출로 인해 증가한 염증매개인자인 IL-6, IL-8, $PGE_2$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피부 collagen의 정상적인 구조 및 양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들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HaCaT에서는 UVB 조사로 인해 증가한 TRPV-1과 MMP-1 단백질의 발현이 두릅순 에탄올 추출물의 전처리로 모두 감소하였고, HDF에서는 UVB를 조사한 대조군에 비하여 두릅순 추출물 처리가 MMP-1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collagen의 전구체인 type-I procollagen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이들 결과들로부터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두릅순 70% 에탄올 추출물은 피부세포에서 UVB에 의한 염증반응을 억제시키는 동시에 피부 collagen의 감소를 억제시킴으로써 피부 광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천연 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고 본다.

수막종에 대한 선형가속기형 정위방사선수술 (LINAC-based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Meningiomas)

  • 신성수;김대용;안용찬;이정일;남도현;임도훈;허승재;여인환;신형진;박관;김보경;김종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87-94
    • /
    • 2001
  • 목적 : 수막종 환자에 대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의 임상 경과, 영상의학적 반응, 그리고 신경학적 후유증을 분석하여 수막종에서 정위방사선수술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2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26명의 수막종 환자에 대해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을 시행하였다. 9명은 외과적 절제술이 선행되었으며 나머지 17명은 정위방사선수술만 시행되었다. 대상환자들의 남녀 비는 7:19이었고, 연령 분포는 $14\~67$세(중앙값 51세)이었다. 정위방사선수술 당시 17명에서 병변으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을 보였다. 종양 용적의 범위는 $0.7\~16.5\;cm^3$ (중앙값 $4.7\;cm^3$)이었고, 정위방사선수술 시 처방선량은 최대선량 기준으로 $46\~90\%$ (중앙값 $80\%$) 등선량곡면에 $10\~20\;Gy$ (중앙값 15 Gy)이었다. 임상 추적관찰 기간은 $1\~71$개월(중앙값 27개월)이었고 영상 추적관찰 기간은 $1\~52$개월(중앙값 25개월)이었다. 결과 : 정위방사선수술 당시 임상 증상이 있었고 임상 추적관찰 기간이 1년 이상인 14명 중 13명$(93\%)$에서 증상의 소멸 및 완화를 보였으며, 나머지 1명은 치료 후 4개월부터 종괴효과로 증상이 악화되어 7개월 후에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영상 추적관찰 기간이 1년 이상인 14명의 환자들 중 7명$(50\%)$은 정위방사선수술 후 $6\~25$개월 (중앙값 11개월)에 종양 크기의 감소를 보였고, 6명$(43\%)$은 종양 크기의 변화가 없었다. 종양 크기의 증가를 보인 1명$(7\%)$은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6명$(23\%)$의 환자에서 정위방사선수술 후 새로운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하였으며, 이 중 5명은 일시적 후유증으로 스테로이드 투여 등의 보존적 치료 후에 증상이 소멸되었고, 1명은 정위방사선수술로 인한 조직 괴사로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결론 : 정위방사선수술을 이용한 수막종의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이 불가능한 경우, 불완전한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그리고 수술 후 재발한 경우에 안전하고 매우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더 오랜 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며 종양용적이 크고 주위에 결정장기가 있는 경우에는 신경학적 후유증을 줄이기 위해 좀 더 신중한 치료 계획 및 선량 결정이 필요하다.

  • PDF

Anti-Inflammatory Effect of Ixeris dentata on Ultraviolet B-Induced HaCaT Keratinocytes

  • Kim, Sung-Bae;Kang, Ok-Hwa;Keum, Joon-Ho;Mun, Su-Hyun;An, Hyun-Jin;Jung, Hyun-Ju;Hong, Seung-Heon;Jeong, Dong-Myong;Kweon, Kee-Tae;Kwon, Dong-Yeul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60-66
    • /
    • 2012
  • Human skin is the first line of defense for the protection of the internal organs of the body from different stimuli. Ultraviolet B (UVB) irradiation induces skin damage and inflammation through the secretion of various cytokines, which are immune regulators produced by cells. To prevent the initiation of skin inflammation, keratinocytes that have been irreversibly damaged by radiation must be removed through the apoptotic mechanism. Ixeris dentata (family: Asteraceae) is a perennial medicinal herb indigenous to Korea. It has been used in Korea, China, and Japan to treat in digestion, pneumonia, diabetes, hepatitis, and tumors. To gain insight into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I. dentata, we examined its influence on UVB-induce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s), by observing cells that were stimulated with UVB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I. dentata. In the present study,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was determined by perform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to measure the activ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s). I. dentata inhibited UVBinduced production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interleukin (IL)-6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 I. dentata inhibited the UVB-induced expression of cyclooxygenase (COX)-2. Furthermore, I. dentata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c-Jun NH2-terminal kinase and p38 MAPKs, suggesting that it inhibits the secretion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and IL-8, and COX-2 expression, by blocking MAPK phosphory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 dentate can potentially protect against UVB-induced skin inflammation.

히스톤탈아세틸효소 억제제 Trichostatin A에 의한 인간 두경부암 셰포주의 방사선 감수성 증강 (Trichostatin A, a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Potentiated Cytotoxic Effect of ionizing Radiation in Human Head and Neck Cancer Cell Lines)

  • 김진호;신진희;지의규;우홍균;김재성;김일한;하성환;박찬일;강위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138-141
    • /
    • 2004
  • 목적 : 본 연구진이 기왕에 입증한 바 있는 히스톤탈아세틸효소 억제제 trichostatin A (TSA)가 나타내는 방사선 감수성 증강 작용이 두경부암 세포주에서 발생하는 정도를 실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인간 두경부암 세포주인 HN-3과 HN-9를 0, 50, 100, 200 nM의 TSA에 18시간 동안 전처치시킨 후 각각 0, 2, 4, 6, 8 Gy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세포생존곡선은 clonogenic assay를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linear quadratic 모델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방사선 조사 전 TSA처리는 HN-3과 HN-9 세포주의 방사선 감수성을 증강시켰다. 50 nM의 TSA로 처리된 HN-9 세포주에서 2 Gy 조사후 생존분획(SF2)은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HN-3 세포주는 200 nM의 TSA 처리 후 SF2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HN-3과 HN-9 세포주에서 200 nM TSA의 sensitizer enhancement ratio는 각각 1.84와 7.24였다. 결론 : 방사선 조사 전 히스톤탈아세틸효소 억제는 인간 두경부암 세포주의 방사선 감수성을 증가시켰으며, 이 증강 작용이 암세포주에서의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일 가능성이 크다고 제안한다.

혈관조영상 잠재혈관기형에 대한 선형가속기형 정위방사선수술의 임상경험 (Clinical Experience of LINAC-based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Angiographically Occult Vascular Malformations)

  • 김대용;안용찬;이정일;남도현;임도훈;이정은;여인환;허승재;노영주;신성수;홍승철;김종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1-9
    • /
    • 2001
  • 목적 : 혈관조영상 잠재혈관기형(angiographically occult vascular malformation, AOVM)의 치료에 정위방사선수술을 적용하여 병변의 영상학적 반응과 임상 경과, 치료에 대한 부작용을 분석하여 AOVM의 치료 시 정위방사선수술의 역할을 정립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2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AOVM으로 진단 받은 11명(12병변)의 환자에 대하여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병변은 자기공명영상에서 병변의 중심부에는 이질적인 고신호를 보이며, 저신호의 테두리로 둘러 쌓여 경계가 분명한 혈관기형 소견을 보였다. 정위방사선수술 시 처방선량은 회전중심점 선량 기준으로 67~80% (중앙값 80%) 등선량곡면에 13~25 Gy (중앙값 16 Gy)이었으며, 모두 단일 회전중심점을 이용하였고, 8~20mm (중앙값 14 mm) 크기의 원형 콜리메이터를 사용하였다. 결과 : 추적관찰 기간은 12~56개월(중앙값 42개월)이었다. 재출혈이 일어난 경우는 3예로 치료 후 5, 6, 12개월 때 각 1차례씩 발생하였고 이후 추가적인 재출혈은 없었다. 정위방사선수술로 인한 조직괴사는 2예에서 발생하였으며, 모두 영구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을 초래하였다. 임상증세를 동반하지 않은 채 T2 강조영상에서 병변 주위의 부종이 관찰된 경우도 1예 발생하였다. 결론 : 정위방사선수술을 이용한 AOVM의 치료는 재출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동정맥기형에 비하여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치료 환자의 선택과 처방선량의 결정 시에는 보다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