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chis branch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Panicle characteristics of Japonica × Indica type rice according to planting density

  • Park, Hong-Kyu;Ku, Bon-Il;Hwang, Jae-Bok;Bae, Hui-Su;Park, Tae-Seon;Choi, In-Bae;Kim, Hak-Sin;Lee, Geon-Hw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32-232
    • /
    • 2017
  • Rice yields ar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spikes per unit area, the number of rice per grain, the rate of ripening, and the weight of brown rice gravel. Among these yield component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rice is the number of rice per grain and the number of rice per grain. The characteristics of rice panicle are influenced by genetic factors rather than environmental factors and revealed that it had different genetic characteristics in each of Japonica, Indica and Japonica ${\times}$ Indica type. In general, the number of rice per grain is affected by number of secondary rachis branches and generated spikelets number of secondary rachis branches.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in according to the planting density of two varieties of Jap. ${\times}$ Ind. type. Number of primary rachis branches and number of primary rachis branches of Palbangmi variety were 9.9 ~ 10.6 and 53.4 ~ 58.5, respectively. Number of secondary rachis branches and number of secondary rachis branches were 25.8 ~ 29.6, 85.8 ~ 101.4, Number of tertiary rachis branch and number of tertiary rachis branches were 1.0 ~ 2.4 and 2.0 ~ 6.1, respectively. Number of primary rachis branches and number of primary rachis branches of Semimyeon variety were 8.6 ~ 9.5 and 43.1 ~ 47.8, respectively. Number of secondary rachis branches and number of secondary rachis branches were 21.0 ~ 24.9, 66.2 ~ 77.9, Number of tertiary rachis branch and number of tertiary rachis branches were 1.6 ~ 2.6 and 3.8 ~ 6.3, respectively. The ratio of the spikelets of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rachis branches of Palbangmi variety were 37.7 ~ 39.4, 58.0 ~ 60.5 and 1.2 ~ 3.1%, respectively, and those of Semimyeon were 40.1 ~ 42.6 55.0 ~ 56.4 and 2.5 ~ 3.4% respectively. Number of primary and secondary rachis branches of Palbangmi variety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planting density. However, generated spikelets number of secondary rachis branches and ripening rate were higher with lower planting density. The number of secondary rachis branches and generated spikelets number of secondary rachis branches per acre decreased as the planting density increased in the Semimyeon variety

  • PDF

벼 작기이동에 따른 조만성별 수상의 착생변이 (Variation of rachis branches in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maturing types by various planting times.)

  • 심재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85-290
    • /
    • 1996
  • 조만성(早晩性) 차이가 뚜렷한 한생종(旱生種)으로 오대(五臺)벼와 신운봉(新雲峰)벼, 중생종(中生種)으로 청명(淸明)벼와 장안(長安)벼, 만생종(晩生種)으로 동진(東津)벼와 만금(萬金)벼 둥의 6개 품종을 가지고 호남농업시험장(湖南農業試驗場) 수도도장(水稻圖場)에서 1993년 5월 5일부터 7월 5일까지 15일 간격으로 5회에 걸쳐 작기이동으로 이질(移秩)하여 1,2차(次) 지경(枝梗)과 수상(穗相)의 착생변이(着生變異)에 대한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다. 1. 익산지방의 적기이앙(移秧)인 6월 5일 기준으로 조생종(早生種)의 1차지경수(次枝梗數)는 5월 5일 이앙(移秧)부터 5 월 20일 이앙(移秧) 사이의 조기이앙(移秧)에서 많았으며 중(中), 만생종(晩生種)은 적기이앙(移秧)보다 약간 늦은 6 월 20일 이앙(移秧)에서 가장 많았다. 2. 2차지경수(次枝梗數)는 조만성(早晩性)에 관계없이 6월 5일 이앙(移秧) 부터 6월 20일 이앙(移秧)사이에서 많았으며 1차지경수당(次枝梗數當) 2차지경수(次枝梗數)의 증가율(增加率)은 5월 5일 이앙(移秧)에서는 낮았으나 5월 20일 이앙(移秧)에서 급격히 증가(增加)하였고 조생종(早生種)은 6월 20일, 중생종(中生種)은 6월 5일에 최고(最高)에 달했으나 만생종(晩生種)은 6월 5일 이후 큰 차이가 없었다. 1차(次) 및 2차지경(次枝梗) 착생립수(着生粒數)은 조만성(早晩性)에 관계없이 5월 5일 이앙(移秧)에서 적었지만 7월 5일 이앙(移秧)인 만기이앙(晩期移秧)에서 많이 착생하는 경향이었다. 4. 착립밀도(着粒密度)도 5월 5일 이앙(移秧)보다는 만기이앙(移秧)에서 높은 경향이었는데 조생종(早生種)은 7월 5일 이앙(移秧)에서 높았지만 중(中), 만생종(晩生種)은 6월 20일 이앙(移秧)에서 높았다.간(晩期刈取乾草區間)의 소화율(消化率)을 비교하면 1%수준(水準)의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TEX>를 첨가(添加)하므로서 양질(良質)의 silage를 생산(生産)할 수 있다고 사료(思料)된다.향이 없었으나 골목 $m^3$당 접종량(接種量) 4.0kg구가 1.63g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보면 전호(前胡)의 용도별(用途別) 적정(適正) 재식거리(栽植距離)는 채소형(菜蔬型) $30\times20cm$, 약재형(藥材型) $60\times30cm$, 채소(菜蔬) 약재(藥材) 복합형(複合型) $45\times20cm$에서 지하부(地下部)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하면서 생엽(生葉) 및 건근(乾根) 수량(收量)이 증수(增收)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퇴비(堆肥) 등(等)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 시용(施用)이 효고적(效果的)이었다.DS-PAGE법(法)으로 단백질(蛋白質) 양상을 등숙시기별(等熟時期別)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두 계통간(系統間) 질적(質的)인 차이(差異)는 보이지 않았으나 시기별(時期別)로는 양적차이(量的差異)를 나타냈다.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다.($P{\leq}0.01%$). 5. NEL 및 starch value 환경온도(環境溫度)가 상승(上昇)됨에 따라 감소(減少)된다. 4 엽기(葉期) sorghum식물(植物)의 환경온도(環境溫度)를 달리 하였을 때 NEL가치(價値)는 각각(各各) 4.87MJ($30/25^{\circ}C$), 5.46MJ($25/20^{\circ}C$) 및 5.81MJ/kg($18/8^{\circ}C$)로 변(變)하여 고온(高溫)에서

  • PDF

벼 품종 밀양 23호와 고시히카리의 수형태와 영화 퇴화 차이 (Differences in Panicle Structure and Spikelet Degeneration in Two Different Types of Rice Cultivars; Milyang 23 and Koshihikari)

  • 강시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33-840
    • /
    • 1997
  • 벼 다수성 통일계 밀양 2003와 일본형 품종 고시히카리를 1/ 5,000 a 포트에 재배하여, 유수분화기부터 퇴화 영화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Cryo-SEM 관찰하고, 수내 위치별 형성 특성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1. 퇴화영화는 수 하단부 1차지경의 영화시원체가 발육하여 외영과 내영이 서로 교합한 이후에 수 전체에서 거의 동시적으로 발생하였는데, 처음에는 주로 외영 및 호영의 일부 표면세포의 고사 파괴로부터 시작되어 전표면세포 및 소지경 표면의 파괴로 발달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2. 출수 7일후에 조사한 1수당 분화영화수 및 퇴화영화수는 밀양 2003가 각각 약 240개, 80개인데 비교하여, 고시히카리는 각각 87개, 6개로, 밀양 2003가 고시히카리보다 3배 가까이 많았다. 또한 밀양 2003는 특히 중하위의 1차지경에서 많은 2차 및 3차지경의 영화가 형성되며, 퇴화율도 약 2.5배 고시히카리보다 높았다. 3. 1수당 영화수(Y)와 1차, 2차, 3차 지경수(각각 X$_1$, X$_2$, X$_3$)와의 관계식은 고시히카리의 경우 기존의 보고와 같이 Y=5.5X$_1$+3.0X$_2$가 적합하였으나, 밀양 2003의 경우 분화영화수의 경우는 Y1=5.7X$_1$+3.5X$_2$+2.8X$_3$, 정상영화수의 경우는 Y2=5.6X$_1$+3.2X$_2$+2.4X$_3$가 적합하였다.

  • PDF

벼의 품종별 이앙시기가 미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IV. 지경위치별 미립의 외관특성과 미질특성의 변화 (Characteristics of Grain Quality at Different Transplanting Times among Rice Cultivars)

  • 고재권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2-156
    • /
    • 199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grain appearance, chemical components. gelatinization, and palatability of cooked rice on each rachis branches as harvested from the transplanting plot of May 20 and June 5 in each two varieties of early-maturing and late-maturing types. In evaluation of rachis branches, the percentage of ripended grain and 1,000 grain weight were found to be high and heavy at upper part of panicle. The factors influencing palatability such as maximum viscosity and breakdown as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and hardness, apringi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as texture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were found to be high at upper part of panicle , indicating the parlability was favored more at upper part than at lower part of panicle due to the genetics and physiological metabolism of rice plants.

  • PDF

통일형 벼품종들의 탈립성과 지경강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rain Shattering and Pedical Strength in Tongil Type Rice)

  • 박준일;최원열;송동석;진일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7-153
    • /
    • 1991
  • 통일형 품종들의 탈립성과 지경강도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서 재래종 26, 통일형 30, Japonica 형 30 품종을 공시하여 낟알의 탈입률, 지경강도 및 섬유세포의 길이와 폭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일형 품종들의 낟알 탈락률은 평균 11.2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재래종들로서 평균 2.56% 였고, Japonica 형 품종들이 가장 낮아서 평균 0.17%였으며, 또한 통일형 품종들은 낟알과 소지경사이에 형성되는 이층조직부위에서의 탈락도 많았으나, 지경의 절단에 의한 탈락도 많은 편이었다. 2. 통일형 품종들에 있어서 1차지경의 인장강도 및 항곡강도는 각각 평균 217g, 20.5g으로 재래종 Japonica 형 품종 보다 약하였다. 3. 통일형 품종들에 있어서 섬유세포의 길이는 평균 616$\mu\textrm{m}$로 Japonica 형 품종이나 재래종보다 짧았으나, 섬유세포의 폭은 통일형이 7.6$\mu\textrm{m}$ 로서 재래종보다는 작고, Japonica 형 품종들보다는 큰 경향이었다. 4 낟알의 탈락율은 지종의 인장강도, 항곡강도 및 섬유세포의 길이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Shattering-related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Speed Based on Grain Type and Esterase Isozyme Zymogram in Korean Off-rype Rice

  • Kim, Dong-Kwan;Jin, Il-Doo;Kim, Yeon-Gyu;Min, Kyung-Soo;Jung, Byung-Gwan;Kim, Yong-Ja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9-35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hattering habit and germination of offtype rice plants collected in Korea which were classified into seven groups based on grain characteristics. In the long-grain red rice group, the short-grain red rice group, the long-grain normal rice group, and the long-grain waxy rice group, the tensile strength of grain and primary rachis branch was relatively low and the fiber cell of the primary rachis branch was short. Characteristics of shattering-related traits and germination in relation to grain and esterase isozyme zymogram type of off-type rice plants. In most lines of the extremely late and sterile rice group, the tensile strength of grain was low, while that of primary rachis branch was high, and the fiber cell was long. However, in the type 1 esterase isozyme zymogram(EIZ) lines among the long-grain normal rice group and the type 6 and 5+6 EIZ plants among the extremely late and sterile rice group, the tensile strength of grain was relatively higher. The long-grain waxy rice group and the type 3 EIZ lines among the long-grain red rice group, showed higher germinability than did cultivars which are known to germinate well even in low-temperature. The other off-type rice group, except for the short-grain waxy rice group and type 1 and 7 EIZ lines among the long-grain normal rice group, had higher germination speed than that of the cultivars.

벼의 Source와 Sink 관련형질의 생리생태적 반응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Response of Agronomic Characters Related to Source and Sink in Rice)

  • 최수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9-245
    • /
    • 1989
  • 벼의 Source와 Sink 관련형질의 동일주내 개체간 변이 및 상호관련성을 알기 위하여 조만성이 다른 6개벼 품종의 지상부 생육제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동일건재에서 개체간 제형질의 편이 및 변이는 절간장은 하위절간, 엽신은 지엽, 엽 폭은 하위엽신에서 컸고, 수에 있어서는 2차지경과 2차지경 착생영화수에서 컸다. 2. 식물체 부위별 Source와 Sink 관련기관과 영화착색수와의 관계는 영화수는 제2엽신장 및 엽면적, 제2절간장, 제3정간태에 영향을 주는 고도의 유의적인 정상관관계이었다. 3. 절위별 절간장 및 엽위별 엽신장과 수장과의 상관관계도 제2엽신장 및 2정간장에 수장이 영향을 받는 정도가 컸다. 4. 1, 2차지경수와 영화수와의 관계는 1차지경보다는 2차지경수가 많을수록 영화수도 증가하는 상관관계이었다. 5. 식물체의 무기성분조성은 엽신, 엽초, 간, 수의 순위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 PDF

질소 시비량, 분시방법 및 유수 형성기의 차광처리에 따른 벼의 영화수 변이 (Variation in Spikelet Number under Different Nitrogen Levels and Shading Treatments during Panicle Formation Stage of Rice)

  • 이변우;박동하;최일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79-485
    • /
    • 2002
  • 일반계인 추청벼, 화성벼와 통일계인 남풍벼를 공시하여 질소시비량(6, 12, 18, 24, 30kg/10a), 분시방법(기비-분얼비-수비; 50-25-25%, 30-30-40%) 및 생식생장기의 차광처리 (유수분화 후 15일, 30일 및 출수전 30일간)가 단위면적당 영화수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수수는 질소시비량 24kg/10a까지 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분시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생식생장기의 차광처리에 의해 추청벼에서만 수수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는데, 생식생장기 30일간의 차광처리에서 수수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2. 수당 1차지경수는 질소시비량 18kg/10a까지 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증가폭은 크지 않았으며, 분시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단위면적당 1차지경수는 질소시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이는 수당 1차지경 증가보다는 단위면적당 수수의 증가가 주원인이었다. 차광에 따라서는 추청벼에서만 단위면적당 1차지경수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 이는 수당 1차지경수의 감소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단위면적당 수수의 감소에 의한 것이었다. 3. 수당 2차지경 분화수는 질소 12-18kg/10a까지는 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2차지경 퇴화수는 분화수가 많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수당 2차지경수는 질소 시비량에 따른 차이는 작았다 생식생장기의 차광처리에 의해 수당 2차지경분화수에는 차이가 없는 반면, 퇴화 2차지경수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단위면적당 2차지경수는 질소시비량이 18kg/10a까지 증가함에 따라 많아졌으나 분시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차광처리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단위면적당 영화수는 18-24 kg/10a까지는 질소시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고, 분시방법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생식생장기 차광에 의해 단위면적당 영화수가 감소되었는데, 유수분화기후 30일간의 차광처리에서 가장 컸고, 수잉기 15일 차광처리에서 감소정도가 가장 적었다. 5. 단위면적당 영화수의 변이에는 영화수 구성요소중 단위면적당 수수와 2차지경상의 영화수의 변이가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컸으며, 1차지경의 기여도가 가장 적었다.

국내에서 육성된 벼 품종들의 이삭형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Panicle Traits for 178 Rice Varieties Bred in Korea)

  • 박현수;김기영;모영준;정진일;강현중;김보경;신문식;고재권;김선형;이부영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9-180
    • /
    • 2010
  • 국내에서 육성된 178개 품종을 이용하여 12개 이삭형질에 대한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일형이 자포니카형보다 이삭길이는 길었고 이삭목은 두꺼웠다. 또한 수당립수, 총지경수, 2차 지경수, 2차 지경 총립수, 2차 지경 평균립수 및 1차 지경당 2차 지경수 각각에서 많았다. 반면에 자포니카형이 통일형보다 이삭추출은 양호하였고 1차 지경 평균립수도 약간 많았다. 12개 이삭형질 값을 가지고 평균 연결법을 이용하여 178개 품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4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Group I은 자포니카형 133품종, Group II는 자포니카형 24품종, 통일형 6품종, Group III은 자포니카 1품종, 통일형 11품종, Group IV에는 농안벼가 포함되었다. 12개 이삭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삭목 두께는 이삭길이, 2차 지경 총립수 및 수당립수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당립수는 총지경수, 2차 지경 총립수, 2차 지경수, 1차 지경당 2차 지경수, 2차 지경 평균립수와 정의 상관을 보였다. 총지경수는 2차 지경수, 수당립수, 2차 지경 총립수, 1차 지경당 2차 지경수와 정의 상관을 보였다.

Effects of Nitrogen Level and Seedling Number on Panicle Structure in Japonica Rice

  • Kim, Bo-Kyeong;Kim, Ki-Young;Oh, Myung-Kyu;Shin, Mun-Sik;Ko, Jae-Kwon;Lee, Jae-Kil;Kang, Hee-Kyo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0-126
    • /
    • 2003
  • Four different rice varieties, Sindongjinbyeo, Dongjin #1, Saegyehwabyeo, and Iksan 467, were transplanted under three different nitrogen levels and two different seedling numbers per hill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panicle traits under different cultural conditions and to propose the ideal panicle structure in Japonica rice. Sindongjinbyeo and Iksan 467 were characterized by more primary rachis branches (PRBs) per panicle and more grains on PRB than other cultivars. The two varieties also had fewer secondary rachis branches (SRBs) per PRB and fewer grains on SRB per PRB. These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resulted in higher ripened grain rate, contrary to that of Dongjin #1 and Saegyehwabyeo.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PRB number per panicle and grain number on PRB per panicl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ipened grain rate, while SRB number per panicle, number of grains on SRB per panicle, SRB number per PRB, number of grains on SRB per PRB and grain number per panicl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ripened grain rate. Therefore, the number of grains on PRB per panicle, SRB number per PRB and the number of grains on SRB per PRB were the appropriate criteria for determining and achieving higher ripened grain rate in rice. High ripened grain rate over 90% was obtainable with over 12.5 PRBs per panicle and 63 grains on PRB per panicle, and with under 1.7 SRBs per PRB, 5 grains on SRB per PRB, 130 grains per panicle, and 14 panicles per hill. The study recommended that for over 90% high ripened grain rate, the critical limiting factors should be under 2 SRBs per PRB, 6 grains per PRB, and 130 grains per panicle, irrespective of the PRB number per panicle and the number of grains on P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