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bbit proximal tubule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2초

생약제제인 이공산(異功散)의 Cisplatin 유도 신장독성 보호 효과 (Preventive Effect of Crude Drug Preparation (E-kong-san) on Cisplatin induced Nephrotoxicity)

  • 노영수;안규석;장성구;정지창;이경태
    • 생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58-264
    • /
    • 1998
  • Nephroprotective effects of a crude drug-preparation (Ekongsan) were determined from cisplatin induced renal injury in vivo and in vitro. Ekongsan decreased cisplatin induced the cytotoxicity on rabbit kidney proximal tubule and human renal cortical cells by MTT assays and sustained glucose consumption on cisplatin-induced human renal cortical tissue. Levels of creatinine and blood urea nitrogen (BUN) in serum after administration of cisplatin (0.75 mg/kg, i.p.) to Ekongsan (0.75 g/kg/d, p.o.) pretreated rats were markedly lower compared to those of cisplatin-treated rats. Moreover, the administration of Ekongsa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oss of body weight of cisplatin-injected ra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kongsan is an active prescription in protection against nephrotoxicity of cisplatin.

  • PDF

1,3-비스페닐치오 프로판을 배위자로 한 백금 (II)착체의 선택적 세포독성 (Selective Cytotoxicity of New Platinum (II) Complex Containing 1,3-Bis-phenylthiopropane)

  • 노영수;윤기주;이경태;장성구;정지창
    • 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69-377
    • /
    • 1999
  • A new series of highly water soluble platinum(II) complexes {Pt(II)[1,3-bis(phenylthio) propane](trans- -1,2-diaminocyclohexane) (PC-1) and Pt(II)[1,3-bis-(phenythio)propane] cis-1,2-diaminocyclohexane(PC-2)} wer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by their elemental analysis and by various spectroscopic techniques[infrared(IR), 13C-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In vitro antitumor activity of new Pt(II) complexes was tested against P-388 and L-1210 mouse lymphocytic leukemia cell lines, PC-14 / P, PC-14/ADM and PC-14 / CDDP human pulmonary adenocarcinima, DU-145 human prostate carcinoma, HT-1376 human bladder carcinoma, ZR-75-1 human breast carcinoma, MKN-45/P and MKN-45/CDDP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 lines using colorimetric MTT[3-(4,5-dimethyl 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assay for cell survival and proliferation. PC-1 showed active against L-1210, P-388 leukemia, human lung, stomach, prostate, bladder and breast cancer cell lines, and the antitumor activity of these compounds were comparable or superior to those of PC-2 and displatin. The nephrotoxicities of PC-1 and PC-2 were found quite less than that of cisplatin using MTT and [3H] thymidine uptake in rabbit proximal tubule cells and human kidney cortical cell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novel platinum (II) complex compound (PC-1) represents a valuable lead in the development of a new anticancer chemotherapeutic agent capable of improving antitumor activity and low nephrotoxicity.

  • PDF

가토 신장 근위세뇨관의 Brush Border 및 Basolateral Membrane Vesicle에서 PAH 이동에 미치는 pH의 영향 (Effect of pH on PAH Transport in Brush Border Basolateral Membrane Vesicles of Rabbit Proximal Tubule)

  • 김용근;우재석;이상호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2권2호
    • /
    • pp.281-293
    • /
    • 1988
  • 가토 신장 근위세뇨관에서 분리한 brush border membrane vesicle(BBMV)과 basolateral membrane vesicle(BBMV)에서 rapid filtration 방법으로 PAH 이동에 대한 pH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BLMV에서 용액내 Na이 없을 때 외부 $pH(pH_0)$를 8.0에서 5.5까지 감소시켰을 때 probenecid-sensitive PAH 이동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용액내 Na이 있을 때 $pH_0$가 8.0에서 6.0까지 변화하여도 PAH 이동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5.5까지 더욱 감소시켰을 때 PAH 이동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vesicle 내 외에 pH gradient없이 $pH_0$를 내부 $pH(pH_1)$와 동일하게 변화시켰을 때 PAH 이동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PH gradient가 없을 때 시험된 pH범위에서 Na은 PAH 이동을 증가시켰다. BBMV에서도 BLMV에서와 유사한 pH 의존성을 보였으나 Na의 존재는 PAH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BLMV에서 동력학적 분석 결과 일정한 $pH(pH_1)$에서 $pH(pH_0)$ 감소는 Km에 변화없이 PAH 이동에 대한 Vmax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BBMV에서 PAH 이동에 대한 pH의 영향은$OH^-/PAH$교환기전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되나 BLMV에서 pH 의존성은 음이온 교환기전만으로 설명될 수 없다. 또한 BLMV에서는 PAH 이동이 Na에 의존하나 BBMV에서는 Na에 의존하지 않음을 가르킨다.

  • PDF

황금약침액(黃芩藥鍼液)이 가토(家兎)의 신피질절편(腎皮質切片)에서 Oxidant로 유발된 유기양이온의 이동장애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Extract on Oxidant-Induced Inhibition of Organic Cation in Rabbit Renal Cortical Slices)

  • 손인석;조태성;권혜연;조미형;윤현민;장경전;송춘호;안창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211-220
    • /
    • 2002
  • Objectiv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extract (SbG) exerts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nt-induced alterations in organic cation transport in the renal proximal tubule. Methods : Organic cation transport was estimated by examining alterations in tetraethylammonium (TEA) uptake in rabbit renal cortical slices. The slices were treated with 0.2 mM tBHP for 60 min at $37^{\circ}C$. tBl-IP caused an inhibition in TEA uptake by renal cortical slices. Such an effect was accompanied by depressed Na+-K+-ATPase activity and ATP depletion. Result : SbG prevented tBHP-induced inhibition of TEA uptake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the concentration ranges of 0.05-0.1%. SbG also prevented H2O2-induced reduction in TEA uptake. tBHP-induced inhibition of Na+-K+-ATPase activity and ATP depletion were significantly prevented by 0.05% SbG. Oxidants increased LDH release, which was blocked by SbG. Oxidants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lipid peroxidation and its effect was prevented by SbG.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bG prevents oxidant-induced alterations in organic cation transport in rabbit renal cortical slices. Such protective effects of SbG may be attributed to inhibition of peroxidation of membrane lipid.

  • PDF

토끼에서 cisplatin에 의해 유도된 급성 신부전시 황금(黃芩;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Extract on Cisplatin-Induced Acute Renal Failure in Rabbits)

  • 김수창;송영민;이성대;송승희;고필옥;김종수;김충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92-399
    • /
    • 2007
  •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SBGE) is known to be antioxidant effect. In addition of the effects, we further investigated the SBGE on the antioxidant effect on a renal cortical slices cell and kidney protecting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renal cortical slices separated from a rabbit's kidney were treated with 1mM tert-Butylhydroperoxide (t-BHP) in the presence of SBGE. SBGE significant prevented t-BHP induced increase in lactate dehydrogenase (LDH) release and lipid peroxidation. 2. When renal cortical slices separated from a rabbit's kidney were treated with oxidant $300{\mu}M$ cisplatin in the presence of SBGE. SBGE significant prevented cisplatin-induced increase in LDH release and lipid peroxidation. 3. Pretreatment with 0.1g/kg SBGE for seven day and treatment with 5 mg/kg cisplatin by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The results were that the pretreatment group with SBG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lipid peroxidation, increase in clearance rate of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reatinine in the kidney than the administering single agent group of cisplatin. and pretreatment group with SBGE showed intact microvillus of proximal tubule and no contraction of rumen, it was a similar result with normal group. With the results SBGE showed to be highly effective on antioxidant effect and cellular protection activity against cisplatin that was a toxic agent on a kidney. Therefore, SBGE is considered to have protective effective on a disordered kidney or kidney diseases such as nephritis or renal failure that cause tissue damages in a kidney.

가토(家兎)의 신장기능(腎臟機能)에 미치는 측뇌실내(側腦室內) Prostaglandin $F_{2{\alpha}}$의 영향(影響) (Influence of Prostaglandin $F_{2{\alpha}}$ given intracerebroventricularly on the renal function of the rabbits)

  • 국영종;고광후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3-49
    • /
    • 1976
  • The facts that $PGE_2$ produced diuresis in the rabbit when given into a lateral ventricle of the brain and that $PGF_{2{\alpha}}$ is abundantly found in the brain prompted u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GF_{2{\alpha}}$ introduced directly into the ventricle on the renal function. $PGF_{2{\alpha}}$ given intraventriculary in doses of $10{\mu}g\;and\;100{\mu}g$ elicited prompt diuresis, 10-fold increase of sodium excretion and two-fold increment of potassium excretion. Free water reabsorption also increased along with the increased osmolar clearance. Neither renal plasma flow nor glomerular filtration rate did change significantly. This, along with the fact that the percentage of reabsorbed sodium filtered decreased from 99.5 to 93.9, indicates the tubular site of the diuretic and natriuretic action. Atropine pretreatment did not influence the renal effects of intraventricular $PGF_{2{\alpha}}$. Intravenously administered $PGF_{2{\alpha}}$ in doses of 30 to $100{\mu}g$ did not produce any significant change in renal function. Intraventricular $PGF_{2{\alpha}}$ had no effect on the systemic blood pressure, whereas intravenous administration brought about a transient hypotension.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PGF_{2{\alpha}}$ induces diuresis and natriuresis via central mechanism, that the site of the action resides in renal tubules, and that the reabsorption of sodium is inhibited in the proximal tubule, possibly through mediation of certain humoral agent. Overall, it is suggested that $PGF_{2{\alpha}}$ might play a roll in regulating renal function through the center.

  • PDF

새로운 Platinum (II) Complex [Pt (II)(trans-d-dach)(DPPE)] $(NO_3)_2$의 항암효과 및 신독성에 관한 연구 (Antitumor Activity and Nephrotoxicity of the Novel Platinum(II) Coordination Complex)

  • 정지창;이문호;장성구;노영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3-114
    • /
    • 1995
  • 일부 malignant tumor에 Pt-complex의 일상 응용 과정에서 신장독성등의 심한 부작용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cisplatin보다 항암효과는 우수하면서, 부작용을 감소시킨 새로운 Pt-complex의 개발에 역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합성한 Pt(Ⅱ) complex는 carrier ligand로서 1,2-diaminocyclohexane(dach)을 사용하였고, leaving group으로는 diophosphine류인 1,2-bisdiphenylphosphinoethane(DPPE)을 도입하였으며,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dinitrate로 만들었다. 새로이 합성한 [Pt(Ⅱ)(trans-d-dach)(DPPE)]$(NO_3)_2$는 원소 분석, IR 및 $^{13}C-NMR$ 분석 data에 의하여 위의 물질임이 확인되었다. MTT assay method에 의한 항암활성 연구를 통하여 P-388, L-1210 lymphocytic leukemia cell과 SK-OV3 난소암세포에서 항암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이 항암효과는 대조 약물로 사용된 cisplatin과 유사하였다. 토끼의 신세뇨관 세포와 인체의 신피질 세포를 이용한 cytotoxity 및 thymidine 섭취율과 인체 신피질 조직 배양을 이용한 glucose consumption 실험을 통하여 모두 cisplatin보다 신장독성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Pt(Ⅱ)complexes는 carrier ligand와 leaving group의 선택에 따라 항암활성의 증가와 신독성의 감소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보여지며, 이 연구에서 만들어진 Pt(Ⅱ)complex는 앞으로 다각적인 검토를 거쳐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마이오글로빈뇨성 급성 신부전 토끼에서 신장 세포막 수송 기능 장애에 대한 단삼의 효과 (Effect of Salviae Radix on Impairment of Membrane Transport Function in Rabbits with Myoglobinuric Acute Renal Failure)

  • Ji-Cheon, Jeong;Hyun-Soo, Kim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9-128
    • /
    • 2000
  • 목적 : Rhabdomyolysis에 의해 유발된 급성 신부전시 나타나는 신장세뇨관 세포에서 물질이동의 저해가 단삼 추출액에 의해 방지될 수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방법 : 토끼에 50% glycerol을 10ml/kg씩 대퇴근육내 주사한 후 뇨와 혈액을 채취하여 신기능을 측정하고, 신피질 절편을 분리하여 실험하였다. 결과: 토끼에 50% glycerol을 10ml/kg씩 대퇴근육내 주사한 결과 사구체여과율의 감소와 Na 배설분율의 증가가 나타남으로서 glycerol 주입이 rhabdomyolysis에 의해 급성신부전이 유발되었음을 보였다. Glycerol을 주사하기 전 7일 동안 단삼 추출액 (0.05%)을 0.3 g/kg씩 경구 투여한 결과 glycerol에 의해 유발된 사구체여파율의 감소와 Na 배설분율의 증가가 유의하게 방지되었다. glycerol만을 주사한 동물에서는 포도당과 인산의 요배설분율이 각각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이러한 증가는 단삼 추출액에 의해 억제되었다. 급성신부전이 유발된 신장피질에서 분리한 brush-border membrane vescicles (BBMV)에서 포도당과 인산의 이동은 정상 신장과 비교하여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고, microsomal fraction에서 측정한 Na+-K+-ATPase 활성도 억제되었다. 이러한 억제현상은 단삼 추출액을 전처치한 결과 방지되었다. 급성신부전이 유발된 신장피질 절편에서 유기 음이온인 P-aminohippurate 이동과 유기 양이온인 tetraethylammonium의 이동이 억제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단삼 추출액에 의해 방지되었다. Rhabdomyolysis에 의해 유발된 포도당과 인산의 배설분율의 증가는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DPPD 전처치로 방지되었다. 결론 : Rhabdomyolysis에 의한 급성신부전의 유발 과정에 반응성 산소기가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보이고 있고, 단삼 추출액 전처치는 Rhabdomyolysis에 의한 급성 신부전시 나타나는 근위세뇨관에서 물질의 재흡수 장애를 방지하고 있다. 단삼 추출액의 방지 효과는 항산화작용에 기인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초대배양한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에서 ANG II의 Na+ uptake 촉진효과에 대한 dopamine의 효과 (Effects of dopamine on angiotensin II-induced stimulation of Na+ uptake in primary cultured rabbit renal proximal tubule cells)

  • 고현주;박수현;한호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18-524
    • /
    • 1998
  • 신장 근위세뇨관세포들은 사구체에서 여과된 물질의 재흡수, 분비 및 대사에 관여하는 여러 호르몬들의 수용체들을 가지고 있다. 이들중에서 dopamine(DA)과 angiotensin II(ANG II)가 $Na^{+}/H^{+}$ 상호운반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대배양한 토끼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의 $Na^+$ uptake에 있어서 DA과 ANG II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DA은 농도의존적으로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10^{-6}M$ ; $83.2{\pm}7.2%$, $10^{-3}M$ ; $67.2{\pm}3.8%$ vs. control)(p<0.05). $DA_1$ 작동제(SKF 38393, $10^{-6}M$)는 대조군의 $81.4{\pm}6.7%$ 까지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으나(p < 0.05) $DA_2$ 작동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DA_1$ 길항제(SCH 23390, $10^{-6}M$)에 의해 DA의 $Na^+$ uptake 억제효과는 차단되었으나 $DA_2$ 길항제(spiperone, $10^{-6}M$)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DA과 대조적으로 $10^{-11}M$ ANG II는 $AT_1$ 수용체를 통하여 대조군의 $120.7{\pm}4.9%$까지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촉진하였다. (p < 0.05). DA 및 $10^{-11}M$ ANG II를 병합처리하였을 때 DA은 농도의존적으로 ANG II에 유도된 $Na^+$ uptake 촉진효과를 유의성 있게 차단하였다(p<0.05). 한편 ANG II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촉진작용은 $DA_1$ 또는 $DA_2$ 작동제에 의해 차단되었으나 DA에 의한 차단 효과는 $DA_1$$DA_2$ 길항제를 병합처리하였을 때만 반전되었다. 결론적으로 DA은 $DA_1$ 수용체를 통하여 $Na^+$ uptake를 억제하였으나 ANG II에 의한 $Na^+$ uptake 촉진작용의 억제에는 $DA_1$$DA_2$ 수용체 모두가 관여하였다.

  • PDF

초대배양한 토끼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의 Na+ uptake에 대한 norepinephrine 과 angiotensin II의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norepinephrine and angiotensin II on Na+ uptake in primary cultured rabbit renal proximal tubule cells)

  • 박수현;고현주;한호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25-534
    • /
    • 1998
  • 신장 근위세뇨관세포들은 사구체에서 여과된 물질의 재흡수, 분비 및 대사에 관여하는 여러 호르몬들의 수용체들을 가지고 있다. 이들중에서 norepinephrine(NE)과 angiotensin II(ANG II)는 $Na^{+}/H^+$ 상호운반계를 조절함으로써 혈압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의 상호관계에 대해선 연구보고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초대배양한 토끼신장 근위세뇨관세포를 이용한 $Na^+$ uptake 실험을 통하여 NE이 어떠한 수용체를 통하여 $Na^{+}/H^+$ 상호운반계를 조절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작용에 있어서 NE과 ANG II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NE(>$10^{-9}M$)은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10^{-9}M$ NE : $27{\pm}4%$ increase vs. Control;p < 0.05). $\alpha$ 길항제(phentolamine, $10^{-10}M$)는 NE($10^{-9}M$)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차단하였으나 (phentolamine+NE : $29{\pm}5%$ inhibition vs. NE ; p〈 0.05), ${\alpha}_1$ (pra-zosin, $10^{-10}M$) 및 ${\alpha}_2$ 길항제(yohimbine, $10^{-10}M$)는 부분적으로 차단하였다. ${\beta}$ 길항제(propra-nolol, $10^{-10}M$)도 역시 NE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차단하였으나(propranolol+NE : $24{\pm}6%$ inhibition vs. NE ; p< 0.05), ${\beta}_1$(atenolol, $10^{-10}M$) 및 ${\beta}_2$ 길항제(butoxamine, $10^{-10}M$)는 부분적으로 차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NE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 증가작용은 ${\alpha}$(${\alpha}_1$${\alpha}_2$ )와 ${\beta}$(${\beta}_1$${\beta}_2$) 수용체 모두를 통하여 일어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ANG II($10^{-11}M$) 또는 NE(${\alpha}_1$, ${\alpha}_2$, ${\beta}_1$, ${\beta}_2$ 작동제) 단독처리군의 $Na^+$ uptake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 (ANG II : $23{\pm}9%$ increase vs. Control; p < 0.05), 병합처리시 상승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alpha}$ 또는 ${\beta}$ 길항제 처리시 NE 및 ANG II에 의해 유도되었던 $Na^+$ uptake 증가는 유의성 있게 차단되었다(phentolamine+NE+ANG II : $25{\pm}3%$ inhibition, propranolol+NE+ANG II : $24{\pm}6%$ inhibition vs. NE+ANG II, respectively ; p〈 0.05). 이 결과들은 $Na^+$ uptake에 있어서 ${\alpha}$(${\alpha}_1$${\alpha}_2$)와 ${\beta}$(${\beta}_1$${\beta}_2$) 수용체와 ANG II의 관련성을 시사해 준다. 결론적으로 토끼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에서 NE은 ${\alpha}_1$, ${\alpha}_2$, ${\beta}_1$${\beta}_2$ 수용체를 통하여 $Na^+$+ uptake를 증가시켰으며 이들 수용체는 ANG II $Na^+$ uptake 증가작용에 관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