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ITAG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RURITAGE 사업 개념의 농촌생활권 도입 방안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Rural Living Area of the RURITAGE Project Concept)

  • 엄성준;김상범;안필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6-54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plan that introduces the concept of 'RURITAGE' into the 'Rural Convention'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EU's 'RURITAGE' and the 'Rural Convention.' For this study, the contents and reports discussed on the 'RURITAGE' homepage were analyzed. Also, the applicability was reviewed by analyzing the 'Rural Convention' report and guideline. 'RURITAGE' was resources and heritage, currently possessed by the region rather than large-scale development. 'The Rural Convention' wa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point-projects through mid-to-long-term planning,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construction, and spatial analysis of rural spatial. It was also a polic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with the quality of life by guaranteeing a certain level of living services anywhere in the country. The 'Rural Spatial Strategic Plan' and 'Rural Living Area Revitalization Plan', included in 'the Rural Convention' are judged to be difficult to immediately introduce the concept of 'RURITAG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projects that can implement projects. However, the notion of 'RURITAGE' can be reflected to 'Rural Spatial Maintenance Plan' seamlessly, which will be prepared in the 'Rural Living Area Revitalization Plan'.

농촌 재생을 위한 농업유산 지정 효과 측정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Designation of Agricultural Heritage for Rural Regeneration)

  • 도지윤;정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4호
    • /
    • pp.214-229
    • /
    • 2023
  • 본 연구는 농업·농촌유산을 활용한 농촌 재생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농업유산과 관련 제도를 통해 발생하는 지역사회 효과 검토와 해외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지역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농업유산 지정을 통해 유산의 가치 및 보전에 관한 인식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추후 발생할 인구 고령화 등 사회문제에 대비할 수 있는 지역의 보전·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민 인식은 농업유산 지정에 대하여 대부분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나, 경제적인 부분에서는 인식이 다소 떨어지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재생 방안이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효과측정 모델을 적용한 결과 제도의 목적에 부합하는 보전·관리 효과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지자체와 주민협의체 등의 사업에 따라 효과에 차이가 있으므로 재생 방안 마련 시 목표 지향적인 대안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해외 사례를 통한 농촌 재생 방안을 살펴본 결과 대규모의 개발보다는 다양한 문화·자연 자원과 주변 지역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농업유산 지역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현재 흐름에 걸맞은 다양한 관점으로 농업·농촌유산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역주민 인식뿐만 아니라 전문가 설문 등 지역의 지정 효과와 활성화 방안을 함께 고찰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