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S 부호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45초

마이크로프로그래밍 방식을 이용한 CDP용 Reed-Solomon 부호의 복호기 설계 (Design of A Reed-Solomon Code Decoder for Compact Disc Player using Microprogramming Method)

  • 김태용;김재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495-1507
    • /
    • 1993
  • 본 논문에서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방식을 이용하여 CDP(Compact Disc Player)에서 사용되는 RS 부호(Reed-Solomon code)의 복호기를 설계하였다. 사용한 복호방법은 Newton 항등식들로 부터 얻어진 연립방정식들을 이용하여 오류위치다항식의 계수들을 구하고, C2(외부호)복호에서의 소실데이타 개수를 확인한다. 또한 C2복호에서 소실데이타 값들을 C1(내부호)복호 결과와 신드롬들을 이용하여 구한다. 이와 같은 복호방법을 이용하여 4개의 소실정정까지 할 수 있도록 해서 오류정정능력을 높였다. 설계한 복호기는 오류정정에 필요한 GF(28)상에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복호연산기와 프로그램 ROM을 가지고있는 복호제어기 띤 마이크로명령어(microinstruction)들로 구성된다. 마이크로명령어들을 이용하여 RS부호의 복호 알고리즘을 프로그램할 수 있으며, 성능향상이나 다른 용도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ROM만 바꾸면 가능하므로 간편하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복호기는 Verilog HDL의 Logic Level Modeling을 이용하여 구현했으며, 설계된 복호기에서 각 마이크로명명령어들은 14비트(=1 word)이고, 프로그램 ROM의 크기는 360 word이다. 또한 C1과 C2를 모두 복호하는데 걸리는 최대시간은 424 clock-cycle이다.

  • PDF

위성 채널에서 펑쳐드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한 직렬연결 부호 시스템의 성능 분석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Concatenated Coding System using Punctured Convolutional Code in the Satellite Channel)

  • 정호영;강창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115-1125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위성 채널에 효율적인 오류 정정 방식으로 펑쳐드 콘볼루션 부호(punctured convolutional code)를 이용한 직렬 연결 부호(concatenated code) 방식을 제안하고 위성 채널을 모델링 하여 제안된 오류 정정 방식의 오율 성능을 모의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제안된 직렬 연결 부호 방식은 외부 부호를 (255.223)RS 부호로 하고 구속장 길이가 7인 2/3 펑쳐드 콘볼루션 부호를 내부 부호로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위성 부호 채널(satellite coding channel) 모델로 사용되고 있는 광대역 부가 백색 가우시간 잡음 채널의 부정확성을 보완하기 위해 위성 채널 입력 여과기, 고출력 진행파관 증폭기(traveling wave tube amplifier), 위성 채널 출력 여파기 및 하향링크 잡음 등으로 구성되는 위성 부호 채널을 모델링하여 성능 평가 실험에 사용하였다.

  • PDF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통신용 전자기기를 위한 Reed Solomon 복부호기 설계에 대해 (Reed Solomon CODEC Design For Digital Audio/Video,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s)

  • 안형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11호
    • /
    • pp.13-20
    • /
    • 2005
  • 현대의 디지털통신기기나, 오디오/비디오 전자기기엔 항상 비바이나리 에러정정복부호기가 사용되는데 그중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Reed-Solomon 복부호화기기의 설계에 대해 기술했다. 2,3 symbol RS 복호기설계법을 설명 후, 새로운 RS 부호화기의 설계법을 제시한다. 각각의 복부호화기기의 동작여부를 예를들어 test해보고 잘 동작함을 확인했다.

다중 QoS 서비스와 시변 채널을 위한 적응형 RS 부호기의 설계 (Design of Adaptive Reed-Solomon Encoder for Multi QoS Services or Time-Varying Channels)

  • 공민한;송문규;김응배;정찬복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113-116
    • /
    • 2001
  • Reed-Solomon(RS) code is the most powerful burst error correcting code. In Ois paper, the architecture for the adaptive RS encoder adaptable for multi QoS requirements or time-varying channel environments has been designed. In the adaptive RS code, the message length k and the error correction capability t are allowed to be variable so that the block length n is also variable. We proposed the architecture of the adaptive RS encoder by designing the optimal structure of Galois fields multiplier with comparison of fixed multiplier and variable multiplier. The proposed architecture is implemented in VHDL and verified with the simulation tool

  • PDF

군집 소실 채널 상에서의 인터리빙된 짧은 코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nterleaved Short Length Codes over Burst Erasure Channel)

  • 장재윤;장민;김상효;이성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1-28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군집 소실 채널 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짧은 길이의 인터리빙 된 코드들의 성능을 분석한다. 먼저 좋은 성능을 갖는 짧은 길이의 그래프 부호와 해밍부호를 설계한다. 이 후 군집 소실에 잘 대응하기 위하여 인터리빙 기능을 채널 부호화 방법에 적용한다. 생성된 짧은 코드에 적용한 인터리빙 부호를 군집 소실에 최적의 성능을 보이는 Reed-Solomon (RS) 부호와 성능을 비교한다. 짧은 길이의 부호이므로, ML(Maximum Likelihood)방법과 BP(Belief propagation)의 두 가지 복호 방법들을 이용한 경우 성능의 차이 또한 비교해 본다.

  • PDF

OFDM에서 연집 오류에 효과적인 오류정정 기법 (A Method of Effective Error Correction for Burst Error in OFDM)

  • 정용훈;이광형;전문석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48-251
    • /
    • 2007
  •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은 하나의 데이터 열(data stream)을 낮은 데이터 전송률을 갖는 작은 데이터로 나누고, 이들을 부반송파(subcarrier)를 통해 동시에 전송한다. OFDM이 차세대 전송방식으로 채택된 이유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이나 협대역(narrow band)간 간섭에 받는 영향이 적어 고속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RS 부호(Reed-Solomon Code)를 사용하여 OFDM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기 쉬운 연집 오류(burst error)를 정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채널 사이에 파일롯 심볼(pilot symbol)을 삽입하여 채널 추정을 통한 신호의 타이밍 오류도 고려하였다.

  • PDF

블록 LDPC 부호를 사용한 3D HDTV 전송을 위한 성능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Improvement of 3D HDTV Transmission with Block LDPC Codes)

  • 김민기;김동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34-137
    • /
    • 2012
  • 최근 ATSC방식의 디지털 방송에서 HD급의 3D 방송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 되고 있는 추세이다. HD급의 3D 방송 서비스(이하 3D HDTV)를 제공하기 위해 [2]에서는 ATSC 전송 시스템을 확장하고 BCH 부호와 IRA 타입의 LDPC를 사용하는 수정된 ATSC 전송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BCH와 IRA 타입의 LDPC 부호 대신 Reed Solomon 부호와 Block LDPC 부호를 사용하고 16QAM 변조를 사용하여 전송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AWGN 채널에서 모의 실험한 결과 BCH부호와 LDPC부호 및 4PAM을 적용한 수정된 ATSC 전송시스템의 TOV는 약 7dB로 19.33Mbps로 전송되지만[2] 본 논문에서 제안한 RS(207, 187)과 부호율 3/4인 Block LDPC 및 16QAM의 TOV는 약 5.4dB로 29Mbps로 전송되어 기존시스템에 비해 약1.5배의 전송 용량 증대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서 6MHz의 한정된 대역에서 HD급의 3D 방송서비스 실현이 한층 더 가까워지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프랙탈 알고리즘 기반의 실시간 영상 부호화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Moving Picture Encoder Based on the Fractal Algorithm)

  • 김재철;최인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9B권6호
    • /
    • pp.715-726
    • /
    • 2002
  • 이 논문에서는 범용 DSP칩인 ADSP2181를 사용하여 프랙탈 알고리즘 기반의 영상 부호화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제작된 부호화기는 고정소수점을 지원하는 Analog Device사의 ADSP2181 두 개를 사용하여 구현되었고, 영상부호화는 3단계의 파이프라인 구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첫 번째 파이프라인단인 영상 획득부는 NTSC표준 영상 신호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한다. 두 번째 단에서의 주제어부에서는 영상 데이터를 프랙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한다. 마지막 단인 출력 제어부는 부호화된 영상 계수를 RS422 포트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설계 제작된 프랙탈 영상 부호화기의 성능은 QCIF 영상 포맷에서 정지영상에 대하여 초당 10프레임 이상의 부호화 속도를 얻었다. 프랙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프레임간 중복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시에는 초당 평균 30 프레임 이상의 부호화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터보부호화된 새로운 T-DMB 시스템 제안 및 성능 분석 (Propos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Turbo Coded New T-DMB System)

  • 김한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269-275
    • /
    • 2014
  • Eureka 147 디지털오디오방송(DAB) 시스템은 CD 품질의 오디오 전송을 위하여 유럽에서 개발되었으나 한국에서는 이러한 DAB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오디오뿐 만 아니라 비디오 신호도 전송할 목적으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T-DMB)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T-DMB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양립성을 위해 기존 T-DMB 시스템 표준안에 정의된 펑쳐링 절차와 평처링 벡터를 이용하면서 터보 부호가 적용된 2가지 형태의 새로운 터보부호화된 T-DMB 시스템 모델을 제시한다. 첫 번째 모델 (Type 1)은 기존의 RS 코드, 콘볼류션 인터리빙, RCPC 코드를 터보코드로 대체시킨 것이며 두 번째 모델(Type 2)은 기존 RCPC 만을 터보부호로 대체시킨 모델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모델은 단지 2회 반복만으로도 상당한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두 번째 모델은 첫 번째 모델에 비해 약간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HF 데이터 통신에서 디지털 모뎀을 위한 RS 및 컨볼루션 부호의 연접 부호 성능 (Performance of Concatenated Reed-Solomon and Convolutional Codes for Digital Modems in HF Data Communications)

  • 김정창;양규식;정기룡;박동국;정성훈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90-19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HF (high frequency) 데이터 통신을 위한 디지털 모뎀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개선된 오류정정부호 방식을 제안하고 성능을 검증한다. 제안하는 오류정정부호 방식은 외부의 Reed-Solomon 부호와 내부의 컨볼루션 부호를 연접하여 만들어진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하는 시스템이 기존 PACTOR-III 규격의 오류정정부호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비해 비트 오율 성능을 크게 향상시킴을 보여준다. 따라서 제안하는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HF 데이터 통신을 위한 디지털 모뎀의 대역폭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