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PHA15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인천 지역 초, 중, 고등학생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양성률에 대한 조사 연구 (Positive Rate of HBsAg in School Children in Incheon Area)

  • 장지연;정수진;김순기;손병관;홍영진;홍광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0권2호
    • /
    • pp.153-158
    • /
    • 2003
  • 목 적 :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은 1983년부터 국내에서 생산되기 시작하여 1985년부터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면서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의 항체 생성률이 낮다는 보고가 있어,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의 예방 효과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저자들은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이후 출생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인천지역의 HBsAg 양성률을 조사하여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의 예방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인천시내의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1997, 1998년 2년에 걸쳐 Reversed Passive Hemagglutination(RPHA)법으로 HBsAg을 검사하였으며, 이전에 전국적으로 주로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RPHA법으로 조사한 19세 이하 연령군의 HBsAg 검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 1) 1997년 초등학생은 0.7%(337/46,861), 중학생은 2.5%(381/15,026), 고등학생은 3.1%(681/21,938)의 HBsAg 양성률을 보였으며 19세 이하의 연령군 전체는 1.7%(1,404/83,984)였다. 2) 1998년 초등학생은 0.6%(257/41,946), 중학생은 2.7%(379/13,652), 고등학생은 2.4%(628/25,277)의 HBsAg 양성률을 보였으며 19세 이하의 연령군 전체는 1.6%(1,266/80,926)였다. 3) 1985년, 1990년과 1995년에 한국건강관리협회에서 RPHA법으로 전국 19세 이하 연령층에서 조사한 HBsAg 양성률은 각각 6.1%, 5.2%, 3.5%였다. 결 론 : 인천지역에서 초, 중, 고등학생의 HBsAg 양성률은 과거의 전국 조사에 비해 낮으며,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현저히 낮은 HBsAg 양성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1997년도 및 1998년도의 초등학교 6학년 이하에서 많은 수가 출생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예방 접종을 시작한 연령층으로 이를 HBsAg 양성률의 현저한 감소는 주로 예방 접종의 효과로 생각된다.

  • PDF

Domain Decomposition Strategy for Pin-wise Full-Core Monte Carlo Depletion Calculation with the Reactor Monte Carlo Code

  • Liang, Jingang;Wang, Kan;Qiu, Yishu;Chai, Xiaoming;Qiang, Shenglo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635-641
    • /
    • 2016
  • Because of prohibitive data storage requirements in large-scale simulations, the memory problem is an obstacle for Monte Carlo (MC) codes in accomplishing pin-wise three-dimensional (3D) full-core calculations, particularly for whole-core depletion analyses. Various kinds of data are evaluated and quantificational total memory requirements are analyzed based on the Reactor Monte Carlo (RMC) code, showing that tally data, material data, and isotope densities in depletion are three major parts of memory storage. The domain decomposition method is investigated as a means of saving memory, by dividing spatial geometry into domains that are simulated separately by parallel processors. For the validity of particle tracking during transport simulations, particles need to be communicated between domains. In consideration of efficiency, an asynchronous particle communication algorith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Furthermore, we couple the domain decomposition method with MC burnup process, under a strategy of utilizing consistent domain partition in both transport and depletion modules. A numerical test of 3D full-core burnup calculations is carried out, indicating that the RMC code, with the domain decomposition method, is capable of pin-wise full-core burnup calculations with millions of depletion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