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PE1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3초

한의약소재 스포츠음료수 섭취가 운동-유발성 피로의 단시간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Sport Beverages with Medicinal Herbs Added on Short-term Recovery from Exercise-induced Fatigue)

  • 나현종;이규락;강호율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6-46
    • /
    • 2006
  • Objectives : Ginseng Research Group in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developed Saeng Mac San (KFRI-2)and Je Ho Tang (KFRI-3) with their sensory factors more acceptable. And we examined their effects on the short-term recovery capacity for cycling exercise (EX) maintained to all-out. Methods : Seven healthy young subjects (aged $24.0{\pm}2.1yr$) were volunteered at this double blind test. Each of KFRI-2, 3, a commercial sport beverage and control (CON) was offered randomly on a series of EX protocol including 65% VO2max-90min EX (D-ride). 1h-recovery and 85% VO2max EX to all-out (P-ride) under the control of their heart rate (HR) and rating perception of exertion (RP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D-ride, 30, 60 and 90min in D-ride, 30 and 60min in the recovery period and each 10min in P-ride. Plasma analysis items were glucose, insulin, cortisol (CORT), testosterone (TEST), free fatty acid (FFA), $Na^+$, Cl-and $K^+$. The collected data (Means${\pm}$SE) were analysed by two-way ANOVA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p<0.05) by LSD.; the significant level in FFA, $Na^+$, Cl-and $Na^+$ was p<0.01 Results : At 30min during recovery. plasma glucose level in KFRI-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 and also insulin in KFRI-3 was than CON and KFRI-2. FFA in KFRI-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 during recovery. $Na^+$ in KFRI-3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 at 90min in D-ride, and also KFRI-2 was at 60min during recovery. However CORT, TEST, Cl-and $Na^+$ in treated beverages were not significant. KFRI-2, 3 elevated the time for P-ride more than CON did. Conclusions : KFRI-2, 3 elevated the time for P-ride about 12% more than CON did. It is based on rapid recovery of plasma glucose level and inhibition of lipolysis during recovery.

  • PDF

재즈댄스와 철분섭취가 성인여성의 신체 조성, 혈액 성분 및 골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azz Dance and Iron Intake on Body Composition, Blood Components and Bone Metabolism in Adult Women)

  • 류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99-1304
    • /
    • 2008
  • 본 연구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재즈댄스+철분섭취군(7명), 재즈댄스군(7명), 대조군(7명) 총 21명으로 하였다. 재즈댄스와 철분섭취가 성인여성의 신체조성, 혈액성분 및 골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 강도 RPE (9$\sim$15), 운동 빈도 주3회, 1회 60분의 지속시간으로 12주간 실시하였다. 철분은 1일 1회 식후 80 mg을 섭취시켜,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신체조성은 집단내 변화에서 재즈댄스+철분섭취군은 체중, 체지방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제지방은 유의하게 증가 하였으며, 재즈댄스군에서 체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변화에서 대조군보다 재즈댄스+철분섭취군과 재즈댄스군이 유의한 차이로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혈액성분은 집단 내 변화에서 재즈댄스+철분섭취군은 RBC, WBC, Hb는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 MCV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재즈댄스군은 WBC, MCHC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조군은 MCHC 유의하게 감소를 하였다. 집단 간 변화에서 RBC는 재즈댄스+철분섭취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WBC, MCV, MCHC, Hb는 재즈댄스+철분섭취군, 재즈댄스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골대사는 집단 내 변화에서 재즈댄스+철분섭취군, 재즈댄스군은 DPD, OC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집단간 변화에서 대조군보다 재즈댄스+철분섭취군과 재즈댄스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재즈댄스가 성인여성들에게 여가시간과 건강에 도움이 되는 댄스프로그램으로서 바람직하고, 다양한 연령층에서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보다 효율적이고 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 개발과 영양섭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Phototransduction and Visual Cycle in the Ascidian Tadpole Larva

  • Kusakabe, Takehiro;Nakashima, Yuki;Kusakabe, Rie;Horie, Takeo;Kawakami, Isao;Yoshida, Reiko;Inada, Kyoko;Nakagawa, Masashi;Tsuda, Motoyuki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37-40
    • /
    • 2002
  • Ascidians are lower chordates, and their tadpole-like larvae share a basic body plan with vertebrates. To study photoreceptive systems in ascidians, we have isolated and characterized cDNA clones for three opsins, five G protein ${\alpha}$ subunits (G${\alpha}$), catalytic and regulatory subunits of cGMP phosphodiesterase (PDE), and arrestin from the ascidian Ciona intestinalis tadpole larva. Ci-opsin1 and Ci-opsin2 are vertebrate-type opsins, while Ci-opsin3 is a retinal photoisomerase similar to retinochrome and mammalian RGR. Both Ci-opsin1 and arrestin are specifically localized in the photoreceptor cells of the ocellus, whereas Ci -opsin2 is not expressed in the photoreceptors, but is co-localized in another population of neurons in the brain with PDE (Ci-PDE9 and Ci-PDE$\delta$). Ci-opsin3 is present in the entire region of the brain. Though five different cDNAs encoding Ga have been cloned, no transducin-type G protein has been found yet. Interestingly, one of G${\alpha}$i isoform is conspicuously expressed in the entire region of the brain. The Ci-opsin3 gene expression was observed in a broad area of the brain vesicle as well as in the visceral ganglion. Genes encoding ascidian homologs of CRALBP and ${\beta}$-CD, whose function is required for the mammalian visual cycle, are co-expressed with Ci-opsin3 in the brain vesicle and visceral ganglion. Localization of Ci-opsin3, CRALBP, and ${\beta}$-CD in a broad area of the brain suggests that the brain of the ascidian larva has a visual cycle system similar to that of the vertebrate RPE. Based on these data, we discuss the evolution of vertebrate visual systems.

  • PDF

심장재활 프로그램이 허혈성 심장환자의 건강행위 이행, 심혈관 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Health Behavior Compliance, Cardiovascular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the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 조현숙;김광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60-570
    • /
    • 2000
  •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a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and enlighten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patient's health behavior compliance, cardiovascular functional capacity, and quality of life. Using a quasi-experimental approach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 posttest design was accep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5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at the Cardiac Center of 'G' Hospital located in Inchon from May 1, 1998 to April 30, 1999.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cardiac program with 30 patients and 25 patients of a control group were not involved in the program. There were two phases in the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the first phase was a team approach education. It focused on reducing the risk of ischemic heart problems. The second phase was individual training by using a home based exercise program, which was comprised of 8 weeks, three sessions per week, 40-60 minutes per session, and followed by consultation. Every session involved 20-40 minutes of aerobic exercise at 40-60% of heart rate reserve, 11∼13 RPE and 10 minutes of warm-up and 10 minutes of cool-down exercises. The experimental tools for the study were the health behavior compliance scale developed by Lee, Yoon-hee (1992), and quality of life scale developed by McGirr et al.(1990). RPPsubmax were measured by the treadmill.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SPSS and analyzed by χ²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health behavior compliance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5.091, p=.000)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RPPsubmax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t=-2.109, p=.040). 3. The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3.853, p=.000)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effectiveness of the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f the study was confirmed. It increased the health behavior compliance for reducing the risk of further coronary events, enhanced the cardiovascular functional capacity, and eventually improved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 PDF

청색광에 의한 마우스 망막손상에서 선택적 광수용세포의 사멸 (Blue-light Induces the Selective Cell Death of Photoreceptors in Mouse Retina)

  • 강서영;홍지은;최은정;류정묵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76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망막색소상피층에 색소가 존재하는 mouse에서 청색광으로 인해 광수용세포 손상이 일어날 수 있는지 확인하고, 광수용세포 중 특이적 세포에서 세포사멸이 유도되는지 조사하여 청색광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연령관련 황반변성의 기전 규명과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진행되었다. 방법: C57black mice를 24시간 암순응 시켜 463 nm의 청색광을 $2800{\pm}10lux$로 조사한 후 1일, 3일, 7일째에 안구를 적출하였다. 청색광의 자극은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단백질의 발현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광수용세포의 세포사멸은 TUNEL(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Western blotting으로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c-JUN, SRC(Sarcoma)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고, 막대세포와 원뿔세포의 손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면역염색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청색광을 조사한 후 1, 3, 7일이 지난 망막은 대조군 보다 전체적으로 두께가 감소하였고, 각 얼기층보다 핵층에서 두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청색광을 조사한 후 1일 지난 Muller glia에서 GFAP 단백질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UNEL 염색에서는 청색광을 조사한 후 1일 지난 망막의 광수용세포에서 가장 많은 발현을 보였다. 세포사멸 기전 과정 중 하나임을 확인하기 위해 ERK, c-JUN, SRC 단백질 활성을 확인한 결과 청색광을 조사한 망막에서 phosphorylated ERK는 증가하였고 phosphorylated SRC는 조사 후 1일에서만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반대로 phosphorylated c-JUN은 조사 후 1일에서만 감소하였다. 청색광을 조사한 망막에서 막대세포 발색단인 로돕신과 원뿔세포의 발색단인 옵신이 감소하였으며, 옵신의 감소량은 로돕신의 감소량보다 큰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청색광이 망막에 손상자극을 주고, ERK와 SRC 신호전달과 관련하여 광수용세포의 세포사멸을 일으킬 수 있으며 청색광이 광수용세포 중 원뿔세포의 세포사멸을 직접적으로 유도하여 망막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파라벤의 In Vitro 검색시험 연구에서의 내분비독성 (Oestrogenic Activity of Parabens In Vitro Estrogen Assays)

  • 이성훈;김선중;박정란;조은혜;안남식;박준석;황재웅;정지윤;이영순;강경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0-106
    • /
    • 2006
  • ER와 리포터 유전자인 $\beta$-galactosidase가 도입된 효모재조합검색시험법을 이용하여 파라벤류의 내분비계 장애작용을 검색하였다. 양성대조 시험물질로 앞의 시험법들과 동일하게 E2와 BPA를 설정하여 파라벤류의 에스트로젠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E2의 경우 $10^{-9}M$에서 가장 활성이 높게 관찰되었고, BPA의 경우 $10^{-7}M$에서 에스트로젠성이 가장 높았다. 파라벤의 경우 이소프로필파라벤이 $10^{-9}M$에서 $10^{-3}M$까지 시험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에스트로젠성이 증가하였으며, $10^{-9}M$의 경우 가장 강력한 에스트로젠성을 보였다. 또한 양성대조군인 E2와 비교하였을 때, $10^{-7}M$에서 $10^{-3}M$까지의 이소프로필파라벤은 오히려 E2보다 높은 내분비계 장애작용이 검색되었다. 이소프로필파라벤을 제외한 나머지 파라벤류의 경우 $10^{-4}M$$10^{-5}M$의 프로필파라벤과 $10^{-3}M$$10^{-4}M$의 에틸파라벤에서 에스트로젠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MCF-7세포주는 사람의 유방암 세포이면서 $ER{\alpha}$가 존재하여 에스트로젠 또는 에스트로젠 유사물질이 ER와 반응하여 세포의 성장을 유도하게 된다. 이번 연구에서 파라벤의 시험 이전에 이미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널리 알려진 BPA와 체내에 존재하는 강력한 에스트로젠이면서 BPA보다 활성이 1000배정도 높다고 알려진 E2를 양성대조군으로 설정하여 MCF-7세포의 성장을 관찰하였다. 72시간동안 BPA와 E2를 다양한 농도로 MCF-7세포에 노출한 후 DNA 양을 측정하였더니, E2의 경우 $10^{-9}M$에서 대조군보다 약 2.5배의 세포성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BPA의 경우 $10^{-8}M$에서 대조군 보다 약 2.2배의 세포성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에틸파라벤의 경우 $10^{-7}M$에서 $10^{-4}M$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MCF-7세포의 성장을 증가시켰고, $10^{-4}M$이 대조군에 비해 세포성장이 약 2.2배에 달하여 양성대조군과 비슷하면서 높은 에스트로젠 유사반응을 보였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과 이소프로필파라벤의 경우 $10^{-5}M$의 농도에서 2배 이상의 세포성장이 유도되었고, 이소프로필파라벤의 경우 RPE값이 약 104%에 이르는 등, 내분비계 장애작용이 검색되었다. 한편, 본 연구팀은 ER에 대한 파라벤의 시험관 내 상경적 결합력을 측정하기 위해 $ER{\alpha}$$ER{\beta}$ competition binding assay kit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이 시험법은 E2와 비교하여 파라벤류의 $ER{\alpha}$$ER{\beta}$에 반응하는 시험물질의 RBA(relative binding affinities) 값을 측정하였다. 파라벤의 $ER{\alpha}$ 상경적 결합시험의 경우. E2의 $IC_{50}$의 값이 $4.29{\times}10^{-9}$이었고, 이소부틸파라벤의 경우 $4.5{\times}10^{-7}$에 달하여 RBA값이 0.952가 계산되었다. 이전 연구에 의해 밝혀진 BPA의 경우 RBA값이 0.333인데 반하여, 이소부틸파라벤은 약 3배가 높은 내분비계 장애작용이 검색되었다. 파라벤의 $ER{\beta}$ 상경적 결합시험의 경우. $ER{\alpha}$와 마찬가지로 이소부틸파라벤이 $1.94{\times}10^{-7}M$$IC_{50}$값을 가지면서 RBA값이 0.471이 계산되었다. 이것은 파라벤이 $ER{\alpha}$$\beta$모두와 결합을 할 수 있고 E2와 경쟁적으로 결합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내분비계를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뒷받침 해주고 있다. 덧붙여 본 연구팀의 결과는 이소부틸파라벤의 경우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능력 또한 내분비계교란물질로 잘 알려진 BPA만큼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in vitro적 방법으로 파라벤류들의 에스트로젠성을 측정한 결과 이미 보고된 연구와 비슷하게 화학 구조적으로 더 길거나 분지된 알킬기를 가지는 파라벤일수록 에스트로젠성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보존제로 사용되는 이 화학물질의 과다한 노출은 정상적인 내분비계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