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PB2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15초

Two New Species of Laccaria (Agaricales, Basidiomycota) from Korea

  • Cho, Hae Jin;Lee, Hyun;Park, Myung Soo;Park, Ki Hyeong;Park, Ji Hyun;Cho, Yoonhee;Kim, Changmu;Lim, Young Woon
    • Mycobiology
    • /
    • 제48권4호
    • /
    • pp.288-295
    • /
    • 2020
  • Species of Laccaria (Hydnangiaceae, Agaricales, and Basidiomycota) are well-known ectomycorrhizal symbionts of a broad range of hosts. Laccaria species are characterized by brown, orange, or purple colored basidiocarps, and globose or oblong, echinulate and multinucleate basidiospores. While some Laccaria species are easily identified at the species level using onl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thers are hard to distinguish at the species level due to small differences in morphology. Heretofore, ten Laccaria speci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While studying the fungal diversity in the National Parks of Korea, two new Laccaria species were discovered. Species identification was done based on molecular analyses (ITS, 28S rDNA, rpb2, and tef1), then were confirmed by their corresponding morphologies. The two newly discovered Laccaria species are proposed here as Laccaria macrobasidia and Laccaria griseolilacina. The uniqu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L. macrobasidia that distinguish it from its closely related species are orange-brown colored basidiocarp, long basidia and the absence of cheilocystidia. L. griseolilacina is characterized by a light grayish lavender-colored pileus and the absence of cheilocystidia. Two new species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the present paper.

국내 양양 송이 자생지 내 균환 유래 토양미생물과 송이균사체 생장촉진 효과 (Growth-promoting effect of microorganisms from a fairy ring in Yangyang, Korea on Tricholoma matsutake mycelium)

  • 최두호;이은지;이강효;안기홍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2-26
    • /
    • 2024
  • 본 실험은 송이버섯의 인공재배에 있어 기주식물에 대한 의존성을 줄이기 위한 일환으로 송이 균환의 토양 미생물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송이 자실체가 발달하는 9월을 대상으로 송이 자생지 내 균환으로부터 토양 내 균주들을 분리하였으며, 1점의 세균과 2점의 진균을 대상으로 대조구 대비 생장한 송이 균사체의 크기 퍼센트를 이용한 생장 촉진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확보된 균주들에 대한 동정을 위해 NCBI blast 과정과 phylogenetic tree 제작 과정을 거쳤다. 다만 본 실험에서 확보한 미생물과 동일한 동정명의 균을 이용한 동일 조건의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본 실험에서 확보한 미생물에 의한 송이 균사에 대한 생장촉진 정도가 다소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제 자연계에서 송이와 같은 외근균성 버섯과 작용하는 미생물의 사례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송이에 대해 균사 생장을 촉진시키는 미생물 데이터베이스 축적에 있어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축적된 미생물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송이 균사의 생장촉진 나아가 송이 자실체의 발달촉진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미생물 유래 분비물질 고찰에 있어서도 본 실험의 결과가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더해 미생물 군집 내 촉진균 우점도 및 송이 발생지와 미발생지 사이에 있는 미생물 우점도 차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향후 송이 발생에 활용할 수 있는 생태모방에 활용할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균환 유래 토양 미생물에 의한 송이 작용에 대한 실험이 계속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