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NA/DNA 비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2초

문치가자미 RNA/DNA의 일주기적 변화 (Circadian Variation of the RNA/DNA Ratios in Marbled Flounder Pleuronectes yokohamae)

  • 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67-272
    • /
    • 2010
  • 문치가자미 Pleuronectes yokohamae의 RNA/DNA비 일주기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부화후 89일, 전장 $23.2{\pm}0.2mm$의 치어를 48시간 동안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채집하였다. RNA/DNA비는 주간(0800, 1100, 1400, 1700)에 높았고 야간(2000, 2300, 0200, 0500 hours)에는 낮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에서 문치가자미의 생화학적 일주기 변화를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RNA/DNA비의 일주기적 변화를 고려하여 시료 채집시간 결정을 포함한 시료채집 계획작성과 data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평망식 양식 굴, Crassostrea gigas의 산란기 이후 생태·생리학적 특성 변화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Changes in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fter Spawning Season in Off-bottom Culture)

  • 김수경;최은희;한현섭;임현정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5-223
    • /
    • 2012
  • 한국 서해안 해역에서 2011년 9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수평망식으로 양성한 굴의 산란기 이후 생태 생리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은 충남 태안 연안의 의항, 신두리, 이원의 두 곳을 선정하여 생식소지수, 조직학적 분석, 생식소와 폐각근 내의 RNA/DNA의 양과 비, condition index (CI), 연체부지수 등을 분석하여 건강도를 판정하였다. 연구결과 의항에서 수평망식으로 양식한 굴은 다른 지역의 굴과 생리학적 차이를 보였다. 즉, 폐각근 내 RNA/DNA의 양 및 비가 조사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가장 낮은 CI와 연체부지수를 보였다. 이원지역의 St. 1과 2에서 양식한 굴은 산란기 이후 빠른 회복력을 보여 RNN/DNA가 증가하였고, 연체부지수와 CI 또한 10월까지 급격히 증가한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두리 지역의 굴은 연체부지수와 CI가 10월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건강도 판정요소와는 다르게 폐각근 내 RNA/DNA 비는 단백질의 증가 양상처럼 10월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이한 점은 신두리와 이원의 St. 1에서는 12월까지도 부분방출기의 개체가 관찰이 되었다.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사용된 RNA/DNA 양과 비의 변화, 연체부지수, CI 등의 간단한 지표만으로도 양식 굴의 건강상태, 산란 후 회복과정에 관한 정보 취득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료를 통하여 우량종패 생산을 위한 굴 어미관리가 가능하고, 또한 소비자들이 선호할 수 있는 양질의 굴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향후에도 다년간 연구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중선RNA결합담백질(RBFII)의 cDNA분리 (Isolation of cDNA Encoding Double-Stranded RNA Binding Protein (RBFII))

  • 박희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7-171
    • /
    • 1997
  • 번역개시 및 인산화의 조절에 관여하는 RNA와 단백질의 결합 및 인식기작을 연구하기 위해서[$\alpha$^{-32}$P] UMP-labeled HIV Rev-responsive element(RRE) RNA를 이용한 affinity screening에 이해서 Hela ZA-PII cDNA library로부터 이중선RNA결합단백질의 cDNA (RBFII)를 분리하였다. RBFII의 cDNA에 대한 염기서열을 결정하였으며 기존에 연구된 바 있는 RBFII(RBF 또는 TRBP로 보고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RBFII와 구분하기 위해 RBFI으로 명명)과 대부분의 경우 공통적인 ORF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말단에서는 공통적인 ORF 가 RBFI의 경우 21개의 아미노산을 의미하는 63 nt가 Lac-Z의 N-말단에 연결된데 비해서 특이한 46개 아미노기를 의미하는 138nt가 존재함이 밝혀졌다. 5’-말단에 처음 나타나는 ATG 및 부근의 염기서열을 분석해 볼 때 양 cDNA는 5’말단이 완전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기아시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의 일부 영양 조건에서의 효과 1. 생화학적, 조직학적 변화 (Effect of Starvation on Some Nutritional Parameters in Rhynchocypris oxycephalus 1. Characteristics of the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changes)

  • 이근광;김용호;박인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3-41
    • /
    • 1999
  • 기아에 따른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의 생화학적, 조직학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간의 간중량지수, 단백질 함량, RNA 량 및 DNA 량 조사와 더불어 간세포 및 중장 상피 세포의 조직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아군은 포식군에 비해 간의 단백질 함량, RNA 량 및 DNA 량에서 높은 값을 보였지만, 먹이 공급 중단은 간 중량지수, 간 세포 핵 크기 및 중장 상피 세포 핵 높이에 있어서 감소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조사된 RNA-DNA 비는 버들치의 영양 상태 파악 지수로 유용하였으며 또한, 버들치 표본 시기에서의 높은 성장 단계인지 혹은 낮은 성장 단계인지의 성장 활성 파악을 가능케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자료를 구체적으로 해석하였으며, 아울러 다수의 생물학적 중요 연관 사항들을 고찰하였다.

  • PDF

고려인삼이 흰쥐의 장기조직 핵산 함유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on Visceral Nucleic Acid Content of Rats)

  • 김철;최현;김정진;김종규;김명석;허만경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5권1호
    • /
    • pp.23-42
    • /
    • 1971
  • 1. 인삼주정추출물이 흰쥐의 부신, 간, 비장 및 췌장의 핵산 함유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인삼 투여를 받고 있는 동물이 스트레스(ACTH의 투여로 대신)를 받을 경우에 이들 장기 핵산 함유량에 어떠한 변동이 오는지를 알기 위하여 90마리의 흰쥐($150{\sim}200gm$) 수컷을 인삼군과 식염수군 및 정상군으로 나누고 이것을 각각 다시 둘로 쪼개어 인삼군, 인삼-ACTH군, 식염수군, 식염수-ACTH군, 정상군 및 정상-ACTH군의 여섯 작은 무리로 나누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인삼군과 인삼-ACTH군에서는 몸무게 100gm에 대하여 인삼주정추출액(생리적 식염수 1ml속에 4mg의 인삼주정추출물이 포함된 용액)을 0.5ml의 비율로 매일 등뒤 피하에 5일동안 주사하였으며, 식염수군과 식염수-ACTH군에는 생리적 식염수를 몸무게 100gm에 대하여 0.5ml의 비율로 인삼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사하였다. 실험시작 제 5일째에 정상군과 식염수군 및 인삼군은 각각 전처치 없이 또는 인삼 혹은 식염수 주사후 2시간 만에 도살하고, 정상-ACTH군, 인삼-ACTH군 및 식염수-ACTH군은 각각 직접 또는 인삼이나 식염수를 투여한 다음 1시간 만에 ACTH를 주사하고, 그 시각부터 1시간후에 도살하여 부신, 간, 비장 및 췌장 조직의 핵산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치를 지표로하여 인삼이 장기 핵산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부신조직 RNA, DNA 및 RNA/DNA는 인삼군의 값이 정상군 및 식염수군의 그것보다 현저하게 많다. 인삼군의 값에 대한 인삼-ACTH군 값의 감소율은 정상군 및 식염수군에 대한 정상-ACTH군 및 식염수-ACTH군의 그것보다 현저하게 크다. 2) 간 조직의 RNA, DNA 및 RNA/DNA는 인삼군의 값이 정상군 및 식염수군의 값보다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인삼군 값에 대한 인삼-ACTH군 값의 감소율은 정상군 및 식염수군에 대한 정상-ACTH군 및 식염수-ACTH군의 그것 보다 적다. 3) 비장 조직의 RNA와 RNA/DNA는 인삼군의 값이 정상군의 그것 보다 현저하게 증가되며, 식염수군 보다는 감소된다. 인삼군의 DNA는 정상군에서 보다 감소되며, 식염수군의 그것 보다 증가된다. 인삼군 값에 대한 인삼-ACTH군 값의 감소율은 정상군에 대한 정상-ACTH군의 그것 보다 크며, 식염수군에 대한 식염수-ACTH군의 그것 보다는 작다. 4) 췌장 조직의 RNA와 DNA는 인삼군의 값이 정상군 및 식염수군의 그것 보다 현저하게 감소된다. 인삼군의 RNA/DNA는 정상군 및 식염수군의 그것 보다 증가된다. 인삼군에 대한 인삼-ACTH군의 RNA와 RNA/DNA 감소율은 정상군에 대한 정상-ACTH군의 그것 보다 적으나 식염수군에 대한 실염수-ACTH군의 그것 보다는 현저하게 크다. 인삼-ACTH군의 DNA는 인삼군의 그것 보다 증가되었으나, 정상-ACTH군 및 식염수-ACTH군의 DNA는 정상군 및 식염수군의 그것보다 감소되었다. 이상의 실험성적만으로 명확한 해석을 내리기는 어려우나 인삼은 장기의 RNA, DNA 및 RNA/DNA 비율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대체로 인삼은 부신의 RNA와 DNA 함유량 및 RNA/DNA 비율을 모두 증가시키나 다른 장기에서는 이들 값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인삼의 투여를 받은 동물에서는 ACTH투여후 조기에 부신 조직의 RNA, DNA 및 RNA/DNA의 감소율이 커지며, 간, 비장 및 췌장 조직의 RNA, DNA 및 RNA/DNA의 감소율은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2. 인삼 및 ACTH의 투여에 의하여 부신, 췌장, 간 및 비장의 DNA와 RNA 함유량이 변동하는 모습을 화학적 방법으로 추적하여 얻은 전편의 성적을 형태학적 및 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입증할 목적으로 몸 무게 18~20gm의 마우스 수컷 40마리와 몸 무게 150~200gm의 흰쥐 수컷 20마리를 사용하여 각각 식염수군, 인삼군, 식염수-ACTH군 및 인삼-ACTH군의 4무리로 나누고 그중 마우스에서는 $^{3}H$-thymidine을 이용한 자기방사법을 써서 부신, 췌장, 비장 및 간등 4조직의 DNA 합성능을 비교 관찰하고, 흰쥐에서는 methylgreen pyronine 염색을 이용한 조직화학적 방법을 써서 위의 4조직의 RNA 함유량을 측정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삼 투여는 마우스의 부신피질과 비장 및 간의 표지 세포수를 식염수의 투여만을 받은 대조동물의 그것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시키나, 췌장에서 만은 오히려 표지 세포 수효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인삼을 투여받은 흰쥐의 부신을 비롯하여 췌장, 비장 및 간 조직은 모두 methylgreen pyronine에 의하여 식염수군에서 보다 짙게 염색된다. 2. 식염수-ACTH군 및 인삼-ACTH군의 표지 세포수는 부신피질, 췌장, 비장 및 간 조직에서 모두 식염수군 및 인삼군에 비하여 감소되고, methylgreen pyronine으로 염색 할 경우에도 이들 조직은 식염수군 및 인삼군에 비하여 모두 묽게 염색된다. 3. 그러나 인삼-ACTH군의 표지 세포수는 부신피질, 비장, 췌장 및 간 조직에서 모두 식염수-ACTH군의 그것에 비하여 덜 감소되며, pyronine 염색에서도 4조직은 모두 식염수-ACTH군에서 보다 짙게 염색된다. 그러므로 인삼은 핵산 함유량에 현저한 영향을 미쳐 대체로 핵산의 생성을 촉진시키며, ACTH투여로 인하여 야기되는 조직 핵산 함유량의 감소를 어느 정도 억제한다.

  • PDF

염분 구배가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의 수직이동 및 DNA/RNA 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nity-stratified Waters on Upward Migration and Ratio of Extracted DNA/RNA in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Based on the Ratio of Absorbance at 260 and 280nm)

  • 조은섭;이영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68-473
    • /
    • 2005
  • 여수연안은 어류 치사성 유해적조생물인 C. polykrikoides 적조가 매년 발생되는 해역일 뿐만 아니라 섬진강으로부터 담수유입이 돌산을 중심으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담수유입에 따른 염분도 변화가 C. polykrikoides의 수직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조사했다. 실험장치는 60l들이 아크릴 수조에 일반해수와 담수와 해수를 혼합시킨 시험구를 설정하여 C.polykrikoides의 수직부상 속도와 DNA/RNA함량 비교를 하였다. 실험은 5일 동안 시행했다. 실험개시로부터 종료시까지 시험구의 경우 상층부위에서는 염분이 20으로 나타난 반면에, 하층은 30 정도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용존산소와 pH 변화는 시험구와 대조구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chlorophyll a도 수조의 하층보다 상층에 높은 수치를 보였다. 24시간동안 C. polykrikoides 상$\cdot$하층 이동을 조사한 결과 점등이 되는 순간 시험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상승을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차이는 적었다. 소등이 되는 동안은 점등에 비하여 상$\cdot$하층 현저한 차이를 볼 수 없고 대부분 균일하게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실험 종료시나 24시간 주 $\cdot$야간 수직이동 시 대조구에 비하여 시험구에 분포하고 있는 C. polykrikoides의 DNA 및 RNA 변화폭이 높았다 이 실험을 통하여 담수유입은 C. polykrikoides 세포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신속한 수직상승으로 인하여 여기에 대한 C. polykrikoides의 모니터링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16S rRNA 유전자 서열 분석을 이용한 DNA 및 cDNA 기반 장내 미생물 군집 분석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DNA- and cDNA-based gut microbial community analyses using 16S rRNA gene sequences)

  • 조혜준;홍지완;운노타쯔야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20-225
    • /
    • 2019
  • 최근 10년간 미생물생태분석 기반의 연구는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이 개발된 이래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장내미생물생태와 건강의 연관성은 미생물 생태학 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결과로 여겨지고 있다. 미생물 군집 분석은 주로 16S rRNA 유전자 가변 영역의 염기서열을 통해 분석되지만 이는 미생물의 활성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cDNA 기반의 미생물 생태분석을 수행하고 DNA 및 cDNA기반의 미생물생태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접근법이 Butyrate producer와 probiotics와 같이 장내 대사과정에서 중요한 미생물의 abundance 뿐만 아니라 비만 지표로 알려진 Firmicutes 와 Bacteroidetes의 비율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cDNA 기반 미생물 군집은 이전에 수행된 DNA 기반 미생물 군집 분석과 비교하여 장내미생물생태의 역할과 관련된 또 다른 분석 방향성을 제공한다.

As계의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RNA4의 염기서열 결정 (Determination of Nucleotide Sequences of cDNA from Cucumber Mosaic Virus-As RNA4)

  • 김상현;박원목;이세영;박영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6-181
    • /
    • 1996
  • Aster yomena로부터 분리한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CMV-As)의 RNA4로부터 완전한 길이의 cDNA를 합성하고 그 전체적인 염기서열(1,043 nt`s)을 결정하였다. CMV-As RNA4는 73개의 염기로 구성된 5`말단의 leader 부위, 657개의 염기로 구성된 외피단백질(coat protein) 유전자 부위 및 312개의 염기로 구성된 3` 말단의 비번역 부위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외피단백질 유전자 부위의 염기서열을 다른 계통의 CMV와 비교해 볼 때 그 염기서열이 보전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나 그 외의 부분은 다양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3` 말단부위의 61개의 염기로 구성된 부위(959-1019)는 다른 계통의 CMV에서는 상당히 유사하지만 CMV-As도 다른 CMV처럼 tRNA와 유사한 구조를 역시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CMV-As의 RNA4 염기서열을 다른 계통의 CMV와 비교할 때 CMV-I17F와 가장 유사하였으며(91.9%) S형의 CMV-M과는 가장 낮은 동일성을 보였다(71.1%). 외와 같은 염기성열의 비교 결과와 EcoRI 제한효소 인식부위의 존재로 미루어 CMV-As는 WT형으로 분류된다.

  • PDF

출아효모의 세포주기동안 DNA 상해에 의한 발현 유도에 미치는 DPB11 유전자의 영향 (Effect of DPBll Gene for the Transcriptional Induction by DNA Damage During Cell Cycl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선우양일;임선희;배호정;김중현;김은아;김승일;김수현;박정은;김재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6-102
    • /
    • 2002
  • S기 checkpoint기작은 DNA복제 저해나 DNA상해 등에 반응하여, S기 세포주기 정지를 일으키거나 상해 회복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전사가 유도됨으로서 진핵세포에서의 유전적인 안정성을 유지한다. 이러한 반응에 대한것ba11 변이주의 결손을 확인하기 위해서, nPB11 (DNA polymerase B possible subunit)유전자의 과다발현 효과에 대해 조사하고, HU (Hydroxyurea)와 MMS (Methyl methanesulfonate)에 대한 감수성 및 DNA상해 물질에 의한 RNR3 (Ribonulectide reductase) mRNA의 전사 유도를 조사하였다. RNR3 mRNA의 전사는 DNA합성 저해에 의해 발생한 스트레스나 화학물질에 의한 직접적 인 DNA상해 등에 의해 유도되어진다. 그 결과, dpb11-1변이주는 DNA상해 물질에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RNR3 mRNA전사유도 또한 야생형 균주에 비해 약 40% 정도 감소를 나타내었다. 더욱이 dpb2-1 균주에서도 이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므로 DPB2와 DPB11 유전자는 복제에 대한 sensor로서, 복제 정지 요인에 대한 세포주기 반응과 전사 조절에 모두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어미쥐의 임신 및 수유기의 저단백식이가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w Protein Diets During the Gestation and Lactation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Rats)

  • 김승욱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1권1호
    • /
    • pp.1-11
    • /
    • 1988
  • 어미쥐에 있어서 임신기와 수유 기간동안의 저단백 식이와 단백질 회복이 새끼쥐의 성장과 발달 즉, 세포 크기와 세포수, 뇌의 지질 함량과 신경 전달 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임신 2주째부터 정상식이(20% casein diet)와 저단백식이(11.7% casein diet)를 급여한 어미쥐에 의해 사육된 새끼쥐를 비교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군을 생후 21일째 희생시켰을때 체중 및 각 기관의 무게는 저단백식이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 임신기의 저단백식이군을 수유기에 정상식이를 급여하였을때 정상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한편 체중에 대한 각 장기의 무게비를 나타내었을 때는 저단백식이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간의 DNA, RNA 함량 및 단백질 함량은 임신, 수유기의 저단백식이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1). 한편, 임신기의 식이부족군(L-L군, L-L군)의 간의 체중에 대한 무게비가 임신기의 정상식이군(C-C군, C-L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liver weight/DNA는 R-R군이 높았으며(p<0.01), C-C군, C-L군, L-C군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3) 근육의 DNA, RNA 함량 역시 임신, 수유기의 저단백식이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1). 한편 뇌의 체중에 대한 무게비와 brain weight/DNA는 저단백식이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5) 뇌의 총지질 함량은 정상 식이군보다 저단백 식이군이 낮았으며(p<0.01) 수유기 저단백식이에 의한 영향이 컸다. 한편 뇌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임신기의 저단백식이군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p<0.01). 한편 뇌의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는 암컷의 경우에는 임신기 또는 수유기 또는 임신기와 수유기의 저단백식이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정상식이군(C-C군)에 비하여 낮았다(p<0.01). 본 실험의 결과는 어미쥐에 있어 임신, 수유기의 저단백식이는 새끼쥐의 성장 발달 즉 세포의 수, 세포크기, 단백질 함량, 뇌의 지질 함량 및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에 영향을 미침을 나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