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MA-2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33초

개수로 분류흐름에서의 특성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or a Dividing Flow in Open Channels)

  • 박성수;이진우;조용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53-57
    • /
    • 2009
  • 개수로에서 발생하게 되는 분류흐름에는 많은 특성들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지류부의 내측 벽면을 따라서 이차류 흐름이 나타나 토사나 오염물 등의 퇴적물 침전을 일으키는 분리구역이 발생하게 된다. 분류흐름에서 발생하는 분리구역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상류흐름에서의 자유수면 및 유속을 계산할 수 있는 이차원 천수방정식 수치모델인 RMA2를 이용하였다. 수치모의 결과는 Hsu 등(2002)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수치모의를 통해 유량비에 대한 분리구역의 크기 관계를 제시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분리구역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모서리 지점을 곡선과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유수흐름을 완만하게 만든 지형들을 제안하였다.

탐진강 하구부의 홍수방어계획 수립을 위한 수리모델링 (Hydraulic Modeling for the Establishment of Flood Prevention Plan in Tamjin River Estuary)

  • 전계원;백남대;김민호;김영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599-599
    • /
    • 2015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자연재해의 형태는 점차 대형화, 다양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에 의한 강도 높은 국지성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주고 있으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홍수량 산정과 홍수방지 시설물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탐진강 하구부의 홍수방어계획 수립을 위해 가상의 분수로 설치 유무에 따른 수리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HEC-RAS모형과 RMA-2모형을 적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먼저 1차원 수리모형인 HEC-RAS모형을 이용하여 탐진강 본류의 홍수위 저하 효과를 검토한 결과 현 상태와 비교했을 때 분수로 설치 시 홍수위가 최대 0.35m저하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차원 수리모형인 RMA-2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유한요소망을 구축하고 탐진강 본류 및 분수로의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수로 분류 후 탐진강 본류의 유속 및 수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수로의 유속은 대체적으로 3.0m/s이하로 분석되었다. 분수로 설치 시 탐진강 본류의 홍수량이 일부 감소하나 유사이송능력도 함께 감소하여, 탐진강 하구부 하상퇴적이 예상됨으로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합리적인 홍수방어계획을 제시할 예정이다.

  • PDF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methods for sediment level estimation in dam reservoir)

  • 주홍준;김형수;조운기;곽재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1호
    • /
    • pp.61-7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댐의 효율적인 계획 및 운영을 위해 댐 저수지의 최적 퇴사위 결정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안전한 설계에 의거하여 댐 저수지 사수위 내의 퇴사위 결정 방법은 비교적 높게 산정되는 수평퇴사법을 주로 적용하고 있지만, 댐 저수지의 퇴사위는 정확하게 계획되어야 하며, 이는 댐 생애주기 평가 차원에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을 위해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RMA-2와 연계된 SED-2D의 모형에 의한 방법, 수평퇴사법, 면적증분법(area increment method), 경험적면적감소법(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 퇴사위 결정을 위해 이를 산정하여 2007년 기준 실측 퇴사위와 비교하였다. 또한, 현재 및 미래 퇴사위를 예측하여 각 방법별로 경향과 추이를 분석하였다. 실측 퇴사위와 산정된 퇴사위를 비교한 결과, 경험적면적감소법이 실측값과 가장 근사하게 산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현재 및 미래의 퇴사위는 전반적으로 과거 퇴사위의 경향과 추이를 따라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보면 경험적 면적감소법의 이용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고, 모형에 의해 분석 결과의 타당성을 검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된다.

The Hypoglycemic Effect of Adly Diet is not Significant when the Amount of Total Fiber Consumption is Controlled

  • Cho, Youn-Ok;Lee, Mie-Soo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9호
    • /
    • pp.1055-106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hypoglycemic effect of adlay diets when total fiber consumption was controlled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Forty eight rats were fed for 3 weeks with either controlled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Forty eight rats were fed for 3 weeks with either control diets or experimental diets : raw mille adlay (RMA) raw whole adlay(RWA) , steamed milled adlay(SMA) or roasted mille adlay(OMA). The composition of the AIN-76 diet was modified to ensure the same composition of protein, carbohydrate , rat, and fiber between the control diet and experimental diets. The concentrations of glucose , insulin, glycogen, and protein in plasma, liver, or skeletal muscle were compared . Compared to diabetic control rats, plasma postprandial glucose levels tended to be decreased in RMA, RWA, SMA and OMA rats until the 2nd week, but no difference was shown at the 3 rd wee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sulin levels among those groups. After glucose loading, the plasma glucose level of SMA was lower than that of diabetic control rats throughout 2 hrs. Liver glycogen was lower than control values in RMA and RWA rats and not different in SMA and OMA rats. The muscle protein level of RMA, RWA, SMA, and OMA rats tended to be lower than in diabetic control ra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glycogen among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ypoglycemic effect of an adlay diet is not significant when the amount of total fiber consumption is controlled.

  • PDF

호우발생시 저수지 유입 부유사농도의 변화특성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Reservoir due to a Rainstorm)

  • 장수형;박무종;윤용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43-54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우시에 저수지로 유입되는 토사유출량을 산정하고 저수지내 부유사 농도의 변화특성을 분석하여 저수지의 정량적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탐진댐에 적용되었으며 강우유출관계는 Huff의 강우분포와 Clark의 유역추적법을 사용하였으며, 저수지 추적은 Puls방법을 이용하였다. 토사유출량의 산정은 범양토양손실공식을 분포형 개념을 이용 단일호우에 대해 적용하여, 적정 빈도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저수지내에서의 부유사 농도는 2차원 수리모형인 RMA-4를 이용하였다. 연구 수행결과 호우발생시 저수지에서의 취수가능기간에 대한 계산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재현기간 및 강우량에 따른 여러 측면에서 용수공급에 따른 일정 수질 유지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는 강우시 저수지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 가능하다.

하천에 순간적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의 플러싱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Flushing Effects for Instantaneous Contaminants Input into River)

  • 정재욱;김수열;김진영;윤세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43-5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갈수시 하천에 순간적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에 대해 댐방류량 변화에 따른 플러싱 효과를 분석하였다. 한강하류부(잠실수중보${\sim}$신곡수중보)에 RMA-2 및 RMA-4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유로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종확산계수는 $50m^2/s$을 사용하였다. 댐방류량은 1시간동안 $500m^3/s,\;1000m^3/s,\;1500m^3/s,\;2000m^3/s$로 변화시켰으며, 갈수시 유량은 $200m^3/s$로 고정하였다. 정체되어 있는 경우와 순간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성산대교 부근에서 농도가 1ppm 이하로 떨어지는 시간을 각 유량별로 분석하였다. 댐방류량이 증가할수록 희석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댐방류량과 희석시간이 선형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간적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이 정체된 오염물질의 경우보다 댐방류량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으며, 댐방류량에 의한 플러싱을 시도할 경우에는 본류의 오염물질이 지류로 역류하는 범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저지대 농경지의 홍수범람 분석 (Analyzing the Flood Inundation in Low Agricultural Area)

  • 전계원;이호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2호
    • /
    • pp.17-24
    • /
    • 2007
  • This study analyzes the flood inundation in low agricultural area caused by rainfall during typhoon periods and how flood inundation areas should be affected. GIS techniques, HEC-HMS and HEC-GeoHMS were used for flood runoff, HEC-RAS was applied in water surface elevation analysis at each cross-section. RMA2, SED2D were applied for runoff characteristics of inundation areas and river bed change and distribution of sediment. As a result, velocity distribution was analyzed 2.6 m/s-3.4 m/s in flood inundation by water level increase. In the case of bed elevation change, most sediments were deposited to the parts that adjoin bank.

이차원 흐름모형을 이용한 일산대교 영향 분석 (Analysis on Effects of the Ilsan Bridge by a Two-dimensional Flow Model)

  • 이남주;이삼희;박성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8-168
    • /
    • 2011
  • 본 연구는 일산대교의 교각이 한강 하류부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서, 이차원 흐름모형을 사용하여 일산대교 교각에 의한 흐름변화를 분석하였다. 일산대교 교각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일산대교 상류 쪽 1.2 km부터 하류 쪽 1.7 km까지 약 2.9 km 구간을 대상으로 RMA-2 모형을 사용하여 흐름을 예측하였다. 이 구간의 하상고는 EL. -5.01 m ~ EL. 2.20 m이다. 일산대교의 교각이 있을 경우에 대한 절점 개수가 7,083개, 유한요소의 개수는 2,799 개이며, 교각이 없을 경우에 대해서는 절점 개수가 7,121개, 유한요소의 개수는 2,856개이다. 일산 대교에 의한 영향 검토 결과, 교각으로부터 상하류로 200 m 정도 떨어진 영역에서는 유속 벡터의 경향에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산대교 근처에서는 교각의 방향에 따라 흐름 방향이 유도되고 직상류에서 흐름의 방향이 급격히 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일산대교 하류에서는 교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