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MA-2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49초

상근피의 Hippo 신호전달 경로 활성화를 통한 YAP 억제 효능 (Root Bark of Morus Alba Suppresses the YAP Activity through Activation of Classical Hippo Signaling Pathway)

  • 조유나;최다빈;정한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91-197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root bark of Morus alba (RMA) on the regulation of the Hippo-YAP pathway. Hippo-YAP signaling is a critical regulator in controlling organ size and tissue homeostasis. Hippo, the serine/threonine kinase phosphorylate the LATS. Phosphorylated LATS then phosphorylates and inactivates the YAP and TAZ, which are two closely related transcriptional co-activator. Here we report RMA activates the Hippo signaling, thereby inhibits the YAP/TAZ activity. First, we examine the cytotoxic effects of RMA by MTT assay. RMA was cytotoxic at concentrations higher than $50{\mu}g/ml$ in HEK293A cells. The reporter gene assa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activity of TEAD, a key transcription factor that controls cell growth and proliferation. RMA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luciferase activity. By phos-taq gel shift assay, and western blotting, we showed that RMA enhanced the phosphorylation of YAP in wild type cells, but not in LATS1/2 knock out cells, which means RMA activates classical Hippo pathway. RMA induced the cytoplasmic sequestration of YAP. RMA also suppressed the mRNA expression of CTGF and CYR61; the two major YAP dependent genes. Taken together, RMA is considered to be a good candidate for proliferative disease such as cancer, by facilitating cell death through activating the Hippo signaling pathway.

하상오염물 제거에 의한 수질개선효과 수치모델링 (Numerical Simulation of Water Quality Enhancement by Removal of Contaminated Bed Material)

  • 이남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49-357
    • /
    • 2011
  •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estimate effect on water-quality enhancement by removal of contaminated river-bed material using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ing in the Seonakdong River, the Pyunggang River and the Maekdo River. RMA2 and RMA4 models were used for flow and contaminant transport simulation, respectively. After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flow restoration plan for the Seonakdong River system made by Lee et al (2008), simulation have been performed about scenarios which contains operations of the Daejeo Gate, the Noksan Gate, the Makdo Gate (on planning), and the Noksan Pumping Station. Because there is no option for elution from bed sediment in the RMA4 model, a simple technique has been used for initial condition modification for elution. The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 on water quality improvement due to dredging of bed sediment seemed to be less than 10 % of the total effect. The most efficient measure for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river system was the linked operation of water-gates and pumping station.

2-Hydroxyethylmethacrylate가 도입된 로진 변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합성과 그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Unsaturated Polyester Modified with Rosin Containing 2-Hydroxyethylmethacrylate)

  • 강두환;윤동국;권동건
    • 공업화학
    • /
    • 제10권3호
    • /
    • pp.450-455
    • /
    • 1999
  • 말레산 무수물 (MA)과 diethylene glycol (DEG)을 반응시켜 볼포화기가 도입된 에스테르형 디올 (UD)을 제조한 다음 이를 로진과 MA를 반응시켜 얻은 rosin maleic anhydride adduct (RMA) 또는 2-hydroxyethylmethacrylate (HEMA)가 도입된 RMA (RMA-HEMA)와 각각 반응시켜 rosin (UPMR) 및 RMA-HEMA 변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UPMRH)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를 가교제로 스티렌 또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로 가교시킨 후 내용매성과 인장강도 및 접착특성을 측정하였다. 가교제로 스티렌을 사용하는 경우가 MMA를 사용한 것에 비해 내용메성과 인장강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UPMRH의 경우가 UPMR에 비해 내용매성이 우수하였고 인장강도도 증가되었다. 한편 T-peel test로 측정한 계면접착력에 있어서 UPMR의 경우 가교제로 스티렌 및 MMA를 사용하는 경우는 1.61과 3.02 MPa인 반면 UPMRH의 경우는 2.32와 3.89 MPa로 HEMA가 도입됨에 따라 계면접착력이 증가되었다.

  • PDF

RMA2 모형을 이용한 함평천 복원사업구간 흐름 해석 (Flow Analysis of Restoration Area on the Hampyung Stream by Using RMA2 Model)

  • 이남주;이용진;여홍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885-889
    • /
    • 2009
  • 국가하천 함평천은 전라남도 함평군과 무안군 등 2개 군에 걸쳐 위치하고 있는 영산강의 제1지류로서 동측으로는 고막원천, 서측으로는 서해안, 북측으로는 영광군이 위치하고 있으며, 남측으로는 영산강 본류와 접하고 있다.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엄다면, 학교면 사이에 위치한 함평 세계 나비 곤충 엑스포장 옆의 함평 2지구 하천환경정비사업 구간을 구하도 복원사업 구간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는 함평 2지구 하천환경정비사업 구간에서 수리학적 영향을 검토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평면 이차원 모형을 사용하여 흐름 변화를 분석하였다. 흐름 계산은 RMA2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유속과 수위의 평면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평면 이차원 모형 적용 결과를 통해 하도 폐색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하도의 사행화와 분리하도를 구성하여 다양한 유속 분포를 보였으며, 분리하도 구간은 1 $m^3/s$ 이상의 유량을 유지하고 있어 하도 폐색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퇴적 및 침식에 의한 하도의 직선화가 되지 않도록 적절한 재료의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사행하천 제방설치에 따른 합류부 1차원 및 2차원 수리특성 (One- and Two-dimensional Hydraulic Characteristics at Confluence by Embankment Construction of Meandered Channel)

  • 이인아;최흥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77-1281
    • /
    • 2007
  • 1차원 수치해석망은 수위관측소와 우량관측소를 경계로 광역모형을 구성하고 HEC-RAS를 이용하여 부정류 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얻은 유량과 수위자료는 2차원 해석 모형인 RMA-2의 경계조건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2차원 격자망을 구성하고 RMA-2를 적용하여 수리특성을 분석하였다. 광역모형의 구성에 의한 HEC-RAS 부정류 해석 결과 제방설치 전과 후의 수리특성의 변화는 그리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RMA-2 해석 결과 계획홍수량 초과하는 홍수에서 대상유역에서 제방설치 전과 후의 변화는 통수단면적의 감소에 따른 빠른 흐름과 수위의 변화를 가져왔으나 그 크기는 현저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 PDF

차량 추적 시스템에서 RCP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ethod for Identifying RCP in the Vehicle Tracking System)

  • 이용권;장청룡;이대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5-24
    • /
    • 2016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location tracking is a method for taking the precise coordinates after the coordinates are obtained by a GPS receiver, and displaying them on the map. In this paper with WAVE(Wireless Access for Vehicular Environment) simulation, we show that various services such as vehicle tracking service, real-time road conditions service and logistics can go tracking service, control and operation services according to the vehicle position and the traveling direction by using the GPS position data. A vehicle tracking system using GPS is automatically able to manage multiple RCP when exchanging data between RMA and the RCP, and it provides rapid requests and responses. To verify that multiple sessions between RMA and RM, as well as multiple sessions between RMA and RCP are able to be implemented, we take RMA as a RCP application on an OBU, until the RMA is receiving data response from corresponding RM.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we show that the response speeds of single session between RMA and RM using 1, 2, 3, and 4 kbyte unit data are similar, 62.32ms, 62.65ms, 63.02ms, and 63.48ms, respectively. Likewise, those of 128 muliple sessions using 1, 2, 3, and 4 kbyte unit data are not much more time difference, 298.08ms, 302.21ms, 322.85ms, and 329.62ms, respectively.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준설현장 탁류 모의 (Simulation of Dredging Turbidity Flow Using 2-D Numerical Model)

  • 정영원;김영도;박재현;이만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18-1423
    • /
    • 2008
  • 연안이나 하천 등에서 공사 시 준설작업으로 인해 많은 양의 부유토사가 발생되며 발생된 부유 토사의 이송 확산은 수환경에 변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준설작업에 있어 부유토사물의 이송 확산 범위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비책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부유토사는 준설작업 시 Cutter Head가 해저면에 닿는 순간부터 작동을 멈출 때까지 계속하여 발생하며, 이러한 과정들이 반복되면서 많은 양의 토사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부유토사는 수체흐름에 따라 움직이는데 조류가 있는 연안에서는 시간에 따라 흐름이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치모형인 RMA2, RMA4를 이용하여 부유토사의 확산과정을 모의하고 준설현장에서 부유토사흐름을 실측하여 비교하였다.

  • PDF

RMA-2를 이용한 만곡수로 합류부에서의 유속모의 (Simulation of Velocity at Curved Channel Junction with RMA-2)

  • 오형석;이진우;조용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95.1-95.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만곡하천에서 본류와 지류의 합류각에 따른 수치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합류부에서의 유속변화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적용대상지역은 조양강과 용탄천 합류부로서, 만곡하천에 지류가 합류하며 유량이 적은 지류의 합류부에서 유속변화가 나타나는 지역이다. 합류부에서의 지류의 합류각에 따른 유속변화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류의 합류각을 $30^{\circ},\;60^{\circ},\;90^{\circ},\;120^{\circ}$로 바꾸어 수치모의를 실시하였고, 수치모의는 상용 2차원 수치모형인 RMA-2를 이용하였다. 합류부에서 지류의 합류각이 커짐에 따라 합류점의 유속이 느려지고, 유속이 감소하는 범위가 넓어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리모형(RMA-2)을 이용한 팔당호의 유속분포 모의실험 (Simulation of Velocity Distribution in the Lake "Paldang" using the RMA-2 Model)

  • 신동석;권순국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23
    • /
    • 1999
  • 팔당호의 수심측량자료와 1997년의 유출${\cdot}$입 유량을 이용하여 RMA-2 수리모형의 팔당호 유속자료를 모의실험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팔당호에 대한 RMA-2 수리모형의 민감도 분석결과 조도계수보다는 난류교환계수가 유속의 변화에 더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팔당호에 RMA-2를 적용한 결과, 유속의 크기는 완충지역 역할을 하는 경안천 유입부인 남쪽보다는 방류량과 취수량에 영향을 받는 팔당호 북쪽이 10배 정도 크게 계산되었으며, 팔당호 내부의 물의 흐름은 7월까지는 흐름의 방향이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흐르는 정상적인 상태를 보이다가, 7월 이후 유입량이 많아짐에 따라 댐에서의 차단효과 때문에 경안천 및 소내섬 쪽으로 역류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팔당호 내부의 물의 흐름 방향과 지점별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할 수 있었다. 3) 팔당호 내부의 역류 현상은 유입량과 유출량이 평형을 이루는 12월까지 지속되며, 특히 소내섬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이 이 시기에 뚜렷하게 나타나, 수질이나 퇴적현상을 예측할 경우 이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RMA-2모형에 의하여 좀더 정확한 유속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실축유속 및 지형자료의 갱신 및 축적이 필요하다.

  • PDF

하천에서 추적자를 이용한 오염물질 거동분석 (Analysis of a Pollutant Flow Tracer Test in River using Radioactive Isotope)

  • 김기철;이종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00-40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유입된 오염물질의 거동 및 확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제 하천에서 RI(Radioactive Isotope) 추적자를 이용하여 오염물 확산을 실측하고 그 결과를 수치모형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수로구간은 금강 상류지역의 용담댐 부근 합류지점으로부터 하류로 약 2km구간에서 실험을 하였으며, 수치모형으로는 RMA-2(Resource Modeling Associates-2), RMA-4를 사용하였다. RI를 이용한 현장실험은 모델링을 적용한 지역과 동일 지역에서 실험을 실시하였고, 각 구간의 간격은 1km로 정하되 현장 사정에 따라 차이를 조금 두어 RI계측기인 NaI계측기를 통한 1초 간격의 농도 데이터를 계측하였다. 계측결과는 수치모형의 결과와 실제 하천에서의 확산범위 및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확산계수 변화에 따른 농도 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