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MA-2

Search Result 21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Hydraulic Characteristics Analysis By Lateral Inflow (횡유입에 의한 수리특성 분석)

  • Choi, Hung-Sik;Lee, In-A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06-1710
    • /
    • 2006
  • 횡유입에 의한 합류부에서는 통상 하천에 비해 수위, 유속 등의 수리학적으로 불안정한 수리특성이 나타난다. 이로 인한 합류부의 배수효과는 합류점뿐만 아니라 합류점 상류의 본류와 지류의 수위 및 유속 변화로 홍수나 태풍에 영향을 가중시켜 더 큰 피해를 가져온다. 따라서 합류부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하천의 안정적 기능을 유지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2차원 동수역학 해석모형인 SMS(1999)의 RMA-2를 이용하여 합류부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합류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모형수로 실험을 한 박용섭(2003)의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같은 조건으로 RMA-2 해석에 적용하였다. 이에 따른 횡유입의 분리구역 현상을 RMA-2의 분석결과로 확인 할 수 있으며 박용섭(2003)의 실험자료와 비교분석 하였다.

  • PDF

Calculation for Velocity on Paldang with RMA-2 (수리모형(RMA-2)을 이용한 팔당호의 유속분포 계산)

  • 신동석;권순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1998.10a
    • /
    • pp.479-483
    • /
    • 1998
  • Many computer models have been used for estimating the water quality and evaluating countermeasures. The models such as QUAL2E, STREAM, WASP, CE-QUAL have been applied in the waters so far. Some modeller assumed either that the flow of the waters is steady or that the storage change of the waters is negligible. And someone excluded hydraulic part from the quality simulation. It may cause inaccurate estimations of water flow and quality, particularly when the waters have seawards boundary and more inflow than outflow, etc. In order to show the velocity vector for water quality simulation of Paldang lake in dynamic condition, RMA-2 was performed with the water quantity data in 1997.

  • PDF

A Study on Hydraulic Analysis Using SMS and WMS -for Stream Reach between Gongdo and Pyeongtaek Water Level Gauge Stations- (SMS와 WMS를 이용한 하천의 수리학적 분석 연구 -공도.평택 수위관측소 구간을 대상으로-)

  • Park Min-Ji;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58-62
    • /
    • 2006
  • 본 연구는 SMS의 RMA-2를 이용한 하천흐름 해석에서 WMS HEC-1으로 모의된 하천 본류 및 지류의 수리량을 동적인 경계 입력자료로 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별로 하천내의 흐름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안성천 유역의 공도와 평택수위관측소 구간(10.5 km)에 대하여 WMS로 모의한 50, 100, 500, 1000년 빈도별 시단위 유량을 본류 및 3개 지류의 유량 경계조건으로 적용하여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SMS RMA-2의 동적 조건(dynamic condition)으로 구동한 결과, 하천 본류구간의 시간별 수위 및 유속분포를 모의할 수 있었다. 빈도를 증가시킬수록 측점별 평균 유속과 수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지류가 유입되는 본류지점의 가까운 하류부에서 하천 폭이 좁으면 유속이 크게 증가하였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at Curved Channel Junction with RMA-2 (RMA-2를 이용한 만곡하천 합류부에서의 흐름해석)

  • Lee, Jin-Woo;Oh, Hyeong-Sek;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38-24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만곡하천에서 본류와 지류의 합류각에 따른 수치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합류부에서의 유속변화와 수위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적용대상지역은 조양강과 용탄천 합류부로서, 만곡하천에 지류가 합류하며 유속과 수위가 변하는 지역이다. 합류부에서 지형변화에 따른 합류부에서의 유속과 수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류와 지류가 합류되는 부분의 합류각 변화에 따른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자연형 하천에 가까운 수치모의를 위하여 조양강과 용탄천의 관측값(유량 및 수위 자료)을 적용하여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Hydraulic Impacts due to Sudden Enlargement of Kyungpo-cheon River Channel (경포천 하도 급확대에 따른 수리학적 영향분석)

  • Choi, Jong-Ho;Jung, Tae-Jung;Jun, Kye-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2 no.2
    • /
    • pp.35-45
    • /
    • 2019
  • The enlargement and reduction of river channels can not only change the flow of water but also alter sedimentation patterns, thus hindering smooth flood conveyanc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udden enlargement of river channels on changes in the riverbed and river flow. For this purpose, as part of the "Hometown River" Construction Project, this study examined the local river Kyungpo-cheon, which a section of the river channel was widened by at least two- to three-fold, using RMA-2 and SED-2D models to simulate the changes in flow characteristics and riverbed variation due to the widening of the channel.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widening the Kyungpo -cheon river channel secured its dimensional stability in comparison to before widening. however, due to a flood frequency of more than once per year, future maintenance and management will be costly and time-consuming.

추적자를 이용한 오염물질 거동분석

  • Kim, Gi-Cheol;Lee, Jong-Seok;Lee, Jae-Cheol;Kim, Yun-Ho;Yeon, Gi-Heum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89-293
    • /
    • 2008
  •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t the movement of polluted substance that is flown into the riv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persion, the experiment that used the RI (Radio Isotope) tracer in the river was undertaken, and by using the experiment result, the figure modelling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general type of pollutant dispersion. In addition, in order to calculate more accurate dispersion range and moving time, the experiment was done in about 2km from the measuring points of Namdaecheon around the Yongdam Dam of the upper Geum River to the lower stream, and modeling was undertaken for the 20km zone from the measuring points to the lower stream. In order to find out the flow of river and dispersion of polluted substance, RMA (Resource Modeling Associates)-2 and RMA-4 program are used in study. The site experiment using the RI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 in the applied area and the same area,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zone was set for 1㎞ with the slight difference for site situation and measured the density date of one second distance through the NaI apparatus to measure the density data of one second interval. On the basis of this measured data, it i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result of figure copy of RMA-2 and RMA-4 models to make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density distribution following the change in expansion coefficient that makes great influence on expansion range and dispersion in natural rivers. The influence of expansion coefficient on river can be researched and the measured density data, the maximum and minimum density time, and the basic data to calculate the expansion coefficient was prepared in this study.

  • PDF

Comparative Study for Pollutant Transport and Diffusion Model (오염물 이송 및 확산 거동 해석모형의 특성비교연구)

  • Jung, Sung-Tae;Lyu, Si-Wan;Kim, Young-Do;Seo, Il-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07-1411
    • /
    • 2007
  •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2차원 흐름 해석모형은 미연방 도로국(U.S.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과 연계하여 Brigham Young University에서 개발된 SMS(Surface-Water Modeling System) 모형이다. SMS모형 중 이송 확산 모형으로는 RMA-4가 포함되나 이 모형은 최신 수치기법을 반영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들로 인해 실제 물리적 현상 모의에 있어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물리적 현상에 대한 적절한 모의를 위한 개선과정을 통하여 RAM4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RMA-4와의 모의결과 비교를 통하여 오염 확산 해석모형인 RAM4의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RAM4와 RMA-4 모의에 있어서 격자구성과 경계조건은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유량조건은 평수량과 갈수량으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유량시 수위조건이 틀려지므로 각 유량조건에 대한 격자구성을 달리하였다. 모의구간은 낙동강 본류의 수산대교에서 삼랑진 철교까지의 약 13km 구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의 구간내에는 밀양-하남 하수처리장이 상류 좌안측에 위치하고 있고, 만곡, 단면의 축소 및 확대, 하중도, 합류 등의 지형학적 특징들이 비교적 짧은 구간에 나타나고 있어 모형의 검증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aehwa River Red Tide Solution through Stream Flow (유수소통을 통한 태화강 적조해결 방안 연구)

  • Cho, Hong-Je;Yoon, Sung-Kyu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3 no.2
    • /
    • pp.363-375
    • /
    • 2011
  • Recently, Water quiality of urban river largely have gotten better by virtue of sewer pipe laying and sewage treatment plants construction. or the various contaminants which is flowed in into river have generated underwater ecosystem disturbance and red tide by lack of sewage and waste water disposal facilities. With tidal river, taehwa river of ulsan metropolitan city has large river width and gradual stream bed gradient at the dry and storage period. Moreover, the flow is paralyzed due to the bridge pier protection work, consist of the mat foundation which is about 1.2km from two bridge and the contaminant is accumulated. it is caused by of the red tide generated from the several years or it activates. In this study, When flow area is largest by changing independent footing of bridge pier of two bridges and using RMA2 model, we hydraulically analyzed a variable breadth of velocity and discharge. Consequently, flow rate increased the maximum 103%, discharge was exposed to increase the maximum 61%. Directly this cannot extinguish the red tide but suppresses the red tide occurrence or can reduce. And it is determined to prevent the depositioning of the contaminant and can control fundamentally the red tide occurrence cause.

An Assessment of Flow Characteristic and Riverbed Change by Construction of Hydraulic Structure (수리구조물 설치에 따른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 연구)

  • Kwak, Jaewon;Jin, Hwansuk;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542-550
    • /
    • 2017
  • The estimations of flow characteristics and river-bed erosion or sedimentation are very important for hydraulic structure design, floodplain management, and especially, river management.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herefore to estimate the change of flow characteristics and river-bed change due to a hydraulic structure construction. With 11.65 km study area of the Geum River which are located in downstream of Daecheong Dam, flow characteristics and river-bed change were estimated based on the RMA2 and SED2D model.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increase of river-bed sedimentation in upstream and river-bed erosion in downstream were occurred by the construction of hydraulic structure.

Prediction of Solute Transport in Natural River Using RAM4 (RAM4모형을 이용한 자연하천에서의 확산거동 예측)

  • Jung, Sung-Tae;Lyu, Si-Wan;Kim, Young-Do;Seo, Il-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46-2050
    • /
    • 2008
  •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2차원 흐름 해석 모형은 미연방 도로국(U.S.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과 연계하여 Brigham Young University에서 개발된 SMS(Surface-Water Modeling System)모형이다. SMS모형 중 이송 확산 모형으로는 RMA-4가 포함되나 이 모형은 최신 수치기법을 반영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들로 인해 실제 물리적 현상을 모의에 있어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물리적 현상에 대한 적절한 모의를 위해 여러 개선과정을 거쳐 RAM4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점적분 유사량 측정기(P-61)와 대하천 유속계를 사용하여 대상구간의 SS자료 및 유속의 2차원적 분포를 취득하였고, SMS의 Pre-processing 기능을 이용하여 유한요소망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유한요소망과 흐름모형인 RMA-2를 사용하여 대상구간의 유속장을 모의하였다. 이때 모의된 유속장과 현장에서 취득한 유속분포를 비교하여 RMA-2를 검증하였고, SS자료와 RAM4로 모의된 농도장을 비교하여 RAM4를 검증하였다. 검증된 두 모형을 바탕으로 대상 구간에서 다량의 점오염원이 투입되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선정 및 적용하여 오염물 이송 및 확산 거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 하천은 형산강으로써, 유역 내에 경주시와 포항시가 위치하고 이 두 도시를 잇는 산업도로가 형산강 본류 위를 지나고, 또한 두 도시를 관류하고 있어 다른 국가하천과 마찬가지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질관리가 필요한 하천이다, 모의구간은 형산강 본류 중 No. 68(안강 수위관측소 상류 약 350 m)에서 No. 48(부조 수위관측소 하류 약 200 m)까지로서, 약 4.3 km 구간을 모의 하였다. 모의구간 시점에서 약 0.35 km 지점에 산업도로의 일부분인 강동대교, 0.98 km 지점에 왕신천 유입, 1.35 km 지점에 수중보, 1.8 km 지점에 국당1교, 3.2 km 지점에 국당2교가 위치하며 구간 내에는 만곡 및 사행, 특히 수중보 전 후로 사주가 발달해있어 2차원 흐름 및 이송확산 모의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