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FID infrastructure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1초

U-City 분야별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 분석 (Preference Analysis for U-City Services)

  • 김종기;남수태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9권4호
    • /
    • pp.51-63
    • /
    • 2010
  • U-City applies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RFID, GPS, USN to various components of city functions and services. The concept of U-City was popularized especially in Korea and currently more than 40 projects have been carrying out all over country. U-City incorporates advance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to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s to provide better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ferences for the U-City services by surveying experts in U-City developing companies. This study employs Analytic Hierarchy Process which is very useful tool for perform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otal of 28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irst 7 most preferred items were from transportation and safety area and environment and healthcare area and 4 out of 6 items in transportation and safety area were ranked among them. It implies that respondents consider countering anxiety caused by congested traffic, natural disasters, crimes, etc most important aspect that U-City should deal with. On the other hand, U-Port, U-Convention, U-Logistics, U-Public Administration and U-City Portal were listed as the least preferred services.

Particle filter를 이용한 군집로봇의 상호위치인식 (Mutual Localization of swarm robot using Particle Filter)

  • 정광민;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98-303
    • /
    • 2010
  • 로봇은 무선센서를 이용하여 상대 로봇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로인해 자신의 이동방법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임의위치의 이동 로봇들이 일렬종대와 횡대, 여러 집합모양, 원모양등 여러 가지 형태의 로봇집단을 형성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로봇집단 형성은 무인 잠수함이나 무인 탱크의 배치계획, 침입자에 대한 포위진형 계획 등에 이용될 것이다. 본 논문은 기반 시설이 필요 없는 군집로봇의 상호위치인식시스템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러므로 기준점의 좌표 값을 알 필요 없는 삼변측량을 이용하여 상대좌표계에서의 로봇 간 상호위치를 인식한다. 위치탐지를 위한 주요센서로는 초음파, 적외선, 레이저, RFID, 카메라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센서들의 정확도는 전파 수단 및 사람, 초목, 건물 등 주위 환경변화에 민감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추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파티클 필터를 제안한다.

유비쿼터스 사회환경에서의 도서관 기능 및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unctions and Services of a Library Based on Ubiquitous Life)

  • 김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97-114
    • /
    • 2009
  • 도서관의 역할 및 서비스는 전통적으로 정보기술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하여 왔다. 최근 새로운 정보 기술로서 유비쿼터스 기술이 의학, 건축, 상거래, 방송통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은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및 기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의 발전과 함께, 도서관은 역할 및 기능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네트워크에 대한 개념과 정의를 알아보았으며 특히, 향후 유비쿼터스 사회의 기술적 기반이 되는 요소기술 및 요구사항과 함께, 도서관의 새로운 역할 및 서비스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 사례연구 및 전문가그룹과의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도서관 서비스 및 역할은 두 가지 관점 즉, 네트워크 및 물리적 공간을 기준으로 고려되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도서관은 전통적인 정보제공기관으로서 뿐만이 아니라 문화기관 및 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이 더욱 확대되어질 것이며 이를 위한 개인화 및 문화 교육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