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STORATION TYPE

검색결과 788건 처리시간 0.031초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V) - 사례지의 복원전략 -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V) - Restoration Strategies of the Case Study Areas -)

  • 오구균;김용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52-365
    • /
    • 1997
  • 상록활엽수림 복원모형의 연구의 일환으로 사례지인 전남 완도와 경남 목도의 복원전략을 제시하였다. 완도의 식생복원 유형은 개선형과 재현형으로 구분했고, 목도는 개선형으로 제시했다. 완도의 복원식생은 붉가시나무군락, 참가시나무군락, 참식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생달나무군락 등 상록활엽수림 군락을 목표식생으로 제시했다. 목도의 복원식생은 후박나무군락으로 제시했다. 완도의 종복원 대상은 개체군의 분포지역이 매우 한저되어 있고 크기가 작은 수종 중에서 참나무과의 참가시나무와 자작나무과의 새우나무를 선정하였다. 목도지역에는 복원할만한 수종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출토복식의 보존.보수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Excavated Costume)

  • 안명숙
    • 복식
    • /
    • 제57권3호
    • /
    • pp.14-22
    • /
    • 2007
  • This study is about the excavated costume representing fundamental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It's not a report of a specific case, but it is a guideline that contains the costume and textile of museum collection. It is not research based on experiments; however, this paper is basically consists of various reported-documents.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1. These are the factors that we have to know to prevent the causes of fabric's degradation. -Light, -Humidity and temperature, -Microscopic organism, -Insect and rodent animal, -Air pollution, -Ph, -Handling 2. Basic principles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ollows are: -Select the Reversible method, -Represent the easily distinguishable repaired place, -Should be acted by an expert or people with experience, -Before the restoration, accurate and specified records should be completed, -Procedure, treatment method, and materials used should be recorded prior to restoration, -Should be cared minimally, -Be cautious when using the conservation materials, -When caring, make sure nothing is against the principle of aesthetic, historic, and form of preservation 3. The types of restoration are type of straight or curve, type of hole, type of without warp or weft, type of special part damage something like sleeve, collar, type of form that is severely damaged, and type of separated pieces. 4. The method of restoration is sewing, stitching, and the combination of sewing and stitching. 5. The restoration seams are welt seam, plain seam, flat felled seam, french seam etc. And there are kinds of used-sewing, such as, broad stitching, backstitch, half backstitch, basking, hemming, saddle stitching etc.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보전실태 및 복원(II) -사례지의 식생복원계획- (Conservation Status and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 Korea( II ) -Restoration Planning of Vegetation in a Case Study Areas-)

  • 오구균;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1-82
    • /
    • 2003
  • 난온대 지역인 완도난대수목원과 신지도, 장도 등을 사례연구 대상지를 선정하여, 기초환경 조사 및 훼손등급 사정 후, 산림기능과 복원목표식생 설정, 식생복원유형과 복원기법 등을 구상하여 사례지의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복원계획안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요구와 복원목표 등을 고려하여 산림기능은 생태계보존기능, 풍치보전기능, 임목생산기능으로 구분하였고, 복원목표식생은 붉가시나무림, 구실잣밤나무림, 후박나무림. 생달나무림, 황칠나무림 등으로 설정하였다. 식생복원유형은 보존형 복원형. 재현형, 조림형으로, 복원기법은 훼손등급에 따라 보존, 유도, 개량, 조성으로 세분하였다.

비무장지대(DMZ) 훼손지 데이터베이스 구축연구 (Study on Database Construction of Demilitarized Zone)

  • 성현찬;서정영;이상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3-150
    • /
    • 2017
  • In this study, we intend to integrate the database(DB) method into one logical structure that is related to damage such as cause and type of damages occurring in the DMZ area. We divided the DMZ members into two types, which are classified in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survey for three years as a study of database construction, So that the actual data can be utilized in future restoration. The database construction through each restoration direction regarding the type of DMZ corruption is as follows. First, w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restoration of the damaged area of the DMZ, and approached it as a plan to select the damaged mark. Second, DMZ database reconstruction can be used as a restoration of damages, suggesting more information and restoration type through building an ecological database for education and research. Third, in order to maintain and restore restoration of damaged areas continuously at the national level,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guidelines for reasonable internal restoration in the national level as data that can be credited externally and can be acknowledged as the latest data.

도자기 복원에 사용되는 에폭시계 고분자수지의 요구 특성 연구 (Study on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Epoxy Resins Applied to the Restoration of Ceramics)

  • 남병직;정세리;장성윤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4호
    • /
    • pp.171-181
    • /
    • 2012
  • 본 연구는 도자기 복원용 에폭시수지 12종을 대상으로 복원제로서의 요구 특성(내구성, 가공성, 광택특성, 수축 팽창특성)을 조사한 후, 이를 통해 효과적인 재료 선택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내구성 분석결과 액상형은 비교적 손상 정도가 적고 재질 강도가 높은 도자기 유물에, 페이스트형은 상대적으로 손상 정도가 심하고 재질 강도가 약한 토기 유물에 적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가공성 분석결과 액상형은 페이스트형보다 높은 표면경도를 보였고, 액상형 중에서는 일반경화형이 속경화형보다 표면경도가 높았다. 따라서 높은 표면경도로 재가공이 어려운 액상형은 향후 첨가제 혼합을 통한 물성 개선이 필요하다. 광택특성 분석결과 외관상 무색투명한 액상형이 페이스트형보다 높은 광택도를 보였고, 액상형 중에서는 일반경화형이 속경화형보다 광택도가 높았다. $700^{\circ}C$ 연질토기는 페이스트형 중 CDK-520A/520B와 Araldite SV 427-2/HV 427-1이, 청자와 백자는 액상형 중 Devcon 5 minute과 EPO-TEK 301-2, 페이스트형 중 Quik Wood가, 분청사기는 페이스트형 중 Quik Wood, 액상형 중 EPO-TEK 301-2와 Devcon 5 minute이 대상 도자기의 광택도에 가장 근접하였다. 수축 팽창특성 분석결과 에폭시수지의 대부분은 경화 중 부피 변화가 발생하였으므로, 수축 팽창률에 따른 복원면의 증감을 사전에 예측하여 형태복원 범위를 설정하여야 한다.

생태복원용 주요 초화류의 녹화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Main Herbaceous Flowers for Ecological Restoration)

  • 심상렬;김재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4-71
    • /
    • 2006
  • Research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vegetation coverage and growth of main herbaceous flowers under low maintenance condition like a wild state. Eleven entries were comprised of 1 annual, 2 biennials and 8 perennials from widely used herbaceous flowers in Korea. Vegetation coverage and germination rate were high on annual and biennials when compared to perennials. Callistephus chinensis showed high vegetation coverage but lasted only for a year in 2001 and disappeared in 2002 as an annual. Oenothera odorata and Oenothera lamarckiana were also high vegetation coverage species with persistent only for two years as biennials. Therefore, these species should not be used in a large amount for ecological restoration when mixed with perennials because of affecting the vegetation coverage of perennials. There were considerable variations in vegetation coverage with perennial herbaceous flowers : Lotus corniculatus and Taraxacum platycarpum-high vegetation coverage species, Platycodon grandiflorum, Aster tataricus and Aster koraiensis-medium vegetation coverage species, and Aster yomena, Patrinia scabiosaefolia and Chrysanthemum indicum-low vegetation coverage species. Growth types of herbaceous flowers tested in this research were divided into 4 types : Callistephus chinensis, Oenothera lamarckiana and Aster koraiensis-wide leaf and tall type, Aster tataricus, Patrinia scabiosaefolia, Oenothera odorata, Taraxacum platycarpum, and Aster yomena-medium leaf and medium tall type, Platycodon grandiflorum-fine leaf and dwarf type, and Lotus corniculatus-fine leaf and tall type.

언론 프레이밍과 이미지 회복 전략이 공중의 위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dia Framing and Image Restoration Strategies on the Public's Crisis Perceptions)

  • 박은혜;김영욱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8권
    • /
    • pp.73-118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위기 상황에서 조직이 내세우는 이미지 회복 전략이 대부분 언론을 통해 전달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언론보도 프레임이 공중의 이미지 회복 전략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신문을 중심으로 한 내용분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위기 상황을 중심으로 조직의 이미지 회복 전략과 언론보도 프레임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위기 사건 중에서도 산업 전반 및 공중의 삶에 큰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사회 '위기'인 식품관련 사건을 선정하였다. 신문 내용분석 결과, 조직의 이미지 회복 전략은 대부분 일화중심 기사를 통해 공중에게 전달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조직들이 구사하는 대부분의 이미지 회복 전략은 방어적인 것으로 이는 위기의 유형에 따른 이미지 회복 전략의 차별성을 보여주지 못하는 결과이다. 실험 결과, 조직들의 이미지 회복 전략은 공중이 선호하는 전략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공중들의 인식은 프레임 유형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경천사(敬天寺) 10층석탑(層石塔) 복원(復原)에 관한 고찰 I - 상륜부(相輪部)를 중심으로 - (Study for the restoration of Gyeongcheonsa Pagoda - top of pagoda -)

  • 이은희;김사덕;신은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5권
    • /
    • pp.100-118
    • /
    • 2002
  • Originally, Gyeongcheonsa pagoda was located in Busosan, Jungyeon-ri, Gwangdeok-myeon, Gaepung-gun, Gyeonggi-do,but it has suffered from being taken out to Japan illegally in 1907 and being returned to Korea in 1918. After returned to Korea, Gyeoncheonsa Pagoda had been neglected and restored in 1960. It had been exhibited outside the Gyeingbokgung Palace after restoration, but many problems were raised. It was taken to pieces in 1995 and it is conservation and restoring today. However, the top of pagoda is necessary to be researched about its archetype because the shapes of stupa in 1902 and in 1960(the shape of pagoda after restoration) are all different from its archetype. According to picture datum in 1902, the top of pagoda was a Korean building type on a 10 layered roof stone. On the other hand, when it was restored in 1960, cement suspected as a anda was taken place between Korean building type and a 10 layered roof stone. Therefore, I am going to examine Restoration of Gyeongcheonsa pagoda in this thesis. When we examine historical records of Geongcheonsa and datum of parts, we can know that the pagoda was established in 1348(Goryeo Dynasty) but it is difficult to know the truth of its establishment and demolition of Gyeongcheonsa-temple. Three ways to restore the top of the pagoda of Gyeoncheonsa Pagoda can be c o n s i d e r e d . First, Korean building type made by metals is located on a 10 layered roof stone, which is same to picture datum in 1902. Second, the shape of and a type, which is similar to the shape when it was restored in 1960's. Also it is similar to Lamapagoda type. Third, to restore the top of pagoda of gabled roof type, which is similar to the top of pagoda of Wongaksagi P agoda. However it is necessaray to exmamine functions about circle grooves hollowed out in a 10 layered roof stone in restoration. Also we need to find out the archetype of dragon sculpture through the dragon claws left on an edge of a 10 layered roof stone.

가상현실을 통한 문화재복원 융합 확장성 연구 (A Research on Expandability of Cultural Assets Restoration Blend using Virtual Reality)

  • 오승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465-472
    • /
    • 2015
  • 현재의 가상현실 기술은 매체적 특성인 3차원 방식의 다감각적 정보의 구현을 바탕으로 관찰 조작형, 실험 활동형, 학습 안내형, 현장문제 해결형 등의 기능성 유형 분류로 활용되고 있다. 가상현실을 통하여 덕수궁의 문화재 복원을 J. Keller의 ARCS 모델 이론과 접목시키고 문화유산과 함께 역사의 현장에 살아갔던 사람들의 삶을 시나리오기반 씬 연출을 통해 재현하는 현장성 복원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장성 복원 씬을 3가지 타입으로 요약하고 다중 씬 연출을 구분하여 정리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실제 프로토타입까지 완성하여 제시하지 못한 부분과 하우징의 디테일한 부분이나 3D 오디오와의 연계 등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못한 부분이 존재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시대의 기술과 지식으로 성취하고자 하는 가상현실 문화재 복원의 융합 확장성 연구는 역사적, 문화적, 교육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정보에 기초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 유형별 실태조사 (The Survey on Actual Condition Depending on Type of Degraded area and Suggestion for Restoration Species Based on Vegetation Information in the Mt. Jirisan Section of Baekdudaegan)

  • 이혜정;김주영;남경배;안지홍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58-572
    • /
    • 2020
  • 본 연구는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훼손 유형별 실태조사를 통해 훼손 정도를 파악하여 훼손지의 복원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리산권역의 훼손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체 훼손지의 패치 수는 57개로 확인되었고, 평균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일수록 훼손지의 패치 수 및 훼손 면적이 더 넓게 나타났다. 훼손 유형은 초지(폐경지)와 경작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농업적 토지이용이 주요 훼손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 14개소의 훼손지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수행한 결과, 훼손 유형은 초지, 경작지, 복원지, 벌채지 및 나지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별 교란정도(일년초 및 이년초의 비율, 도시화지수, 교란율)를 분석한 결과, 초지 및 경작지에서는 대부분 초본류로만 구성된 1층 구조의 단순한 식생구조와 교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 유묘가 다수 식재된 복원지의 경우 2층 구조의 식생구조가 나타났고, 복원사업으로 인한 교란과 인근의 등산로로 인해 귀화식물의 유입이 다른 훼손지에 비해 특히 높게 나타났다. 나지의 경우 고도가 높아 귀화식물의 유입은 낮았지만, 일년초와 이년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조사된 모든 유형의 훼손지는 천이 초기단계로 판단되었다. 훼손 유형별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I 축상의 복원지, 경작지, 초지, 벌채지 및 나지 순으로 나타나 훼손 유형별로 구분되어 배열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훼손 유형별 조사지와 참조생태계의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생태적 복원 절차에 따라 식생정보에 기초한 훼손 유형별 실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와 함께 참조생태계와의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복원 목표 및 복원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